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학 또는 룰 북
땅끝
2024-12-25 10:41
132
0
본문
평화학

도서명 : 평화학
저자/출판사 : 정주진, 철수와영희
쪽수 : 300쪽
출판일 : 2022-09-26
ISBN : 9791188215775
정가 : 20000
머리말: 평화학은 평화를 연구하지 않는다
1부. 평화학의 시작과 기본 이론
1장. 전쟁과 평화, 평화학의 시작
전쟁의 경험 / 평화연구의 시작 / 평화연구의 조직화 / 평화학의 시작 / 평화연구의 적용 / 소극적 평화, 적극적 평화
2장. 전쟁 없는 평화
정당한 전쟁 / 전쟁의 정당성 확보 / 민간인 피해의 정당화 / 전쟁 없는 평화의 어려움 / 전쟁 가능 구조의 지속 / 전쟁 준비 사회의 문화적 폭력
3장. 폭력의 탐구
구조적 폭력 사회 / 문화적 폭력의 영향 / 폭력의 합법성 / 평화의 3요소 : 관계성, 공동체성, 지속성 / 폭력과 갈등
4장. 회복과 공존을 위한 평화구축
평화구축의 이해 / 평화구축의 원칙 / 무력 갈등 후 사회의 평화구축 / 전쟁과 무력 갈등 없는 사회의 평화구축
5장. 갈등의 해결과 전환
평화학의 갈등해결 연구 / 갈등해결 접근 / 갈등의 전환 / 공공갈등과 전환적 접근
2부. 한국사회 평화구축을 위한 평화연구
6장. 사회 변화를 위한 평화 담론
한국사회 폭력의 확인 / 남북대결의 지속과 평화의 왜곡 / 국가 폭력의 지속 / 평화 실현을 위한 갈등해결
7장. 평화구축 실행 1 : 전략적 평화구축
전략적 평화구축 / 직면한 상황의 확인 / 사회적 자원의 확인 / 한국사회의 전략적 평화구축
8장. 평화구축 실행 2 : 사회갈등과 남북갈등의 전환
사회갈등의 방치, 폭력의 확산 / 사회갈등의 전환 / 남북대결에서 남북갈등으로의 변화 / 남북갈등의 전환
맺는말: 평화학, 무엇을 연구하고 실행하는가
미주
참고 문헌
룰 북

도서명 : 룰 북
저자/출판사 : 요스트 판 드뢰넌, 북스톤
쪽수 : 320쪽
출판일 : 2022-03-22
ISBN : 9791191211603
정가 : 18000
책머리에
서문 | 그들은 항상 새로운 것을 한다
1부 제품으로서의 게임
1장 게임, 디지털이 되다 : 디지털화가 창의 기업을 재정의하는 방식
아무도 모르게 성장한 다크호스
창의 비즈니스에 필요한 심성 모델
2장 위대한 게임만으로는 부족하다 : 게임 산업이 위기를 헤쳐온 방식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 게임 비즈니스의 5가지 리스크
포화시장, 개발자의 각성, 달라진 게임의 규칙
게임 이면에서 벌어지는 개발자 확보전쟁
배급사가 벌이는 돈과의 전쟁
3장 촘촘한 매장만으로는 부족하다 : 디지털 시대 오프라인의 모험
유통의 공룡들에 맞선 회심의 혁신전략
덩치를 키워 디지털화에 맞설 수 있을까?
2부 서비스로서의 게임
4장 이제 누구나 게임을 한다: 비주류 산업이 주류가 되는 방법
확산의 원동력 1. 고객 재정의
확산의 원동력 2. 디지털화가 촉발한 글로벌 경쟁
확산의 원동력 3. SNS와 소셜게임의 전략적 동거
확산의 원동력 4. 모든 기기에 침투하는 크로스 플랫폼 전략
모두가 게이머인 시대에 반드시 물어야 할 질문
5장 현대판 골드러시, 모바일 게임 : 반짝인다고 모두 금이 아니듯, 사용자가 모두 고객은 아니다
거물들이 놓친 신세계, 앱스토어
낮은 진입장벽이 낳은 아류작 그리고 ‘공짜’ 프레임
슈퍼셀과 텐센트의 서로 다른 대안
아직은 유효한 성공신화, 그러나 언제까지?
6장 누가 콘솔을 한물갔다 하는가 : 게임기에서 콘텐츠 플랫폼으로
신흥시장이라는 대안, 그러나…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온라인 연결성을 확장하다
테이크투의 디지털 배급 전략
전통적인 콘솔 기업이 디지털 시대에 생존하는 법
7장 PC 게임, 디지털 세상으로 화려하게 돌아오다 : PC 게임의 수익모델 혁신
팬을 개발자로 만든 ‘둠’의 오픈소스 전략
밸브, 디지털 유통으로 PC 게임 붐을 일으키다
PC 게임이 수익모델을 바꾸다
새로운 수익모델은 새로운 강자를 낳는다
3부 미디어로서의 게임
8장 IP 전략이 곧 사업 전략이다 : IP를 활용할 때 고민해야 할 것들
IP, 직접 개발할까, 외부에서 빌려올까?
IP 전략의 통념과 묘수
넘쳐나는 모바일 게임, 넘쳐나는 IP 전략
자체 IP로 운명을 바꾼 앵그리버드 이야기
라이선스 전략 vs. 오리지널 콘텐츠 전략, 무엇이 내게 유리한가?
9장 플레이하는 게임에서 보는 엔터테인먼트로 : 커뮤니티가 곧 비즈니스다
게임 방송 : 학습교본이자 홍보채널
셀럽 게이머 : 진정성과 상업성 사이의 선 타기
e스포츠 : 홍보채널이자 수익모델이자 커뮤니티
10장 다음 세대의 수익모델 : 몰입을 끌어내는 능력
광고 : 소액결제 시대의 새로운 수익모델
구독 : 게임의 가치를 높이는 새로운 접근법
결론 | 더 많은 혁신이 게임의 세계에서 플레이될 것이다
옮긴이의 글 | 룰을 아는 사람이 승자가 되는 시대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