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운 선과 치유의 세계 또는 고려청자·조선백자에 대한 오마주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자유로운 선과 치유의 세계 또는 고려청자·조선백자에 대한 오마주

땅끝
2024-01-25 08:44 557 0

본문




자유로운 선과 치유의 세계
9791162013489.jpg


도서명 : 자유로운 선과 치유의 세계
저자/출판사 : 무각, 담앤북스
쪽수 : 410쪽
출판일 : 2022-02-18
ISBN : 9791162013489
정가 : 23000

감사의 글 _4

Ⅰ. 서문 _13
1. 연구 목적 _14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_17

Ⅱ. 무문관無門關의 의의意義 _21
1. 공안집公案集 『무문관無門關』의 특징特徵 _24
1) 무문혜개無門慧開선사 행장行狀 _24
2) 공안집公案集 『무문관無門關』 _25
3) 공안집公案集 『무문관無門關』 화두話頭의 네 가지 유형類型 _27
2. 『무문관無門關』의 현대적現代的 의미意味 _30
1) 『무문관無門關』의 세 가지 입장立場 _30
2) 무자공안無字公案의 선종사적禪宗史的 배경背景 및 탁월성卓越性 _31
(1) 조주무자공안趙州無字公案의 탄생誕生 배경背景 _31
3. 『무문관無門關』의 현대적現代的 의의意義 _39

Ⅲ. 무문혜개無門慧開선사의 간병론揀病論 _41
1. 화두병통話頭病痛의 분류分類 _51
1) 대혜大慧의 간화看話 병통病痛 _51
2) 몽산蒙山의 무자십절목無字十節目 _52
2. 무문혜개無門慧開선사의 「선잠禪箴」 _59

Ⅳ. 「선잠禪箴」을 통해 본 공안집公案集 『무문관無門關』에 나타난
병통病痛과 치유治癒의 예 _63
1. 공안집 『무문관無門關』에 나타난 병통과 치유 및 공안의 분류 _64
2. 공안집 『무문관無門關』에 나타난 병통 및 치유의 예 _71
1) 순규수구循規守矩 무승자박無繩自縛의 병통 및 치유 _71
(1) 제13칙 덕산탁발德山托鉢의 예 _71
2) 종횡무애縱橫無?외도마군外道魔軍의 병통 및 치유 _81
(1) 제7칙 조주세발趙州洗鉢의 예 _81 (2) 제16칙 종성칠조鐘聲七條의 예 _84
3) 존심징적存心澄寂 묵조사선?照邪禪의 병통 및 치유 _89
(1) 제5칙 향엄상수香嚴上樹의 예 _89 (2) 제19칙 평상시도平常是道의 예 _94
(3) 제24칙 이각어언離却語言의 예 _98 (4) 제41칙 달마안심達磨安心의 예 _112
4) 자의망연恣意忘緣 타락심갱墮落深坑의 병통 및 치유 _121
(1) 제3칙 구지수지俱?竪指의 예 _121 (2) 제6칙 세존염화世尊拈花의 예 _130
(3) 제37칙 정전백수庭前柏樹의 예 _133 (4) 제42칙 여자출정女子出定의 예 _137
5) 성성불매惺惺不昧 대쇄담가帶鎖擔枷의 병통 및 치유 _141
(1) 제12칙 암환주인巖喚主人의 예 _141 (2) 제17칙 국사삼환國師三喚의 예 _145
(3) 제20칙 대역량인大力量人의 예 _149
6) 사선사악思善思惡 지옥천당地獄天堂의 병통 및 치유 _158
(1) 제23칙 불사선악不思善惡의 예 _158 (2) 제26칙 이승권렴二僧卷簾의 예 _163
(3) 제29칙 비풍비번非風非幡의 예 _178
7) 불견법견佛見法見 이철위산二?圍山의 병통 및 치유 _184
(1) 제1칙 조주구자趙州狗子의 예 _184 (2) 제4칙 호자무수胡子無鬚의 예 _189
(3) 제10칙 청세고빈淸稅孤貧의 예 _191 (4) 제11칙 주감암주州勘庵主의 예 _199
(5) 제15칙 동산삼돈洞山三頓의 예 _207 (6) 제18칙 동산삼근洞山三斤의 예 _217
(7) 제21칙 운문시궐雲門屎?의 예 _226 (8) 제25칙 삼좌설법三座說法의 예 _237
(9) 제27칙 불시심불不是心佛의 예 _246 (10) 제28칙 구향용담久響龍潭의 예 _252
(11) 제33칙 비심비불非心非佛의 예 _262 (12) 제36칙 노봉달도路逢達道의 예 _271
(13) 제38칙 우과창령牛過窓?의 예 _276 (14) 제48칙 건봉일로乾峯一路의 예 _281
8) 념기즉각念起卽覺 농정혼한弄精魂漢의 병통 및 치유 _288
(1) 제2칙 백장야호百丈野狐의 예 _288 (2) 제9칙 대통지승大通智勝의 예 _297
(3) 제30칙 즉심즉불卽心卽佛의 예 _304( 4) 제39칙 운문화타雲門話墮의 예 _312
(5) 제40칙 적도정병?倒淨甁의 예 _318 (6) 제43칙 수산죽비首山竹?의 예 _324
(7) 제44칙 파초주장芭蕉?杖의 예 _327 (8) 제45칙 타시아수他是阿誰의 예 _333
(9) 제47칙 도솔삼관兜率三關의 예 _336
9) 올연습정兀然習定 귀가활계鬼家活計의 병통 및 치유 _343
(1) 제34칙 지불시도智不是道의 예 _34 (2) 제35칙 청녀이혼?女離魂의 예 _347
10) 진즉미리進則迷理 퇴즉승종退則乘宗과
불진불퇴不進不退 유기사인有氣死人의 병통 및 치유 _353
(1) 제8칙 해중조차奚仲造車의 예 _353 (2) 제14칙 남전참묘南泉斬猫의 예 _357
(3) 제22칙 가섭찰간迦葉?竿의 예 _367 (4) 제31칙 조주감파趙州勘婆의 예 _379
(5) 제32칙 외도문불外道問佛의 예 _384 (6) 제46칙 간두진보竿頭進步의 예 _388

Ⅴ. 현대적 의미의 간화선看話禪 수행법 _395
1. 현대인의 간화선 수행법 _396
2. 간화선 수행법과 병통의 치유 _397

Ⅵ. 맺는말 _399
참고문헌 _402
표1. 『무문관』 「선잠」의 열 가지 병통과 치유의 예시에 해당하는 공안 _406
표2. 불조기연佛祖機緣 48칙 _407
부록. 선종법계도 _408




고려청자·조선백자에 대한 오마주
9788992074780.jpg


도서명 : 고려청자·조선백자에 대한 오마주
저자/출판사 : 이토,이쿠타로, 컬처북스
쪽수 : 588쪽
출판일 : 2022-02-10
ISBN : 9788992074780
정가 : 30000

추천사 | 정양모
한국어판 서문

제1부 고려편高麗篇

제1장 고려도자사고高麗陶磁史考
머리말
1. 청자의 기원
2. 고려도경
3. 청자 기와
4. 상감청자
5. 고려청자의 장식 기법
6. 동채와 금채(화금畵金)청자
7. ‘정릉正陵’명銘의 완
참고 자료
보충 설명補說

제2장 고려청자를 둘러싼 여러 문제 -편년론編年論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9세기 전반~10세기 전반
3. 10세기 후반~11세기 전반
4. 11세기 후반
5. 12세기 전반~13세기 중엽
6. 13세기 후반~14세기 전반
7. 14세기 후반
8. 맺음말
참고 자료
보충 설명補說

제3장 고려청자의 조형적 특성
1. 머리말
2. 기형에 있어서의 고려화
3. 문양에 있어서의 고려화
4. 유색에 있어서의 고려화
5. 장식 기법에 있어서의 고려화
6. 맺음말
참고 자료
보충 설명補說

제4장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에서의 비색청자翡色?磁의 실상
1. 비색翡色청자 실상의 애매함
2. 비색翡色이라는 유색
3. 비색翡色의 ‘도준陶尊’
4. 비색翡色의 ‘도로陶爐’
5. 맺음말

제5장 고려청자의 주변

제6장 고려청자에 대한 오마주
1. 머리말
2. 유색에 대해서
3. 기형에 대해서
4. 문양에 대해서
5. 상감청자에 대해서
6. 고려청자의 미의식美意識에 대해서

제7장 정담鼎談: 사랑스러운 고려청자

제8장 고려 도자의 명품 컬러 도판·해설

제2부 조선편朝鮮篇

제1장 조선도자사고朝鮮陶磁史考 자기편磁器篇
머리말
1. 백자의 기원
2. 광주 관요의 설립
3. 청화의 발전
4. 조선 전기 자기의 조형적 특질
5. 임진왜란, 정유재란 이후
6. 철화와 동화
7. 조선 중기 자기의 조형적 특질
8. 분원리 시대
9. 조선 후기 자기의 조형적 특질
참고 자료
보충 설명補說

제2장 조선시대 관요官窯의 성립과 전개
머리말
1. 광주廣州 관요 설립의 배경
2. 사옹원의 분원
3. 가마터 조사에서 본 관요의 변천
참고 자료
보충 설명補說

제3장 조선백자의 궤적-어기御器, 제기祭器, 문방구
1. 머리말
2. 조감도
3. 국왕의 그릇-전기 백자
4. 역사의 단층 - 전기에서 중기로
5. 제기 - 중기의 백자
6. 문방구 - 후기의 백자
7. 광주 - 조선백자의 고향
보충 설명補說

제4장 조선백자의 미학
1. 조선백자의 미적 성격
2. 조선백자의 미적 평가
보충 설명補說

제5장 조선 도자의 조형적 특질
1. 머리말
2. 기형에서의 ‘조선화’
3. 문양에서의 ‘조선화’
4. 유색에서의 ‘조선화’
5. 장식 기법에서의 ‘조선화’
6. 조선 도자에 대한 인식
7. 맺음말
보충 설명補說

제6장 조선백자대호朝鮮白磁大壺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1. 머리말
2. 고전의 첫 번째 원리
3. 고전의 두 번째 원리
4. 고전의 세 번째 원리
보충 설명補說

제7장 시가志賀 씨의 항아리壺
1. 프롤로그
2. 항아리가 있는 곳
3. 예조豫兆의 색
4. 원질原質의 모습
5. 에필로그
보충 설명補說

제8장 생각나는 대로-간사이關西 지방의 조선 도자 수집가
보충 설명補說

제9장 「조선 도자」와 시詩
보충 설명補說

제10장 대담對談: 아사카와 노리타카?川伯?란 도대체 어떤 사람이었나?
보충 설명補說

제11장 조선 도자의 명품 컬러 도판·해설

제3부 자료편資料篇

1. 고려 도자·조선 도자 용어 해설
2. 요지 분포도
3. 한국도자사 일본어 문헌 목록
4. 주요 저작 목록

후기

부록
1. 도판 목록圖版(??目?
2. 동아시아 대조 연표年表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