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시 또는 백제 성곽연구와 한국 고고학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시 또는 백제 성곽연구와 한국 고고학

땅끝
2024-12-25 10:41 181 0

본문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시
9788963396842.jpg


도서명 :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시
저자/출판사 : 정훈진, 책나무출판사
쪽수 : 208쪽
출판일 : 2022-08-16
ISBN : 9788963396842
정가 : 15000

파미르·20 / 한끼·24 / NOW(이제)·26 / 꽃·30 / 꽃2·31 / 저녁 예찬·32 /
기도·36 / 시와 함께·38 /오동도 카페·39 / 낚시·40 / 신구 대화록·42 /
소고기 한 덩어리·50 / 바람아·52 / 나도 할 말 있다·56 / 좋은 것들·58 /
서귀포의 사랑·60 / Love in Seogwipo(English)·62 / 봄·66 / 봄날·68 /
옛이야기·70 / 풀꽃·74 / 월출산·78 /늦봄·79 / 기다림·80 / 마우이의 밤·82 /
같으다·84 /긴 잠·86 / 걸다·87 / 겁이 나·88 / 괜찮아·90 /
떠나간 건 아니에요·92 / 기도문·94 / 일장춘몽·96 /달라스의 행복·98 /
달콤한 꿈·99 /마음은 콩밭·100 / 바래봉·101 / 벗·102 / 비 갠 후·103 /삶·104 /
생각 한 조각·106 / 엘리베이터 풍경 2019·108 / 여수 shot time·109 /
응답하라 1928·114 / 이 비 그치면·115 / 자다 깬 밤·116 /조금밖에·118 /
청개구리·120 / 하롱베이·122 / 해 질 녘 곰소·124 / 무제·125 / 이순·126 /
까리깔삼·130 / 딜(Deal)·132 /모르겠어요·133 / 사나이·134 /
사는 건 다 그래·136 / 산책·138 /아름다운 날·141 / 안녕 가을아!·142 /
월악산·143 / 이순·144 /카페모카·145 / 커피·146 / 자화상·148 / 그날·150 /
술·156 / 정체·160 / 길·162 / 나는 참!·164 / 말하자면·166 /문·168 /
자유에게·170 / “쫄면 안 돼”·174 / 구멍(pot hole)의 일생·178 /
육십이 되면·182 / 1979년, 그 후·184 / 우문우답(세심/심우)·186 /
가난한 시인·188 / 비·190 / 신겐쇼부·191 /함열읍 소묘·192 /
자연인 대화록·193 / 삶 그리고 시·194 / DNA·200 /다시 봄·202 /
이기적 유전자·204




백제 성곽연구와 한국 고고학
9788962464795.jpg


도서명 : 백제 성곽연구와 한국 고고학
저자/출판사 : 최몽룡 외, 주류성
쪽수 : 536쪽
출판일 : 2022-06-07
ISBN : 9788962464795
정가 : 45000

〈백제사와 성곽 연구〉
■ 仁川 桂陽山城과 歷史的 脈絡 - 최몽룡(서울대 명예교수)
■ 백제 가림성에 대한 재조명 - 최병식(강남문화재단)
■ 인천 문학산성의 보존 관리 방안 - 사적 및 기념물을 중심으로 - 백종오(한국교통대학교)
■ 한성기 백제의 도성,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 신희권(서울시립대학교)
■ 한성백제 산성의 축성과 연구 검토 - 김병희(한성문화재연구원)
■ 漢城百濟 土築城郭 門址의 연구방향 - 김호준(국원문화재연구원)
■ 百濟 木柵에 대한 考察 - 황보 경(세종대학교 박물관)
■ 일제강점기 부여 부소산사지 출토 기와와 가람 - 윤용희(국립중앙박물관)
■ 고구려 안시성의 위치와 안시성주 전승의 추이 - 정호섭(고려대학교)
■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통일신라 도로의 구조와 사용시기 - 박중균(한성백제박물관)
■ 세종시의 이성(李城)과 이도(李棹) - 백영종(한성문화재연구원)
■ 일본 고대산성의 연구동향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 무카이 카즈오(일본 고대산성연구회) / 번역: 송영진(경상국립대학교박물관)

〈한국 고고학〉
■ 慶安川 反芻 : 廣州 驛洞 靑銅器時代 遺蹟 - 하문식(연세대학교)
■ 부여 송국리 유적 최근 조사 성과와 과제 - 김경택 · 주동훈(한국전통문화대학교)
■ 청동기시대 제정분리(祭政分離) 양상과 여성의 역할에 대한 일 고찰 - 한반도 중서부지역을 중심으로 - 김선우(한국과학기술원)
■ 영혼의 나비 - 홍산문화 출토 나비형 옥기로 본 고대인의 생사관에 대한 접근 - 강인욱(경희대학교)
■ 인천 계양산성 출토 토기의 고찰 - 강진주(한국교통대학교)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