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맛 또는 농업기술과 한국문명 > 질문답변

본문 바로가기

질문과 답변

장자의 맛 또는 농업기술과 한국문명

땅끝
2025-02-27 17:12 34 0

본문




장자의 맛
9791163500483.jpg


도서명 : 장자의 맛
저자/출판사 : 김경윤, 단비
쪽수 : 276쪽
출판일 : 2021-12-20
ISBN : 9791163500483
정가 : 15000

『장자의 맛』을 내면서 08
장자의 장자 평가 12

1. 신맛 〈장자의 삶〉
카르페 디엠??-??고귀한 죽음보다 초라한 삶을 택하겠습니다 20
호모 루덴스, 장자??-??세상과 더불어 노닐다 24
장자의 가난??-??가난이 곤경은 아닙니다 28
장자의 생존법??-??정신 차려, 이 친구야 32
낙수효과의 비극??-??건어물 신세 37
리얼 장자??-??치질을 핥아 주었소? 41
장자의 우정??-??논쟁의 맞상대가 죽었다 45
장자 아내의 죽음??-??곡을 멈추고 노래를 부르다 49
장자의 죽음??-??나의 무덤은 우주다 53

2. 단맛 〈장자의 유머〉
우정과 권력??-??우정과 권력은 다른 선분이다 58
해골과의 대화??-??부활은 싫소 61
생명의 계보학??-??돌고, 돌고, 돌아가는 세상 65
나르시시즘의 불행??-??자뻑하지 마라 69
도의 거처(居處)??-??도는 언제나, 어디에나, 무엇에나 72
욕망의 다이어트법??-??자신을 잊은 자가 최고다 75
도굴꾼 선비??-??척이나 하지 말지 79
쓸모없음의 쓸모??-??그대가 밟지 않은 땅 82
그림자들의 대화??-??뭐가 뭔지 나도 몰라 86
용 잡는 기술??-??무기가 생겼으니 무기를 써먹어야지? 90
물고기의 즐거움??-??어디서 알았소? 94

3. 구수한 맛 〈장자의 인생관〉
하늘의 소리??-??나는 나를 잃었다 100
백정의 양생법??-??두께 없는 칼날로 106
인기 남자 애태타??-??진정한 모습은 드러나지 않기에 111
참된 사람의 모습??-??목구멍이 아니라 발꿈치다 116
아모르 파티(Amor fati)??-??강호에서 서로를 잊고 살자 120
네 친구 이야기 1 자사와 자여??-??묶임에서 풀려나자 124
네 친구 이야기 2 자리와 자래??-??편안히 잠들고 홀연히 깨어나리 128
거울처럼??-??비우고 비추라, 상처받지 마라 132
혼돈 이야기??-??멈춰라, 착취하는 그 손을 137
장자의 분신, 안회??-??벼슬하지 않으렵니다 140

4. 쓴맛 〈장자의 정치 풍자〉
전쟁의 희비극??-??하늘이 그런 것입니다 146
공자의 충고 1??-??마음을 굶겨라 150
공자의 충고 2??-??부득이하게 살아라 154
개망나니 길들이기??-??호랑이와 야생마를 길들이듯이 159
겉 공부와 속 공부??-??화살에 안 맞은 게 요행이지 164
세상의 어지러움??-??지혜의 그림자 169
부끄러움은 나의 것??-??기계-인간 174
말에 살고 죽고??-??책은 쓰레기다 178
그대는 편안한가???-??적당할 때 멈추라 182
비슷한 건 가짜다??-??마지막 유학자 186
칼의 노래??-??칼에도 등급이 있다 190

5. 감칠맛 〈장자의 동물, 식물〉
위대한 변신술??-??곤과 붕 이야기 196
타자의 경제학??-??조삼모사(朝三暮四) 199
쓸모없이 되려고 노력했다??-??장석과 사당 나무 203
우물 안 개구리??-??하백과 북해약의 대화 207
새를 기르는 법??-??종묘에 사는 새 214
그냥 돼지 할래??-??제관과 돼지 이야기 218
재주 많은 원숭이의 죽음??-??오만과 교만 221
길들여진다는 것??-??명마의 비애 224
선악을 넘어??-??물 밖의 물고기 227
미녀는 괴로워??-??아름다움의 기준 230

6. 짠맛 〈장자의 처세술〉
쓸모있음의 쓸모없음??-??송나라 모자 장수 236
학의 자리 길다고 자르지 마라??-??본래의 모습을 잃지 말자 239
성인의 잘못??-??자연스러움을 잊으면 243
도둑질 5계명??-??성인을 없애라 246
부러움의 연쇄 고리??-??약한 것을 이기지 못하고 강한 것을 이기다 250
매미 잡는 방법??-??삶의 작은 일에도 최선을 다하라 254
달인의 수영법??-??물길을 따라 갈 뿐 258
장인의 태도??-??칭찬이나 이익이 없어도 262
우주만물이 걷는 길??-??노자가 알려 주는 자유의 길 266
모자란 듯이 살아라??-??양주에게 해 주는 노자의 충고 270

『장자의 맛』을 마치며 274




농업기술과 한국문명
9791159256745.jpg


도서명 : 농업기술과 한국문명
저자/출판사 : 염정섭 , 소순열, 들녘
쪽수 : 522쪽
출판일 : 2021-12-20
ISBN : 9791159256745
정가 : 40000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서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시각 및 연구 방법
3. 연구 현황 및 연구 내용
1) 연구 현황
2) 연구 내용

1장 선사시대 농경의 시작과 확산

1절 신석기시대 농경의 시작과 석제 농기구
2절 신석기시대의 화경과 농경생활
3절 청동기시대 밭농사와 농기구의 변화
4절 청동기시대 벼농사의 보급과 수리시설

2장 고대 농경의 전개와 농업체제의 형성

1절 철제농기구의 확산과 우경의 보급
2절 삼국시대의 밭농사와 벼농사
1. 삼국시대의 밭농사
2. 삼국시대의 벼농사
3절 통일신라의 농업과 수리시설
4절 신라촌락문서와 농촌, 농업
1. 신라촌락문서의 기재 내용과 특징
2. 신라촌락문서와 농촌ㆍ농업

3장 고려 농업체제의 전개와 농법의 전환

1절 중농정책의 시행과 농경의례
1. 중농 이념의 정립
2. 권농정책의 시행
3. 농경의례의 설행
2절 전시과체제와 양전제
1. 전시과 제도의 성립과 운영
2. 양전제도의 변화
3절 수전과 한전의 농법 전환
4절 목면의 도입과 보급

4장 조선 전기 농법의 정리와 농업ㆍ농촌의 변동

1절 연작법체제와 논밭의 작물 재배법
1. 15세기 벼 재배법: 수경직파법(水耕直播法)과 이앙법, 건경직파법
2. 15세기 밭작물 재배법의 특성
3. 수전과 한전의 시비법
4. 농사일과 농기구(農器具)의 결합
2절 국가와 개인의 농서 편찬
1. 태종대 『농서집요(農書輯要)』의 편찬: 『농상집요(農桑輯要)』의 초록(抄錄)
2. 세종대 『농사직설(農事直說)』의 편찬: 조선 고유의 농서 등장
3. 강희맹의 『금양잡록』 편찬: 사찬(私撰) 농서의 효시
4. 16세기 후반 지역농서(地域農書)의 대두
3절 조선왕조가 추진한 농정책(農政策)
1. 조선 국가의 농정책(農政策) 수행
2. 권농(勸農)의 실무를 맡은 수령(守令)
3. 농사일 독려에 나선 수령
4. 수령의 농형(農形)ㆍ우택(雨澤) 보고
5. 흉년(凶年) 대비와 흉황(凶荒) 파악
6. 진제장(賑濟場) 운영과 환자(還上) 분급
4절 농지 개간과 수리시설 축조
1. 조선 국가의 농지 개간 장려
2. 연해지역 농경지 확대
3. 양계지역의 개척과 농지 개간
4. 조선 초기 농지 개간 장려의 성과
5. 제언(堤堰)의 수축과 관리
6. 천방(川防)의 개발과 축조
7. 조선 초기 수리정책의 시행
5절 농업경영과 농촌경제의 변화
1. 토지소유관계의 변화
2. 농업경영의 변동
3. 농촌사회의 유통경제
4. 미(米)와 면포(綿布) 중심의 화폐 유통
6절 농촌사회와 농민 생활
1. 여말선초 자연촌의 성장
2. 조선 초기 면리제(面里制)의 시행
3. 마을의 농민 조직과 규약
4. 농민의 민속놀이
5. 민간 신앙과 농가

5장 조선 후기 농법의 발달과 농업체제의 변화

1절 벼와 잡곡 재배기술의 발달
1. 벼농사 이앙법의 보급
2. 한전 이모작 경작방식의 고도화
3. 수전과 한전의 시비법 발달
2절 농기구의 개량과 수리시설의 발달
1. 농기구의 개량
2. 수리시설의 발달
3절 농서 편찬의 추이
1. 『산림경제』의 편찬과 증보
2. 정조의 농서대전 편찬 추진
3.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편찬
4절 농촌사회와 농민 생활의 변화
1. 농민층의 분화
2. 농촌조직의 양상
3. 세시풍속과 농사의례
5절 자연재해와 구황(救荒)의 실시
1. 자연재해의 발생


6장 일제시기 농업생산과 농업기술의 변화

1절 농업생산구조의 변화
2절 식민지 농정과 농업기술 연구
1. 농업정책과 농업기술 연구
2. 농사시험연구 기관의 설립과 변천
3. 수도작 시험연구
3절 농업기술의 변화
1. 품종의 변화
2. 못자리 및 이앙
3. 심경
4. 비료
5. 농기구의 보급과 수확 후 기술
4절 재래농법과 개량농법
1. 수도작 재래농법과 개량농법
2. 개량농법의 근대적 수익성
3. 재래농법의 생태적 합리성
4. 개량농법의 확산과 재래농법의 단절

7장 현대 농업기술의 변화와 전망

1절 해방 후 농업ㆍ농촌과 농업기술
1. 농업ㆍ농촌 상황
2. 농업기술의 취약과 낮은 생산성
3. 농업생산과 농가경제의 악화
2절 녹색혁명과 식량자급
1. 식량 수급과 벼 품종
2. 통일벼 개발과 식량자급
3. 녹색혁명의 특성과 평가
3절 농업생산과 농업기술의 발전
1. 농업생산의 변화
2. 원예기술의 발전
3. 가축 개량과 사양기술
4절 농업기술의 변화와 전망
1. 농업기술의 변화와 농업 성장
2. 친환경농업의 등장과 전개
3. 농업기술의 발전 전망

결론

주석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