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으로 읽는 세계사 또는 조경의 미래를 묻다
땅끝
2024-12-18 10:33
159
0
본문
몸으로 읽는 세계사

도서명 : 몸으로 읽는 세계사
저자/출판사 : 캐스린 페트라스 , 로스 페트라스, 다산초당
쪽수 : 376쪽
출판일 : 2023-01-13
ISBN : 9791130695303
정가 : 19800
서문
1. 구석기 시대 여성의 손: 동굴 벽화에 숨겨진 의미
2. 핫셉수트 여왕의 턱수염: 노련한 정치인의 특별한 소품
3. 제우스의 음경: 작을수록 아름다운 그리스 미학
4. 클레오파트라의 코: 마지막 파라오의 진정한 능력
5. 찌에우 티 찐의 가슴: 유교 사상에서 여성 슈퍼히어로를 묘사하는 법
6. 성 커스버트의 손톱: 가톨릭이 본 돈의 맛
7. 쇼크 부인의 혀: 신을 부르는 최초의 바디피어싱
8. 알 마아리의 눈: 눈 덕분에 성공한 아랍 시의 거장
9. 티무르의 다리: 절름발이의 잔혹한 성공 스토리
10. 리처드 3세의 등: 셰익스피어의 마케팅 전략
11. 마르틴 루터의 장: 화장실에서 탄생한 종교개혁
12. 앤 불린의 심장: 나눌수록 좋은 매장
13. 찰스 1세와 올리버 크롬웰의 머리: 슈퍼스타 순교자의 연극
14. 카를로스 2세의 합스부르크 턱: 가까운 사람과 결혼하면 생기는 문제
15. 조지 워싱턴의 의치: 빼앗긴 이가 불러온 해방
16. 베네딕트 아널드의 다리: 가장 뛰어난 군인이자 배신자
17. 마라의 피부: 죽었기 때문에 좋아진 사람
18. 바이런 경의 발: 나쁜 남자 이미지에 숨겨진 진심
19. 해리엇 터브먼의 뇌: 저울추가 탄생시킨 비밀 결사
20. 벨 가족의 귀: 청각장애가 발명한 전화기
21. 카이저 빌헬름의 팔: 난산이 불러온 1차 세계대전
22. 메리 맬런의 쓸개: 몸에서 바이러스가 나오는 사람
23. 레닌의 피부: 죽은 사람을 되살리는 연구
24. 치우진의 발: 동여맬수록 자유로워진 여성
25. 아인슈타인의 뇌: 뇌가 밝히는 천재성의 비밀
26. 프리다 칼로의 척추: 대형 사고가 그려 낸 셀피
27. 앨런 셰퍼드의 방광: 특대, 거대, 믿기지 않는 크기
참고문헌
감사의 글
조경의 미래를 묻다

도서명 : 조경의 미래를 묻다
저자/출판사 : 임승빈 , 강철기 , 권영휴 , 김경인 , 김대수 ,, 한숲
쪽수 : 232쪽
출판일 : 2023-06-01
ISBN : 9791187511397
정가 : 15000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신자연주의 조경 - 임승빈
조경의 미래를 묻다
다시, 조경의 이름을 묻는다 - 배정한
조경의 명칭을 바꾸는 문제, 이제는 논의할 때다 - 조경진
조경의 미래, 조경학의 미래 - 김영민
조경의 기본에서 미래를 구한다 - 신지훈
‘젊은 조경가’ 공모를 준비하다가, 문득 - 남기준
예측 불가능 시대의 조경_제58차 세계조경가대회의 성과와 의의 - 서영애
지방조경의 르네상스를 기대하며 - 이유직
조경을 넘어 조경으로
슬기로운 조경 생활, 미래에도 사랑받는 조경 - 최영준
조경은 예쁘면 되는 거 아냐_관성의 조경을 넘어 - 정욱주
지식 소매상 조경가가 필요하다 - 정해준
온고지신, 디지털 대동여지도 - 손학기
이제 경관자원이다 - 주신하
진정성과 시대 지능_시대적 가치를 창조하는 공간 디자인 - 유승종
연산적 설계, 조경의 새로운 도구 - 이유미
변화하는 사회, 조경의 역할
사회 변화에 부응하는 조경 - 양병이
조경의 변화_시기, 정도, 속도가 중요하다 - 홍광표
시민참여 녹화운동을 통한 사회적 자본 형성 - 이애란
건강한 노후를 위한 인지 건강 디자인 - 김경인
미래 세대에게 다양한 녹색 봉사 기회를 - 이윤주
포용도시 시대, 조경 전문가의 사회적 역할 - 이재준
조경산업의 미래
조경 진흥? 왜, 무엇을 해야 할까 - 최정민
조경산업의 미래와 대응 방안 - 권영휴
조경산업, 믿음 없는 시장에 미래가 있는가 - 한용택
조금 더 나아진 조경의 미래가 반드시 있지 않을까요 - 김대수
정원의 부활, 식물의 전성시대
정원의 새로운 정의가 필요한 시대 - 박희성
정원, 일상의 놀이가 되다 - 이성현
조경이라 쓰고 정원을 말하다 - 진혜영
길이 정원이다 - 최희숙
전시연출 조경과 정원문화 관광 상품화 - 안인숙
바람도 소리도 조경이다 - 이종석
도시에 생명을 심자 - 이은수
정확하고 통일된 나무 이름을 사용해야 한다 - 강철기
식물, 얼마나 아십니까 - 이근향
미래의 도시공원
미래 도시와 공원의 지향점 - 최혜영
도시공원 조성 시대의 폐막과 이용 시대의 서막 - 안승홍
학교숲에서 ‘숲속 학교’를 꿈꾼다 - 김인호
2050년에 본 국가도시공원 - 김승환
용산공원, 꼭 지켜야 할 국민과 한 약속 - 조경진
기후변화 시대의 조경
그린 히어로, 팬데믹과 기후 위기 시대의 조경 - 박명권
넷제로 사회로의 전환과 조경 - 이은희
코로나19가 만들 공원 - 김대현
기후 위기 시대, 조경은 어떤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까 - 김진수
기후변화 대응, 조경의 새로운 소명 - 오충현
우리는 지구를 지킬 수 있을까 - 제상우
에필로그: 그린 유토피아, 지구적 재난 극복을 위한 미래 도시 - 임승빈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