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독서모임의 질문들 또는 출생을 넘어서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엄마 독서모임의 질문들 또는 출생을 넘어서

땅끝
2024-12-25 10:41 176 0

본문




엄마 독서모임의 질문들
9791187600176.jpg


도서명 : 엄마 독서모임의 질문들
저자/출판사 : 강원임, 하나의책
쪽수 : 252쪽
출판일 : 2022-10-17
ISBN : 9791187600176
정가 : 15000

프롤로그 독서모임의 세계
《엄마 독서모임의 질문들》 사용 설명서

1장 그림책-때론 글보다 그림이 많은 말을 해 준다
《곰씨의 의자》 더 큰 행복을 위해 지금 솔직해질 용기
《노를 든 신부》 다른 해석에는 다른 가능성이 존재한다
《돌 씹어 먹는 아이》 좋아하는 걸 좋아할 수 있을까?
《숲 속에서》 미지의 공포가 우리의 꿈을 가릴 때
《스갱 아저씨의 염소》 안전한 울타리보다 선택에 책임질 용기
《오리건의 여행》 지금 여기서, 죽은 감각을 깨워 여행하기
그림책을 읽고 나눈 후에-단 한 권의 그림책이 일으키는 마법

2장 에세이-같은 눈높이에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은
《싸울 때마다 투명해진다》 내 삶은 나의 것
《엄마는 페미니스트》 엄마이자 페미니스트로 살아간다는 것
《태도의 말들》 인생을 대하는 태도를 주고받은 보통 사람들의 인터뷰 시간
《분노와 애정》 분노와 애정이라는 양가성을 받아들이는 능력, 모성애
《배움의 발견》 스스로를 구원하는 배움의 길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 불편한 이야기에 귀 기울이면 들리는 고마운 마음
에세이를 읽고 나눈 후에-타인의 삶, 들여다봄의 위안과 기쁨

3장 소설-낯선 이에게 귀를 기울이면 들리는 말들
《시선으로부터,》 나로부터 시작될 이야기와 시선
《바깥은 여름》 시차를 좁히는 이야기들
《고슴도치의 우아함》 죽음으로 향하는 길목에서 아름다운 찰나들 수집하기
《스토너》 평범한 삶도 위대해질 때
소설을 읽고 나눈 후에-부드럽게 때론 고통스럽게 분열하며 알아 가는 나

4장 고전-오래 남은 이야기에는 사유가 있다
《자기만의 방》 독립된 공간과 경제적 자립 그리고 내면의 방 채우기
《마담 보바리》 일상의 권태로움을 일상의 품위로 바꾸기 위해
《그림자를 판 사나이》 이 세상이 최소한의 그림자를 지켜 주는 곳이 된다면
《프랑켄슈타인》 괴물을 만들어 낸 사람은 누구일까?
《데미안》 내 안에 숨은 '데미안'을 찾아가는 여정
《멋진 신세계》 유토피아는 사유하는 내면의 힘에서 시작된다
《1984》 빅 브라더의 세계에서 현명하게 살아남는 법
고전을 읽고 나눈 후에-무지를 깨닫고 미지를 사랑하는 즐거움

5장 인문·정치사회-나, 너, 우리로 살아간다는 것
《선량한 차별주의자》 그냥, 사람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당신이 집에서 논다는 거짓말》 나의 가사 노동 가치는 얼마로 매길 수 있을까?
《이상한 정상가족》 정상성이라는 비정상적인 거짓말
《고통은 나눌 수 있는가》 언어를 만들고 곁을 두어 고통을 덜어 내는 일
《우리는 왜 어른이 되지 못하는가》 무너진 권위를 다시 세우며 아이를 키운다는 것
《결혼과 육아의 사회학》 개별 가정이 아닌 사회 속 가정을 꿈꾸며
《지그문트 바우만, 소비사회와 교육을 말하다》 소비가 미덕이 된 시대에 울리는 경고 메시지
사회서를 읽고 나눈 후에-이해라는 끝없는 시도

에필로그 책을 읽고 나누는 엄마들이 더욱 많아지기를




출생을 넘어서
9788994606705.jpg


도서명 : 출생을 넘어서
저자/출판사 : 황경문, 너머북스
쪽수 : 584쪽
출판일 : 2022-07-13
ISBN : 9788994606705
정가 : 32000

한국어판 머리말
머리말

서론
한국 근대와 전근대의 제2 신분집단 | 서술 및 접근법

1장 출생과 관료제: 조선 시기의 사회계층
세습, 혼인, 국가 | 제2 신분집단 | 조선 사회구조의 도식

2장 신분의 개방: 관료 엘리트에 임명되다, 1880-1930
선행 연구 | 조선왕조의 관료 선발과 승진 제도 | 1880년대와 1890년대의 정부 조직 | 관료 양성 | 해외 유학 | 일본 망명 | 국내 소요, 1897-1910 | 식민지 관료제 속의 한국인 | 상승 이동의 통로: 지방 관청과 경찰 | 결론

3장 중인
중인 집단의 발전 | 중인 가문 | 논의: 국가, 전문가, 정당성

4장 향리
기원 | 조선왕조에서의 발전 | 근대 관료제에서의 등장 | 사례 연구 | 논의: 지방 사회의 전형적 존재

5장 서얼
집단의 발전 | 개화기의 서얼 관료 | 논의: 모순점과 논쟁점

6장 서북인
조선 초기 서북 사회의 기원 | 조선 후기 서북의 사회계층 | 배제에 대한 서북인의 대응 | 근대 시기의 서북인 | 논의: 민족, 지역, 집단의식

7장 무반
1880년까지 집단의 발전 | 개화기와 식민지기 관료제에서의 존재 | 근대 관료제 속의 무반 후손들 | 논의: 한국사에서 군의 역할에 대한 성찰

결론: 제2 신분집단과 한국의 근대성
한국 근대성에 대한 재고 | 관료제와 국가 | 가문 공간과 사회적 권력 | 자본주의와 계급 | 개화, 문화, 지식 | 민족주의와 반민족주의 | 한국 근대성의 심성 구조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