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한국어 중첩어 변이형 탐사 또는 재난의 대중문화 : 자연재해·역병·괴이
땅끝
2024-12-19 07:52
37
0
본문
제주 한국어 중첩어 변이형 탐사
도서명 : 제주 한국어 중첩어 변이형 탐사
저자/출판사 : 강석한, 한국문화사
쪽수 : 160쪽
출판일 : 2024-03-22
ISBN : 9791169191951
정가 : 21000
머리말
1. 들어가는 말 11
1.1. 중첩어 11
1.2. 제주 한국어 중첩어
1.3. 완전 중첩어와 유사 중첩어
1.4. 중첩어 음상 의미 강화
요약
2. 중첩어 변이형 형성
2.1. 완전 중첩어 변이형
2.1.1. 1차 강화형(단순 완전 중첩어)
2.1.2. 2차 강화형(복합 완전 중첩어)
2.2. 유사 중첩어 변이형
요약
3. 강화형 중첩어 변이 양상
3.1. 자음 교체
3.1.1. 어두 자음 교체
3.1.2. 자질 교체
3.1.3. 말음 교체
3.2. 모음 교체
3.2.1. 모음 교체 양상
3.2.2. 모음 교체 과정
3.2.3. 모음 교체 분포
3.3. 유사 중첩어
3.3.1. 자음 대조
3.3.2. 모음 대조
3.3.3. 이형태
요약
4. 음상 강화의 음성학적 요소
4.1. 자음
4.1.1. 폐쇄음
4.1.2. 파찰음
4.1.3. 음절 말음
4.2. 모음
4.2.1. 모음 음상 강화
4.2.2. 음상 강화 음성 신호
4.2.3. 모음 음향
요약
5. 음운론적 분석
5.1. 규칙 적용
5.1.1. 자음
5.1.2. 모음
5.1.3. 음절 삽입
5.1.4. 음절 첨가
5.2. 최적성 이론 적용
5.2.1. 강화형 완전 중첩어
5.2.2. 강화형 유사 중첩어
5.2.3. 음절 첨가 강화형 완전 중첩어
참고문헌
찾아보기
재난의 대중문화 : 자연재해·역병·괴이
도서명 : 재난의 대중문화 : 자연재해·역병·괴이
저자/출판사 : 고마쓰 가즈히코 엮음 · 류정훈 , 이가현 번역, 보고사
쪽수 : 366쪽
출판일 : 2024-02-05
ISBN : 9791165876685
정가 : 26000
역자 서문
일러두기
|서장| 역병과 자연재해에 관한 대중문화론 시도_[고마쓰 가즈히코]
|제1장| 역병과 괴이, 요괴_[후쿠하라 도시오]
막부 말기 에도를 중심으로
들어가며
1. 역귀의 약속어음과 콜레라 요괴
2. 예언의 짐승 - 가와라반과 사본
3. 1862년의 역병 보내기
나가며
|제2장| 역병 놀이_ [가가와 마사노부]
천연두신 축제와 장난감
소개 - 2020년의 아마비에
1. 천연두신 축제와 장난감
2. 에도시대의 천연두 인식
3. 놀이하는 천연두
4. 역병 놀이
|제3장| 메기 그림과 에도의 대중문화_[고마쓰 가즈비피]
1. 메기 그림이란 무엇인가
2. 요석·가시마의 신·메기
3. 메기 그림이 전하는 지진 재해 이후의 세상
4. 메기 그림의 취향과 대중문화
5. 난해한 메기 그림의 취향을 풀다
6. 메기 그림의 현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제4장| 막부 말 콜레라의 공포와 망상_[다가하시 사토시]
프롤로그
1. 콜레라 유행의 시작
2. 죽음에 대한 공포와 망상
3. 여우에는 미쓰미네산의 개
에필로그
연구노트
화재·소설·인명_[이토 신고]
『가나데혼 주신구라』의 패러디를 둘러싸고
|제5장| 감기의 신 보내랏_[다카오카 히로유키]
설화를 만들어내는 또 다른 세계
1. 도시의 기억과 고전 라쿠고
2. 역병신 보내기 구조
3. 설화 속의 역병신
4. 이야기에 맡겨진 '생각'
결론
|제6장| 오로치와 호라가이와 천변지이_[사이토 준]
1. 구와노야마산의 오로치
2. 오로치와 천변지이
3. 호라가이와 천변지이
4. 호라가이와 류자
|제7장| 오카모토 기도와 역병_[요코야마 야스코]
병력과 작품
들어가며
1. 오카모토 기도와 인플루엔자
2. 오카모토 기도와 콜레라
3. 질병 문학에서 얻을 수 있는 오락과 교훈
|제8장| 근대, 주사위의 눈, 역병 경험_[고자이 도요코]
메이지기의 위생 스고로쿠로 보는 일상과 전염병
들어가며 - 역병의 근대
1. 『위생 스고로쿠』 1884년
2. 『위생 스고로쿠』 1892년
3. 『위생 스고로쿠』 1903년
4. 맺으며 - 위생 스고로쿠라는 역병 경험
|제9장| 변모하는 재해 기념물_[가와무라 기요시]
재해를 둘러싼 기억의 동태
1. 기념물이 표상하는 역사와 기억
2. 동일본 대지진의 기념물 - 게센누마를 사례로
3. 이야기와 기념물
4. 제도화의 틈새와 다양성으로의 우회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