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스 또는 극동의 격몽과 서구 관용국가의 탄생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도시가스 또는 극동의 격몽과 서구 관용국가의 탄생

땅끝
2024-01-25 08:44 523 0

본문




도시가스
9788932039978.jpg


도서명 : 도시가스
저자/출판사 : 이수명, 문학과지성사
쪽수 : 156쪽
출판일 : 2022-04-14
ISBN : 9788932039978
정가 : 9000

시인의 말
1부
꿈에 네가 나왔다 /6월 /창가에 서 있는 사람 /도시가스 /무단결석 /주기적 여름의 교체 / /도시가스 /물류창고 /비가 내리는데 /도시가스 /옥상 /물류창고 /빛을 세워도 좋을까 /도시가스 /차를 세우고 /물류창고 /밖에 있는 사람 /도시가스 /연못에 들어가면 안 돼요 /로비에서 보기로 했다 /올해의 마지막 날들 /겨울 /가스관

2부
이 노을 /처음부터 다시 /해피 뉴 이어 /유령처럼 /같이 비가 내려요 /철물점 /즐거운 여행 /눈 오는 날 /명랑한 커피 /페이크삭스 /최후의 산책 /풀 위에서 웃었다 /완전한 나무들 /음 소거 /4단지 /다른 날 /비와 춤을 춘다

3부
티타임 /잠자는 책 /조용한 생활 /적당한 사람 /에티오피아식 인사 /물푸레나무 /정적이 흐른다 /내일은 더 추워진다고 해요 /흑맥주 마시러 가는 오후 /팝콘 /근린공원 /아파트 공사장 /확실한 것은 아니야 /운동을 시작해볼까요 /그냥 내버려두었다

해설│무의 광장ㆍ강동호




극동의 격몽과 서구 관용국가의 탄생
9791187124979.jpg


도서명 : 극동의 격몽과 서구 관용국가의 탄생
저자/출판사 : 황태연, 솔과학
쪽수 : 1136쪽
출판일 : 2022-01-05
ISBN : 9791187124979
정가 : 60000

머리말 _4

들어가는 말 _20

제1장 공자의 세속적 현세주의와 무제한적 관용론
제1절 관용국가의 전제: 현세주의와 종교의 퇴출 _42
1.1. 학문과 도덕의 탈주술화·과학화와 세속적 현세주의 _44
■ 학문의 과학화와 학문세계의 세속화(탈주술화) _44
■ 도덕의 세속화와 과학화 _60
1.2. 제사의 현세화·탈주술화와 주역점의 도덕화·희소화 _79
■ 제사와 기도의 현세화와 세속화 _80
■ 복서의 희소화와 과소화 _95
■ 복서의 도덕화 _101
■ 생활세계로부터의 종교 일반의 퇴출 _108

제2절 공자의 공감적 무위 정치와 무제한적 관용철학 _112
2.1. 세속적 무위국가와 이설들의 백가쟁명 _114
■ 탈종교적·세속적·과학적 무위국가와 공감정치 _115
■ 공감적 무위천하와 백가쟁명·수도동귀론 _132
2.2. 공자의 무제한적 관용론 _136
■ “공호이단” 구절과 소인유자들의 변조난동 _136
■ 명·청대 중국황제들과 조선의 정조·고종의 무제한적 관용론 _158
■ 공자의 ‘무제한적 관용’ 명제들 _167
■ 맹자의 “부득이한 비판”과 금도·반경론 _176

제2장 극동의 유교제국과 무제한적 관용사회
제1절 유교제국과 사상·종교·문화·예술의 무제한적 관용 _198
1.1. 한대와 수·당대의 유학·황로학·법가·불교의 혼재 _198
■ 한대 초의 유학·황로학·법가의 혼재와 절충 _199
■ 기원전 2년 불교의 도래와 유불선의 융화 _208
■ 당대 기독교(네스토리우스교; 경교)의 전파 _209
1.2. 송·명·청대 중국정부의 무제한적 종교자유와 관용 _211
■ 성리학적 이단공격의 공허성과 말뿐인 과격주의 _211
■ 명·청대 정부의 무제한적 종교관용과 종교 지원 _215
1.3. 유교국가 조선의 종교적 관용과 자유 _217
■ 조선전기 정도전 세력의 섬멸과 종교적 관용의 부활 _217
■ 조선후기 정조와 고종의 종교적 관용 _220
■ 조선백성들의 가벼운 종교의식과 관용정서 _235
1.4. 반유교국가 일본의 종교적 관용과 퇴행적 불관용 _237
■ 전통 일본의 반중국화와 불교세계의 종교적 관용 _237
■ 명치유신과 종교적 박해의 시작 _251

제2절 극동 관용사회에 대한 서구 선교사들의 보고와 격몽 _260
2.1. 핀토·멘도자·발리냐노의 보고와 16세기 중국의 관용문화 _261
■ 중국적 관용에 대한 페르남 핀토의 최초 보고 _261
■ 멘도자의 중국보고와 ‘신’에 대한 현세주의적 경시 _269
■ 중국의 종교적 관용에 대한 발리냐노와 산데의 보고 _271
2.2. 마테오리치와 세메도의 17세기 초반 중국보고 _273
■ 중국의 종교적 관용과 융화에 대한 마테오리치의 보고 _274
■ 유불선 삼교의 관용적 융화에 관한 세메도의 보고 _282
2.3. 나바레테의 17세기 중반 중국보고와 종교적 관행들 _289
■ 중국의 종교적 관용에 대한 덤덤한 보고 _289
■ 무신론적 유교와 공자에 대한 비난과 찬양 _291
■ 네스토리우스교의 사적에 대한 불신 _298
■ 「명심보감」』』의 발췌·소개 _299
■ 무신론적 유자의 ‘신적’ 덕성과 종교적 문화담론의 극적 변동 _301
2.4. 르콩트의 17세기 말엽 중국의 종교상황 _303
■ 「신비망록」 분서 처분과 개신교 국가에서의 대인기 _304
■ 르콩트의 불교·도교 비방 _307
■ 르콩트의 유교이해와 성리학자들의 ‘말로만의 이단 비판’ _312
■ 신을 가벼이 여기는 중국의 경신 풍조 _317
■ 강희제의 종교적 관용정책 _323
2.5. 뒤알드의 18세기 중국: 무제한적 관용의 다종교사회 _329
■ 성리학의 유교적 기만성에 대한 비판적 지적 _331
■ 중국 유자의 현세주의적 무신론과 초종교적 자유분방성 _334

제3장 극동의 격몽과 서구에서의 제한적 관용론의 등장
제1절 존 밀턴의 제한적 관용론과 국교분리론 _348
1.1. 개신교종파들과 이교에 대한 제한적 관용 _348
■ 밀턴의 경력과 사상적 궤적 _350
■ 「아레오파기티카」(1644)의 관용론 분석 _371
1.2. 가톨릭과 무신론자들에 대한 종파적 불관용 _402
■ 가톨릭과 무신론자에 대한 종파적 탄압 _402
■ 밀턴의 가톨릭·무신론자 불관용론에 대한 피에르 벨의 비판 _404
1.3. 국교분리와 양심의 자유 _409
■ 국교분리(정교분리)의 새로운 공화국 원칙 _409
■ 자유공화국의 원칙 ‘양심의 자유’ _413

제2절 토마스 홉스의 국가교권론과 내외신앙 차별론 _418
2.1. 외적 신앙의 국가통제와 종교적 불관용 _421
■ 세속적 군왕에 의한 성직적 교권의 장악 _423
■ 외적 신앙에 대한 군주의 독재적 결정권 _427
2.2. 내적 신앙(Fides)에 대한 불가피한 관용 _430
■ 내적 신앙에 대한 불가피한 관용 _430
■ 내적 신앙은 명령에 굴하지 않는다는 성서적 논변의 허구성 _436

제3절 스피노자의 홉스 프레임과 로크의 밀턴 프레임 _440
3.1. 스피노자의 변형된 홉스주의: 행위 통제와 언표 관용 _441
■ 스피노자에 대한 극동의 영향 _441
■ 홉스적 국가교권론의 고수 _463
■ 내적 신앙과 언표에 대한 관용과 언표의 자유 _475
3.2. 로크의 제한적 관용론과 가톨릭·무신론에 대한 불관용 _494
■ 존 로크에 대한 극동의 격몽 _495
■ 「관용에 관한 서한」』』(1689)과 광범한 관용론 _531
■ 가톨릭과 무신론자에 대한 불관용 _546

제4절 밀턴·홉스 프레임의 종파적 한계와 파탄 _553
4.1. 밀턴 프레임의 제한적 관용론의 배타성과 자기모순 _554
■ 밀턴과 로크의 종파적 관용제한의 실천적 위험성 _554
■ 밀턴 프레임의 이론적 자기모순과 실천적 자가당착 _556
4.2. 홉스 프레임의 내적 신앙 관용론의 역사적 파탄 _559
■ 내적 신앙 관용론의 한계 _560
■ 가일층적 격몽에 의한 극적 문화변동과 홉스 프레임의 파탄 _564
■ 내적 신앙 관용론의 한계 _560
■ 가일층적 격몽에 의한 극적 문화변동과 홉스 프레임의 파탄 _564

제4장 서구에 대한 극동의 가일층적 격몽과 유교적 관용사상의 전개
제1절 피에르 벨의 극동 동경과 ‘무차별적’ 관용론 _568
1.1. 극동의 ‘무제한적’ 관용사회에 대한 벨의 인지와 동경 _570
■ 무제한적 관용의 극동에 대한 벨의 명확한 인지 _570
■ 유교적 관용국가에 대한 벨의 동경 _578
1.2. 중국제국의 ‘철학적으로 세련된 무신론 사회’ _585
■ 무신론적 불교해석과 ‘공’ 개념의 유교적 수정 _586
■ 중국의 세련된 유교적 무신론 사회 _600
■ 동방선교포기론 _618
1.3. 무차별적 관용: 가능한 ‘도덕적 무신론 사회’ _621
■ 감정은 종교적 신앙 여부를 떠나 도덕행위의 결정요인 _623
■ 무신론자가 기독교도보다 더 도덕적일 가능성 _636
■ 도덕적 무신론 사회의 가능성 _641
1.4. 강제포교론 비판과 중국철학자들의 가상법정 _670
■ 누가복음 14장 23절의 자구적 해석과 강제포교론에 대한 비판 _671
■ 기독교적 강제개종론을 심리할 중국철학자들의 가상법정 _696
■ 유교화된 서구 관용국가의 구상 _706
■ 벨의 영향 _710

제2절 볼테르의 혁명적 공자철학과 ‘보편적’ 관용론 _716
2.1. 공자를 숭배한 볼테르의 유신론적 중국관 _717
■ 볼테르의 지극한 공자 숭배 _721
■ 볼테르의 유신론적 중국관과 공자 변호 _727
2.2. 극동의 종교적 관용에 대한 볼테르의 찬미 _732
■ 선교사들에 의한 중국적 관용의 악용과 그들의 배은망덕 _733
■ 중국선교폐지론 _742
2.3. 보편적 관용론과 기독교도의 불관용에 대한 비판 _753
■ 공공복리 관점에서의 보편적 관용론 _753
■ 기독교도의 불관용성에 대한 비판 _766
■ 비판적 종합 _779

제3절 서구의 이신론과 불가지론·무신론의 전개 _791
3.1. 트렝커드와 고든의 ‘반유럽’과 ‘유럽의 중국화’ 요구 _802
■ 트렝커드와 고든의 “유럽의 중국화” 요청 _803
■ 원칙이 아니라 감정에 의거하는 벨과 고든의 인간행동론 _809
■ 유교적 이신론과 영국·유럽사회의 세속화 _813
3.2. 볼링브룩의 유교적 이신론과 종교의 자유 _819
■ 공맹의 자연종교와 중국 도덕철학의 찬양 _821
■ 중국 자연종교의 부패론 _835
■ ‘성서의 신’에 대한 부정: 성직자와 무신론자의 동맹? _842
3.3. 흄의 도덕감정론과 불가지론 _845
■ 흄의 공자 흠모와 중국 예찬 _845
■ 데이비드 흄의 감성적 도덕이론과 도덕사회의 완전한 세속화 _853
■ 흄의 유교적 도덕감정론 _871
■ 종교의 단초로서의 ‘공포’ _882
■ 흄의 불가지론 또는 무신론적 회의론 _889
3.4. 멜리에와 돌바하의 무신론과 완전한 정신적 해방 _901
■ 가톨릭 신부 장 멜리에의 유서와 유물론적 무신론 _902
■ 폴-앙리 돌바하의 유물론적 무신론 _935
3.5. 프랭클린과 제퍼슨의 유교적 무신론과 무종교의 자유 _964
■ 벤저민 프랭클린의 무신론 _965
■ 토마스 제퍼슨의 유교적 무신론과 정신적 해방투쟁 _977
■ 제퍼슨의 ‘반기독교’로서의 “온유한 종교” _980
■ 제퍼슨의 유교적 종교자유론 _1004
■ ”A Benign Religion(온유한 종교)”의 궁극적 정체 _1010

제5장 혁명과 서구 관용국가의 탄생
제1절 미국혁명과 무제한적 관용의 법제화 _1026
1.1. 「버지니아 권리장전」과 「미국 독립선언문」 _1027
■ 18세기 영국과 북미식민지의 종교적 박해 상황 _1028
■ 1776년 6월 「버지니아 권리장전」과 서구 최초의 관용국가 _1037
■ 1776년 7월 「독립선언문」의 자연신론(무신론) _1041
1.2. 「종교자유를 위한 버지니아 규약」』』과 미국 수정헌법 _1045
■ 1786년 1월 「종교자유를 위한 버지니아 규약」 _1045
■ 1791년 10월 미합중국 수정헌법 제1조 _1052

제2절 프랑스혁명과 관용이념의 법제화 _1064
2.1. 제1차 인권선언과 프랑스혁명헌법 _1065
■ 1789년 8월 제1차 인권선언 제10조와 종교적 관용 _1066
■ 1791년 9월 프랑스혁명헌법 타이틀 I의 제3조 _1067
2.2. 프랑스개정헌법과 제2차 인권선언 _1069
■ 「1793년 6월 프랑스개정헌법」 제122조 _1070
■ 1793년 8월 제2차 인권선언 제7조 _1071

맺음말 _1074

참고문헌 _1089

인명색인 _1112

색인 _1121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