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주의자를 위한 철학 또는 정의 중독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현실주의자를 위한 철학 또는 정의 중독

땅끝
2025-01-04 07:51 115 0

본문




현실주의자를 위한 철학
9791190313971.jpg


도서명 : 현실주의자를 위한 철학
저자/출판사 : 오석종, 웨일북.whalebooks.
쪽수 : 232쪽
출판일 : 2021-08-26
ISBN : 9791190313971
정가 : 13500

여는 글 유통기한이 끝난 생각을 버려라

1장 철학을 부수는 철학
철학에는 업데이트가 없나요
보통의 일상에서 찾은 철학의 쓸모
용감한 사람들과 겁쟁이 철학자

2장 상식에 도전하는 불량한 인문학
Target 1 진정한 나 : 철학이 만든 질병 진정한 나 좀 내버려 두 세요
Target 2 현실과 가상 : 알맹이는 가고 껍데기여 오라
Target 3 겸손 : 겸손은 왜 미덕일까
Target 4 인간 본성 : 특별함을 잃어버린 이성적 인간
Target 5 사랑 : 사랑의 최신 트렌드
Target 6 소통 : 소통의 시대에서 넘쳐나는 불통에 대하여

3장 새롭게 정의하는 21세기의 철학
Target 7 능력주의 : 지옥 탈출 서사의 한국식 능력주의
Target 8 민주주의 : 철학자가 통치하는 4차 산업사회
Target 9 감시와 통제 : 빅브라더를 사랑하게 된 사람들
Target 10 성과사회 : 대기업에 취업해도 우울한 이유
Target 11 노동 : 소외되지 않는 노동자 유튜버는 행복할까
Target 12 우상 : 우상론과 한국의 선진국 콤플렉스

닫는 글 과거의 철학으로 현재의 질문을 만드는 법

참고문헌




정의 중독
9791190259606.jpg


도서명 : 정의 중독
저자/출판사 : 나카노 노부코, 시크릿하우스
쪽수 : 172쪽
출판일 : 2021-05-17
ISBN : 9791190259606
정가 : 14000

시작하며 | 당신이 용서하지 못하는 건 뇌 때문이다

1장. 마녀사냥의 희열, 인터넷 시대의 정의 중독

드러나지 않았던 분쟁을 수면 위로 끌어올리다 | 양날의 검이 된 SNS |
자신과 다르면 비웃고 매도하는 불모의 사회 | 댓글 비즈니스에 놀아나는 정의 중독자들 |
다양성을 없앤 집단은 멸망의 길을 걷는다 | 정의 중독은 인간의 숙명인가


2장. 정의의 기준은 집단마다 다르다

어리석음의 기준은 나라마다 다르다 | ‘우수한 멍청이’의 나라 | 자연재해와 폐쇄적 환경의 결과 |
불안 의식 조사를 해보니 | 개인의 의사보다 집단의 목적이 우선한다 | 외부인을 믿지 않는 사람들 |
집단의 룰을 어기는 일의 어려움 | 파괴적인 천재보다 순종적인 모범생을 원하는 학교 |
여성들이 눈치가 빠른 이유 | 아이히만 실험이 밝힌 복종 심리 | ‘고정 관념 위협’이라는 저주 |
생각이 너무 많은 사람은 쓸모가 없다? | 토론이 불가능한 사람들 | 토론을 못하면 바보 취급 받는 사회 |
인신공격과 토론의 결정적 차이 | 자기주장이 서툰 사람이 늘어나는 환경 |
기질이 변하려면 1000년은 걸린다? | 환경적 요인을 무시할 수 없다


3장. 인간은 왜 타인을 용서하지 못할까?

인간의 뇌는 대립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 인간은 왜 그렇게 쉽게 타인을 미워할까? |
서로 다르기 때문에 끌리고 또 미워하는 사람들 | 그 어떤 천재도 가까이서 보면 그냥 ‘사람’이다 |
집단을 지속시키는 것이 곧 정의다 | ‘진보’와 ‘보수’의 대립을 뇌가 유발한다? | 지지 정당은 유전자로 결정된다? |
누군가를 공격할수록 느끼는 황홀감 | 정의와 동조압력의 관계 | 서양인이 동양인을 구분하지 못하는 이유 |
어긋난 편견이 우정을 갈라놓는다 | 편향은 뇌의 알고리즘이다 | 공동체의 정의가 우선인 사람들 |
정의를 내세우며 몸집을 불리는 집단 | 인터넷 사회는 확증 편향을 증폭시킨다 |
나이를 먹으면 뇌는 보수화된다 | 이성은 직감을 이길 수 없다 | 뇌는 너무 똑똑해지지 않도록 만들어졌다 |
‘자기일관성의 원리’라는 함정 | 정의 중독이 주는 쾌감과 고뇌


4장. 정의 중독에서 벗어나는 아주 작은 뇌 습관

미움의 고통에서 벗어나 평온한 마음으로 살려면 | 왜 용서할 수 없는지 객관적으로 생각하기 |
‘옛날엔 좋았지’는 뇌가 늙었다는 신호 | 뇌의 성년은 30세 | 뇌는 경험을 통해 진화한다 |
늙지 않는 뇌와 늙는 뇌의 차이 | 늙지 않는 뇌를 만드는 생활습관 | 식습관과 수면습관도 중요하다 |
정의 중독을 극복하는 열쇠, 메타인지 | 좋은 만남이 메타인지 능력을 키운다 |
자신에게도, 타인에게도 일관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 대립이 아니라 병렬적으로 생각한다

마치며 | 답이 없는 것을 끊임없이 사고하는 기쁨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