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역 영애, 영애, 성녀 그리기 또는 언어유형론 관점에서 본 한국어 내포절과 접속절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악역 영애, 영애, 성녀 그리기 또는 언어유형론 관점에서 본 한국어 내포절과 접속절

땅끝
2024-12-19 07:52 167 0

본문




악역 영애, 영애, 성녀 그리기
9791127474881.jpg


도서명 : 악역 영애, 영애, 성녀 그리기
저자/출판사 : 포스트 미디어 편집부,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쪽수 : 100쪽
출판일 : 2024-05-10
ISBN : 9791127474881
정가 : 26000

이 책의 사용법
일러스트레이터 프로필
제1장 영애 · 악역 영애 · 성녀의 기본 의상
드레스에 관한 기초 지식

01 서양 드레스의 역사
02 대표적인 드레스의 실루엣
03 대표적인 넥라인(목둘레) 디자인
04 대표적인 칼라(옷깃) 디자인
05 대표적인 스커트 디자인
column 스커트 실루엣을 만드는 기구 크리놀린

제2장 영애 · 악역 영애 · 성녀를 그리자
*상냥한 아가씨
잠행 스타일
웨딩 스타일

*마법학교에 다니는 영애
마법학교의 표현
기숙사에서의 잠옷
만찬회 드레스

*원래 주인공
아이 모습
무도회 드레스

*고저스하고 기품 있는 영애
침실에서의 네글리제
외출복

*고압적인 영애
드레스의 매무새
밤의 연회용 드레스

*쿨한 아가씨
자신의 방에서 생활하기
승마복

*추방당한 성녀
부상자를 마법으로 치료하기
추방당한 여행자 복장으로

특기를 지닌 성녀
작업복
부엌에서의 모습
column 타입별 의상 디자인의 포인트

제3장 영애 · 악역 영애 · 성녀의 액션
01 걷기 · 달리기
02 앉기
03 편안한 휴식
04 수면
05 인사하기
06 부채로 입가 가리기
07 춤추기
08 공주님 안기
09 악역 포즈
10 검을 뽑기 · 자세 잡기

제4장 영애 · 악역 영애 · 성녀의 헤어 카탈로그
스트레이트×롱/스트레이트×롱(하프 업)/스트레이트×롱(업)
스트레이트×롱(포니테일)/가운데 가르마×롱/가운데 가르마×롱(하프 업)
가운데 가르마×롱(업)/가운데 가르마×롱(포니테일)/웨이브×롱
웨이브×롱(하프 업)/웨이브×롱(업)/웨이브×롱(세 가닥 땋기)
강한 웨이브 /강한 웨이브(세 가닥 땋기)
공주님컷/세로 롤
앞머리 배리에이션
보브/숏컷(카추샤)/숏컷(인테이크)

제5장 커버 일러스트레이션
01 영애 디자인하기
02 사전 준비-액세서리 선화 만들기
03 러프를 가이드로 선화 작성하기
04 밑칠
05 피부 칠하기
06 눈동자 칠하기
07 머리카락 칠하기
08 장갑 칠하기
09 옷 칠하기
10 액세서리 칠하기
11 마무리 작업으로 전체 퀄리티 높이기
12 완성 일러스트




언어유형론 관점에서 본 한국어 내포절과 접속절
9788957339053.jpg


도서명 : 언어유형론 관점에서 본 한국어 내포절과 접속절
저자/출판사 : 문숙영, 아카넷
쪽수 : 824쪽
출판일 : 2023-12-29
ISBN : 9788957339053
정가 : 42000

머리말

1부 기본적 논의

1장 절의 개념과 종류
1.1. 절과 문장
1.2. 복문의 범위
1.3. 절의 종류
2장 의존적인 절과 독립적인 절의 구분
2.1. 정형성의 개념
2.2. 정형성 관련 문법범주
2.3. 의존절과 독립절 사이의 비대칭의 종류
2.4. 의존절이 독립절로 발달하는 탈종속화 현상
2.5. 정형성과는 다른, 탈종속화 구성의 특징

2부 한국어의 관형사절

3장 관계절에 대한 언어유형적 접근
3.1. 관계절의 정의와 종류
3.2. 관계절 유형론의 변인
3.3. 관계절과 명사보어절이 구분되는 언어, 구분되지 않는 언어
4장 한국어 관계절의 위상
4.1. 관계절과 명사보어절 구분의 어려움
4.2. 관계절도 보어절도 아닌 관형사절의 존재
4.3. 수식 관계와 의미화용적 적절성
5장 한국어 관형사절의 종류와 특성에 관한 몇 문제
5.1. 내핵관계절인가, 명사보어절인가
5.2. 인용의 관형사절과 문장형 관형사절
5.3. 관형사형어미의 의미

3부 한국어의 명사절

6장 명사화와 명사절에 관한 언어유형적 접근
6.1. 명사화의 종류
6.2. 명사화의 명사성/동사성 척도와 정도성
6.3. 명사화와 명사절의 기능
7장 한국어 명사절의 종류와 위상
7.1. 명사절의 분포
7.2. ‘것’ 명사절의 성립
7.3. ‘것’ 명사절의 활약
7.4. 보어절 방책과 명사절
8장 한국어의 명사화와 명사화소에 관한 몇 문제
8.1. ‘음’, ‘기’의 범주와 명사화 정도
8.2. 명사형어미의 의미
8.3 ‘음’, ‘기’와 ‘은/을 것’이 포함된 어미와 어미 상당 구성

4부 한국어의 부사절과 접속절

9장 부사절에 관한 언어유형적 접근
9.1. 절 연결의 유형론
9.2. 범언어적 범주로서의 부동사와 한국어
9.3. 독립적인 부사절과 내포적인 부사절
9.4. 부사절의 정의적 속성
10장 의존적이지만 내포는 아닌, 한국어의 종속접속절
10.1. 종속접속절의 비-내포적 속성
10.2. 종속접속절의 의존성과 독립성
10.3. 종속접속절의 정보적 지위와 담화 기능
11장 부사절과 접속절의 분류 및 특징에 관한 몇 문제
11.1. 병렬접속절과 종속접속절의 구분
11.2. 파생부사와 부사형 구분의 어려움: ‘이/히, 게’를 중심으로
11.3. 필수적 부사절
11.4. 단독으로 쓰이는 종속접속절

5부 한국어의 인용절

12장 한국어 인용절의 종류와 특징
12.1. 인용의 속성과 유형
12.2. 간접인용절의 문법
12.3. 인용절에 대한 언어유형적 논의
13장 자유간접화법과 해석적 사용
13.1. 자유간접화법의 구현 방식
13.2. 자유간접화법의 지표와 한국어 문법
13.3. 인용과 해석적 사용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