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 영문법 명쾌한 문제 대공략 중1 또는 학부모의 마음 읽기와 지혜로운 소통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중학 영문법 명쾌한 문제 대공략 중1 또는 학부모의 마음 읽기와 지혜로운 소통

땅끝
2024-12-18 10:33 133 0

본문




중학 영문법 명쾌한 문제 대공략 중1
9791165261764.jpg


도서명 : 중학 영문법 명쾌한 문제 대공략 중1
저자/출판사 : 키 영어학습방법연구소, 키출판사
쪽수 : 232쪽
출판일 : 2023-06-13
ISBN : 9791165261764
정가 : 14000

CHAPTER 01 be동사
Unit 01 인칭대명사와 be동사
Unit 02 be동사의 부정문, 의문문

CHAPTER 02 일반동사
Unit 03 일반동사의 변화
Unit 04 일반동사의 부정문, 의문문

CHAPTER 03 시제
Unit 05 과거시제 (be동사)
Unit 06 과거시제 (일반동사)
Unit 07 진행시제
Unit 08 미래시제

CHAPTER 04 명사
Unit 09 셀 수 있는 명사, 셀 수 없는 명사
Unit 10 There is [are]

CHAPTER 05 대명사
Unit 11 인칭대명사, 재귀대명사
Unit 12 비인칭 주어 it, 부정대명사 one

CHAPTER 06 조동사
Unit 13 can, may
Unit 14 must, have to, should

CHAPTER 07 형용사와 부사
Unit 15 형용사
Unit 16 부사
Unit 17 원급, 비교급, 최상급

CHAPTER 08 문장의 형식
Unit 18 1형식, 2형식, 3형식 문장
Unit 19 4형식 문장
Unit 20 5형식 문장

CHAPTER 09 수동태
Unit 21 수동태의 형태 1
Unit 22 수동태의 형태 2

CHAPTER 10 to부정사와 동명사
Unit 23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Unit 24 to부정사의 형용사적, 부사적 용법
Unit 25 동명사

CHAPTER 11 문장의 종류
Unit 26 명령문, 청유문, 의문문
Unit 27 감탄문, 부가의문문

CHAPTER 12 전치사와 접속사
Unit 28 전치사
Unit 29 접속사 1
Unit 30 접속사 2

FINAL TEST
Final Test 1 (Chapter 01~06)
Final Test 2 (Chapter 07~12)




학부모의 마음 읽기와 지혜로운 소통
9791189404796.jpg


도서명 : 학부모의 마음 읽기와 지혜로운 소통
저자/출판사 : 유아교육디자인연구소, 맘에드림
쪽수 : 324쪽
출판일 : 2023-01-11
ISBN : 9791189404796
정가 : 20000

저자의 말. 놀이중심 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들을 위한 따뜻하고 지혜로운 소통 이야기

CHAPTER 01 학부모와의 관계 맺기
“안녕하세요, 만나서 반갑습니다!”

01 교사-학부모의 거리 좁히기
“학부모의 ‘마음 읽기’는 왜 중요할까?”
02 이미지 형성하기
“교사에게 학부모는 어떤 존재인가?”
03 학부모의 마음 읽기
“마음을 움직이려면, 마음을 읽어야 한다”
04 학부모의 욕구 읽기
“세상에 똑같은 부모는 없고, 욕구도 저마다 다르다”
05 학부모의 성장 읽기
“세상에는 완벽한 교사도, 완벽한 부모도 없다”
06 학부모와의 동행
“공감으로 소통하는 교사, 교육 동반자로 성장하는 부모”


CHAPTER 02 학부모와의 다양한 만남들
“어떻게, 왜, 무엇을?”

01 1차 교육과정 설명회
“철학을 공유하며, 긍정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02 2차 교육과정 설명회
“기관의 교육 비전과 함께 교육과정을 공유한다”
03 학급 오리엔테이션
“담임으로서의 의지와 교육적 소명을 전달한다”
04 1학기 학부모 상담
“유아의 적응을 궁금해하는 학부모의 마음을 헤아린다”
05 2학기 학부모 상담
“유아의 성장을 공유하며, 진솔한 대화를 나눈다”
06 학부모 참관수업
“놀이중심 교육에 대한 신뢰와 협조를 이끌어낸다”
07 학부모 참여수업
“유아와 함께 놀면서 놀이의 의미를 직접 경험하다”
08 학부모 교육과정 평가회
“의견 수렴과 결과 공유로 교육 파트너십을 형성한다”
09 학부모 소모임
“다양한 소모임을 운영해 학부모의 자발성을 높이다”
CHAPTER 03 사례를 통한 학부모의 마음 읽기
“이럴 땐 어떻게 소통하면 좋을까?”

01 모든 게 불안하고 걱정스러워요
사실 나도 아이와 떨어지기 불안해요/ 왜 우리 애만 친구가 없을까요?/ 왜 이렇게 전화를 안 받으세요/ 우리 애는 일일이 다 챙겨줘야 해요/ 우리 애가 ADHD일 리 없어요!/ “매번 우리 애만 당하는 거 같군요/ 아픈 애니까 당연히 걱정스럽죠...”/ 자꾸 친구 몸을 궁금해한다고요?/ “참관수업에서 또 돌발행동하면.../ 아시죠? 우리 애 알레르기 심한 거

02 자꾸 의심하고 오해하게 돼요
선생님은 왜 우리 애만 미워하시지?/ 선생님, 애 안 키워보셨죠?/ ‘놀이’로 뭘 얼마나 배우겠어요?/ 선생님, 설마 이 정도 개념은 아시죠?/ 바깥놀이, 그거 꼭 해야 해요?/ 우리 애는 편식지도 필요 없어요/ 장애아랑 같은 반 안 하면 좋겠어요/ 성이요? 아직 어린데 뭘 알겠어요!/ 혹시 우리 아이 몰래 때리셨나요?/ 범인 잡게 CCTV 보여주세요!

03 선생님은 만능 해결사… 맞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 제 사정 뻔히 아시면서/ 선생님이 더 신경 써주세요/ 우리 애 아픈 거 아니라니까요!/ 통학버스 노선 좀 바꿔주세요!/ 선생님, 그냥 반 바꿔주세요/ 성교육 제대로 안 하나요?/ 선생님이 눈치껏 챙겼어야죠/ 여기서 다쳤으니 다 보상해주세요!

04 우리 아이에게 나는 좋은 부모일까요?
미안해서 아이를 혼낼 수 없어요/ 저도 할 만큼 했고, 이제 지쳤어요/ 난 부모로서 부족한 사람일까요?/ 스마트폰이라도 줘야 제가 좀 쉬죠!/ 할머니라고 날 무시해?/ 한국말은 너무 어려워요/ 아이가 날 무시하는 것 같아요/ 우리 집은 한부모가족입니다/ 더 이상 훈육할 여력이 없어요


참고자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