독서 수업 풍경 또는 수다쟁이 미식가를 위한 한국음식 안내서
로즈
2025-02-24 10:21
25
0
본문
독서 수업 풍경

도서명 : 독서 수업 풍경
저자/출판사 : 이서영, 북랩
쪽수 : 284쪽
출판일 : 2020-12-22
ISBN : 9791165395094
정가 : 19000
추천의 글 4
프롤로그 7
1장 세 가지 질문
1. 왜 책이어야 할까요? 16
2. 왜 토의토론 수업인가요? 18
3. 왜 글쓰기가 중요할까요? 20
2장 여덟 단어로 풀어보는 독서 수업
1. 본질에 가까이 – 진정성 24
2. 궁금하면 통(通)한다 – 질문 27
3. 말이 마음이 된다 – 소통 29
4. 스스로의 선택이 존중받는 – 자유 30
5. 자세히 보니 보인다 – 관심 31
6. 교실 속 민주주의의 뿌리 – 비판 32
7. 함께하는 아름다움 – 연대 33
8. 손잡고 함께 가는 길 - 인생 34
3장 질문을 어떻게 하지?
1. 성공적인 수업의 시작, 질문 36
2. 질문으로 시작하는 놀이 토론 39
1) 6하 원칙으로 질문하기 39
2) 핵심키워드로 질문하기 40
3) 질문 놀이 41
4) 질문 갤러리 42
5) 디딤돌 질문 학습지 43
6) 비주얼씽킹 질문 놀이 45
7) 꼬리물기 질문 놀이 46
4장 토론 방법을 잘 모르겠다면?
1. 토의와 토론 50
2. 토의 토론의 종류와 방법 51
1) 하브루타 토의토론 51
2) 하브루타 수업 모형 53
3) 브레인라이팅 토론 59
4) 신호등 토론 60
5) 짝 토론 61
6) 2:2 토론 62
7) PMI 토론 62
8) 롤링페이퍼 토론 63
9) 두 마음 토론 64
10) 피라미드 토론 65
11) 터부(금지어)토론 66
12) 회전목마 토론(물레방아 토론) 66
13) 포토스탠딩 토론 67
14) 모둠 문장 만들기 토론 68
15) 가치수직선 토론 69
16) 질문카페(월드카페) 토론 70
17) 모서리 토론 72
18) 둘 가고 둘 남기(셋 가고 하나 남기) 토론 74
19) 개념탐구 토론 75
20) 개념지도 만들기 토론 77
21) 소크라틱세미나 토론 78
22) 육색생각모자 토론 79
23) 이야기식(RWS)토론 80
24) SEDA원탁 토론 80
25) 패널 토론 81
26) 뜨거운 의자(Hot Sitting) 토론 81
27) 생선뼈(Fish Bone) 토론 82
28) 창문 토론 83
29) SWOT 토론 83
30) 모의법정 토론 84
31) 찬반 대립 토론 85
32) 의회식 토론 85
33) 칼포퍼(Karl Popper) 토론 86
34) 3:3 디베이트(00초 방식) 86
3. 논제, 논법 88
1) 논제란? 88
2) 논제의 종류 88
3) 논제의 조건 88
4) 논제 정하기 89
5) 논제의 예시 89
6) 4단 논법 92
7) 6단 논법 92
5장 글쓰기 지도는 어떻게?
1. 자세히 관찰하기 94
2. 매트릭스 글쓰기 96
3. 만다라트(연꽃) 글쓰기 98
4. 추측하여 이야기 만들기(단어 지우기) 100
5. 이야기 재구성하기(책 속의 책) 101
6. 비주얼씽킹으로 글쓰기 102
7. 시 쓰기 106
8. 시를 글로 쓰기 108
9. 핵심키워드로 글쓰기 110
6장 한 학기 한 권 읽기는 어떻게?
1.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독서 단원 114
1) 독서 단원이란 114
2) 독서 단원의 목적 114
3) 독서 단원의 구성 115
4) 독서 단원의 운영 115
2. 한 학기 한 권 읽기 지도 방법 117
1) 독서 준비 단계 117
2) 독서 단계 118
3) 독서 후 단계 119
3. 한 학기 한 권 읽기 추천 도서 120
1) 그림책 120
2) 글자책 121
4. 한 학기 한 권 읽기 재구성 사례 - 『꽃들에게 희망을』 122
1) 교육과정 / 수업 / 평가 일체화 의도 122
2) 교육과정 / 수업 / 평가 일체화 계획 123
3) 수업 계획 124
4) 평가 계획 129
7장 블렌디드 러닝 독서교육과정 사례
1. 철학이 있는 6학년 독서수업 136
1) 학생 실태를 반영한 교육과정 재구성 의도 136
2) 관련 단원 및 성취기준 137
3) 블렌디드 교육과정 운영 계획 138
2. 생각이 자라는 5학년 독서수업 142
1) 학생 실태를 반영한 교육과정 재구성 의도 142
2) 관련 단원 및 성취기준 142
3) 블렌디드 교육과정 운영 계획 144
3. 책의 재미를 알아가는 4학년 독서수업 145
1) 학생 실태를 반영한 교육과정 재구성 의도 145
2) 관련 단원 및 성취기준 145
3) 블렌디드 교육과정 운영 계획 146
8장 학년별 독서토론수업 과정안
1. 그림책이 재미있는 저학년 150
1) 돼지책 151
2) 지각대장 존 152
3) 난 무서운 늑대라구! 153
4) 우리는 친구 154
5) 난 네가 부러워 155
6) 알사탕 156
7) 사소한 소원만 들어주는 도깨비 157
8) 치과의사 드소토 선생님 158
9) 고 녀석 맛있겠다 159
10) 민들레는 민들레 160
11) 커다란 질문 161
2. 서로를 알아가는 중학년 162
1) 나의 린드그렌 선생님 163
2) 폭풍우 치는 밤에 시리즈 164
3) 프레드릭 165
4) 낱말수집가 맥스 166
5) 낱말공장나라 167
6) 슈퍼거북 168
7) 슈퍼토끼 169
8) 피아노치기는 지겨워 170
9) 꽃들에게 희망을 171
10) 소리질러 운동장 172
11) 종이봉지 공주 173
12) 샬롯의 거미줄 176
13) 우당탕탕 할머니 귀가 커졌어요 178
3. 생각이 깊어지는 고학년 190
1)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191
2) 얼마나 가져야 행복할까 192
3) 기게스의 반지 193
4) 아나톨의 작은 냄비 194
5) 안네의 일기 195
6) 유대인 수용소의 두 자매 이야기 196
7) 조개맨들 197
8) 책도령은 왜 지옥에 갔을까 198
9) 어린 왕자 199
10) 행복한 왕자 200
11) 소나기 204
12) 천국의 아이들 212
13) 사랑손님과 어머니 219
14)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226
15) 몽실언니 238
16) 스갱 아저씨의 염소 244
17) 100만 번 산 고양이 247
부록 - 토의토론 학습지 양식 252
에필로그 282
참고문헌 284
수다쟁이 미식가를 위한 한국음식 안내서

도서명 : 수다쟁이 미식가를 위한 한국음식 안내서
저자/출판사 : 황교익, 시공사
쪽수 : 328쪽
출판일 : 2020-12-23
ISBN : 9791165793333
정가 : 17000
제1부 오래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먹을 음식들
제1장. 그 흔하였던 바다것들
- 미역국에 탄생의 고통을 담아내다
미역이나 사람이나
- 문에 걸린 북어는 왜 두 마리인가
명태의 별칭이 이리 많은 이유 | 일본인은 알, 조선인은 살
- 등이 굽어 굴비
그 많았던 조기 | 조기가 사라지자 굴비가 떴다
- 눈을 꿰어서 말리지 않는 과메기
낯선 이름, 청어신흠 | 청어가 사라지자 꽁치가 보였다
- 조선시대에는 자연 숙성 생선회를 먹었다
경북 내륙 지방의 민어회 | 대구도 말려서 회로 쳤다 | 홍어도 자연 숙성 생선회이다 |푹삭힌홍어가남도음식의상징으로 자리 잡기까지 | 물론 싱싱한 생선회도 먹었다 | 비슷하나다른 한국과 일본의 입맛
- 참으로 다양하여 헷갈리는 바닷것들
소설 《남한산성》의 밴댕이는 어류분류학상 반지이다 | 밴댕이소갈딱지 덕에 밴댕이회가 맛있다 | 사라진 뱅어 자리를 대신하는 실치 | 우럭은 말려야 맛이 난다 | 도다리가 맛없을 때 도다리쑥국을 먹는다 | 도루묵은 왜 도루묵이 되었나 | 성게 생식소 명칭에 대한 고찰 | 어리어리하여 어리굴젓인 것은 아니다
제2장 귀하였던 뭍것들
- 왜 개고기를 먹지 않나요
- 먹을 것 없던 날의 보리
아껴아껴 먹었던 보리개떡 | 보리밥을 맛있게 먹는 법이 따로 있다
- 남미에서 온 옥수수의 변신
올챙이도 아니고 국수도 아니고
- 우리는 도토리도 먹는다
- 나무의 순도 먹는다
울타리 가시나무의 순 | 시집가면 참죽나무부터 심는다
- 흙도 먹었다
흙떡에 대한 ‘아픈 추억’
- 저절로 자라고 늙는 호박
- 겨우살이의 김장
다양하기로는 장아찌 | 배추김치만 남은 김장 | 김장하는 날의 추억 | “김치가 기무치를 이겼습니다” | 기무치와 단무지 | 김치애국팔이는 태극기부대이다 | 김치는 김치이다
- 곡물의 술을 마셨다
농민은 막걸리 | 양반은 소주 | 소주 아니고 쏘주
- 냉국보다 찬국
- 호랑이보다 무서운 곶감
- 만두 삼국지
회회인은 상화보다 연애에 관심이 있었다 | 메밀만두에서 밀만두로 |오랑캐의 머리를 먹는 일 | 팥소만두 아니고 찐빵
- 장례식에서 육개장을 먹는 것의 의미 없음에 대하여
제2부 밥을 사 먹는 시대가 열리다
제1장. 도시의 음식들
- 식당에 ‘이모’가 사는 까닭
- 뚝배기는 노동자의 그릇이다
- 무서운 이름 ‘집밥’
- 소 돼지 닭의 시대
일소에서 고기소로 | ‘국대’ 고기구이 불고기 | ‘불고기’는 평양, 넓게는 평안도 사투리일까 | 토종 돼지는 퇴출되었다 | 순대국밥이나 돼지국밥이나 | 돈까스 앞에서의 명상 | 1인 1닭의 시대 | 부족한 것끼리 모여 삼계탕이 되다
- 활어회 신화의 탄생
활어회의 문제들 | 방송 탓이 크다 | 불신사회의 생선회
- 가을 전어는 도심에서 헤엄을 친다
전어 맛이 절정일 때가 있다 | 전어는 이렇게 먹어야 한다
- 일본에서 온 빙수에 대한 한국적 재해석
- 한국음식 자장면
화교가 가지고 온 국수 | 화교의 몰락과 자장면의 번창
- 《우동 한 그릇》에 담긴 눈물의 정체
- 삶은 달걀의 공간 이동
찜질방에 가면 삶은 달걀을 먹어야 한다
- 국민의 삶과는 아무 관련 없는 국가대표 음식
- 커피 공화국 탄생기
누룽지 냄새가 난다 | 강릉에 가면 커피가 맛있는 이유
제2장. ‘향토’에 원래 있었던 음식은 없다
- 가난이 만든 강릉 초당두부
사대부가 두부를 쑤겠는가 | 콩이 바닷물과 만나다
- 함경도 아바이는 모르는 속초 오징어순대
오징어찜 혹은 이카메시 | 요즘의 조리법과 비슷하면서 조금 다르다 | 강원도만의 오징어순대를 위하여
- 한국 향토음식의 대표선수 전주비빔밥
비빔밥의 계통도
- 그리운 충무김밥 할매들
할매들은 창의적이었다 | 종이의 추억
- 북한에서 유명한 진주냉면과 그 재탄생기
이름은 있고 레시피는 없다 | 진주냉면 육수도 소고기 국물이었을 것이다
- 훅 나타났다 훅 사라져간 안동찜닭
치킨에 밀린 닭집 골목의 생존 아이템 | 33조각의 닭고기
- 부자 동네의 흔적 수원갈비와 안의갈비찜
소갈비가 가장 먹을 만했던 이유 | 수원은 잘살았다 | 안의도 잘사는 동네였기는 했다
나가는 말 | 앵두나무 우물가에는 아무도 없다
참고 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