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풀 조지아 또는 한일 고대사의 재건축. 3: 열도의 내전과 영산강 전방후원분의 비밀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소울풀 조지아 또는 한일 고대사의 재건축. 3: 열도의 내전과 영산강 전방후원분의 비밀

땅끝
2025-01-04 07:51 155 0

본문




소울풀 조지아
9791188434527.jpg


도서명 : 소울풀 조지아
저자/출판사 : 변영숙, 마인드큐브
쪽수 : 524쪽
출판일 : 2021-10-18
ISBN : 9791188434527
정가 : 22000

▲ 작가의 말 : 아름다운 지상의 땅, 신화의 땅 조지아 | 008
▲ 덧글 : 내가 여행 사진 찍는 법 | 500

1. 트빌리시(1) 올드타운
나를 깨운 성당의 종소리 ─ 성삼위일체 성당 | 012
성물 판매점과 성상화 | 018
드디어 츠민다 사메바 | 021
조지아인에게 정교는 삶 그 자체 | 034
트빌리시 건설자 바흐탕 고르가살리와
메테히 교회 | 038
주인없는 성, 나리칼라 | 046
한손에 와인, 한손에 칼 - 조지아 어머니상 | 054
성 니노의 십자가가 보관된 시오니 성당 | 060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 아바노투바니 유황온천 | 065

2. 트빌리시(2) 루스타벨리
시간이 만든 모자이크, 루스타벨리 거리 | 070
“레닌 자서전 사세요!” - 루스타벨리 거리의 헌책 판매상 | 082
조지아 자유와 민주 수호의 성지, ‘자유광장’ | 086
러시아에 푸쉬킨, 조지아에는 루스타벨리 | 091
불운했던 천재 화가 니코 피로스마니 - 조지아 내셔널 갤러리 | 095
초기 인류인 호모 게오르기투스의 화석 - 조지아 국립박물관 | 100
작은 인형들이 펼치는 인생 갈라쇼 - 마리오네트 인형극장과 시계 타워 | 107

3. 므츠헤타
쿠라 강과 아라그비 강이 만든 십자가 - 즈바리 수도원 | 118
“난 이 신성한 성당에 묻힐 자격이 없소” - 스베티츠호벨리 성당 | 131
묵주 팔찌 만드는 수녀들 - 삼타브로 수도원 | 145
고대 조지아왕국 유적지 아르마지치헤 - 바그네티 유적지 | 151
칠십 넘어 호텔 사장이 된 전직 화가 게오르기 할아버지 | 158
신앙의 힘으로 세운 다비드 가렛자 수도원 - 동굴 수도원 단지 | 166
4. 시그나기
아블라바리 거리, 트빌리시 아르메니아 타운 - 시그나기 가는 길(1) | 178
가난한 시골길 풍경 - 시그나기 가는 길(2) | 182
길에서 만난 조지아 농부들 - “조지아는 신의 선물” | 187
도착, 드디어 코카서스 | 193
더 이상 장엄할 수 없다 - 코카서스의 일몰 | 196
골든라이언 식당에서의 즐거운 한때 - 시그나기 사랑방 | 200
시그나기는 사랑의 도시 | 210
천재는 비극적이어야 하나 - 조지아 국민화가 니코 피로스마니 | 216
보드베 수도원, 성녀 니노 잠들다 ─ 수도원 가는 길 | 225
보드베 수도원 입구에서 만난 걸인들 | 228
성녀 니노, 가슴에 십자가를 품고 잠들다 | 230
러시아 황제의 고백, “스위스보다 아름답다” | 234
시그나기 마을 산책 | 239

5. 텔라비 및 수도원 기행
텔라비, 에라클리 2세의 도시 | 248
알라베르디 대성당 | 251
중세 조지아 고등교육의 산실 - 이칼토 수도원 | 261
저녁노을이 아름다운 네크레시 수도원 | 264
카헤티 왕국의 그레미 성 | 268
카헤티, 조지아의 보르도와 브루고뉴 ─ 조지아에 와인이란 | 276
크베브리 와인, 조지아의 전통 양조기법 | 283
카헤티를 보지 않았다면 조지아 와인을 논하지 말 것 | 288
굴곡진 조지아 역사와 닮은 조지아 와인의 역사와 미래 | 293
알렉산드르 차프차바제 박물관 - 조지아 최초의 병입 와인의 탄생 | 297
킨즈마라울리, 스탈린이 사랑한 와인 | 304

6. 고리
고리 가는 길 | 310
고리스치헤(고리 성) | 313
스탈린 박물관, 고리 시를 먹여살리는 스탈린 | 316
“그녀가 죽었을 때 나의 심장도 같이 죽었소” | 322
우플리스치헤, 코카서스 최초의 집단 거주지 | 327

7. 스테판 츠민다(카즈베기)
디두베 버스터미널, 카즈베기 가는 길 | 334
진발리 호수와 아나누리 성 | 337
즈바리패스 전망대, 조지아-러시아 우호기념비 | 343
게르게티 사메바 성당 | 352
신과 함께여서 행복하다는 게오르그 수도사 | 360
스테판 츠민다 마을 | 366
다리알 계곡, 코카서스의 관문 | 374
“여기서부터는 정교의 나라 조지아입니다” - 성 미하일 가브리엘 성당 | 379

8. 쿠타이시
쿠타이시 가는 길 | 384
쿠타이시, 신화의 땅 | 390
자부심 넘치는 쿠타이시 시민들 | 397
세계 유네스코 유산목록에서 제외된 바그라티 성당 | 401
겔라티 수도원, 찬란한 콜키스의 빛 | 405
겔라티 수도원의 성모상들 | 409
다비드 4세의 위대함은 포용과 인문정신 | 413
핏빛 강물이여 흘러라 - 모짜메타 수도원 | 419
시간이 빚은 대자연의 신비 속으로 - 사타플리아 자연보호구역 | 421
프로메테우스 동굴과 오카체 협곡 | 426

9. 메스티아
메스티아 가는 길 | 436
아직도 진행중인 압하지아 공화국과 조지아의 분쟁 | 438
호텔 올드세티와 카페 라일라 | 441
코쉬키, 탑형 가옥 | 449
스바네티 향토역사박물관 | 451

10. 우쉬굴리
우쉬굴리 | 458
“스바네티의 쏠(소금) 살래요?” | 465
우쉬굴리, 하늘 아래 첫 동네 | 469
찰라디 빙하 트레킹 | 474
하츠발리 리조트, 메스티아의 가을은 황홀할 정도로 아름답다 | 482
조지아에서의 마지막 만찬 | 489




한일 고대사의 재건축. 3: 열도의 내전과 영산강 전방후원분의 비밀
9788980975419.jpg


도서명 : 한일 고대사의 재건축. 3: 열도의 내전과 영산강 전방후원분의 비밀
저자/출판사 : 장한식, 산수야
쪽수 : 428쪽
출판일 : 2021-08-15
ISBN : 9788980975419
정가 : 20000

프롤로그 _ 열도의 패권전쟁과 한반도 남부의 정치방정식 ·4

1부. 규슈시대에서 기나이시대로

1장 _ 야마타이국과 규슈시대
열도의 초기 정치중심은 규슈 ·20
야마타이국 규슈 소재의 증거 ·25
‘야마터’의 의미는? ·27
규슈왜국설과 문제점 ·31

2장 _ 숨겨진 정치체 규슈왕조의 진실
규슈 정치체 전후 3차례 존재, 6세기 초 최종 몰락 ·36
규슈왕조 증거①, 신라왕자 미사흔의 탈출 설화 ·43
규슈왕조 증거②, 오노 야스마로(太安萬侶)의 슬픔 ·51
규슈왕조 증거③, 구당서(舊唐書)가 전하는 ‘진실’ ·52
규슈왕조 증거④, 일본 건국신화의 복합구조 ·54

3장 _ 숭신왕조의 일본열도 평정
삼왕조 교체설과 기마민족 숭신왕조 ·61
신무동정(神武東征)과 숭신동정(崇神東征)…규슈시대의 종언 ·66
숭신왕조와 활발한 열도정복 ·71
고분시대 도래와 기나이의 정치중심 부상 ·83
숭신왕조와 기나이 정치질서의 변화 ·89

4장 _ 사방이 적(敵)…숭신왕조의 한계
동서 양쪽의 적, 숭신왕조의 약점 ·93
전국적 통일이념의 부재가 초래한 지역의 도전 ·102
숭신왕조 잇단 수도 이전의 의미 ·107
숭신왕조와 한반도 제국(諸國) ·109
중애천황의 죽음이 증언하는 역사 ·119

2부. 백제계 응신왕조 열도패권 장악

5장 _ 백제의 승부수…열도에 담로국 개척
백제와 왜국 관계의 수수께끼 ·130
5세기 삼한삼국과 일본열도의 정치질서 ·138
궁월군(弓月君)의 도일(渡日)과 백제 담로소국의 출현 ·147
목만치(木滿致)와 곤지(昆支) 열도로 가다 ·155
곤지의 가와치(河內)·나라(奈良) 진출 의미는? ·162
아와지시마, 담로도(淡路島)가 1번국토가 된 까닭은? ·166
열도 내 백제파워의 원천은 철(鐵)이었나? ·172

6장 _ 흔들리는 숭신왕조 위험한 도박
한왜연합왕국, 가야·숭신왜국의 약점 ·178
5세기 왜5왕의 특징 ·180
왜5왕과 숭신왕조·응신왕조의 패권경쟁 ·186
웅번(雄藩) 백제담로국, 숭신왕조와 경쟁하다 ·191
숭신왕조의 신라 접근과 실패 ·196

7장 _ ‘곤지의 쿠데타’…백제왕실의 열도왕권 장악
왜왕 무(武)의 미스터리 ·201
곤지의 도일(渡日) 에피소드와 ‘거대한 비밀’ ·207
규슈에서 군왕(君王)을 출산한 두 여인…개로왕 후비와 신공황후 ·213
곤지와 무내숙녜 ‘시대를 달리한 동일인 행적’ ·219
곤지의 쿠데타…기나이 왕권을 빼앗다 ·225
곤지 후예, 백제와 열도의 왕통을 독점하다 ·235
‘응신 모델’ 창조와 응신왕조의 개창 ·245

8장 _ 응신왕조의 승리, 일본열도 패권 확립
‘반파(伴跛)의 전쟁’과 한반도·일본열도의 정치질서 변화 ·249
‘반정(磐井)의 전쟁’과 숭신왕조의 소멸 ·252
말기 숭신왕조의 영역은 어디까지였나? ·257
통일군주 와카다케루 대왕(獲加多支鹵 大王)과 응신조의 규슈평정 ·265
숭신-응신왕조 병존기의 왕력 복원 시도 ·272
일본서기의 숭신왜국 말살…응신왕조 패권의 완성 ·284

3부. 영산강 전방후원분의 비밀

9장 _ ‘비운의 왕조’ 영산강 정치체
농경·어로 복합지역 영산강유역 ·298
왕건이 점령했던 영산강유역 ·300
신미제국(新彌諸國)과 침미다례(?彌多禮) ·302
영산강유역, 해인족 최후의 집결지인가? ·307
5~6세기 영산강유역, 백제의 변방 아닌 반(半)독립지대 ·310

10장 _ 영산강 정치체와 가야(임나)
영산강 고분에서 확인되는 가야와의 친연성 ·318
수수께끼의 땅 임나하한(任那下韓) ·323
임나하한은 영산강유역을 말하는가? ·327
하한과 남한(南韓), 마한(馬韓)과 모한(慕韓)의 관계 ·333
모용선비의 호남 진출과 영산강 정치체 ·340

11장 _ 백제의 남하와 영산강 정치체의 멸망
백제의 남하와 가야(임나) 공략 심화 ·350
백제의 호남동부, 임나사현(任那四懸) 탈취 ·359
백제의 기문·대사 장악 ·362
‘반파(伴跛)의 전쟁’과 가야의 몰락 ·366
‘백제의 남쪽 땅’ 영산강 정치체의 소멸 ·369

12장 _ 영산강 전방후원분의 진실
5~6세기 영산강 전방후원분의 등장 ·380
영산강 전방후원분에 대한 기존의 시각 ·382
기존 학설에 대한 평가 ·386
영산강 전방후원분의 새로운 해석 “쌀과 군대의 교환 증거” ·390
5세기 후반, 영산강유역의 위기와 외교적 대응 ·398
‘가야·숭신왜’ - ‘백제·응신왜’ 경쟁과 영산강 전방후원분 ·401

에필로그 _ 일본서기 극복의 출발점에 서다
국호 변경과 일본서기(日本書紀) 편찬 ·407
사실(史實) 아닌 당위(當爲)를 기술하다 ·412
신라에 대한 적대감·콤플렉스로 일관한 이유 ·416
‘역사(歷史)가 된 역사서’…책의 힘은 강하다 ·420
해인족의 역사에서 얻는 ‘일본서기 극복’의 통찰 ·424

참고문헌 ·427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