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을 사랑하여 또는 토기와 도자기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한 사람을 사랑하여 또는 토기와 도자기

땅끝
2024-12-25 10:41 300 0

본문




한 사람을 사랑하여
9788936503796.jpg


도서명 : 한 사람을 사랑하여
저자/출판사 : 나태주, 홍성사
쪽수 : 256쪽
출판일 : 2022-02-07
ISBN : 9788936503796
정가 : 15000

프롤로그_시 앞에 당신

1부. 한 사람
진종일 ㆍ 세상에 나와 나는 ㆍ 바람이 붑니다 ㆍ 한 사람 1 ㆍ 들길을 걸으며 ㆍ 초록별 ㆍ 여행에의 종말 ㆍ 사랑에의 권유 ㆍ 너무 늦게 ㆍ 한 사람이 그립다 ㆍ 공감 ㆍ 가족 ㆍ 아름다운 짐승 ㆍ 날마다 실연 ㆍ 물고기와 만나다 ㆍ 고백 ㆍ 한 사람 2 ㆍ 잡은 손 ㆍ 당신 ㆍ 시간 ㆍ 친구 2 ㆍ 멀리서 빈다 ㆍ 한 사람 건너 ㆍ 하나님께 ㆍ 사랑은 비밀 ㆍ 붉은 꽃 한 송이 ㆍ 한 사람 3 ㆍ 차가운 손 ㆍ 마당 ㆍ 부부 ㆍ 지구와 더불어 ㆍ 선량해진 저녁 ㆍ 감동 ㆍ 4월 ㆍ 문득 ㆍ 믿어야 한다 ㆍ 별 ㆍ 잠시 ㆍ 축혼시 ㆍ 울면서 쓰고 싶다 ㆍ 의자 ㆍ 좋은 아침 ㆍ 시집에 사인 ㆍ 시로 쓸 때마다 ㆍ 기도의 자리 ㆍ 혼자서 중얼거리네 ㆍ 아침 식탁 ㆍ 행운 ㆍ 한 사람 4 ㆍ 버림받음으로 ㆍ 4월 상순 ㆍ 감알 하나 ㆍ 시 ㆍ 가을날 ㆍ 또 11월 ㆍ 오직 사무치는 마음 하나로 ㆍ 하필이면 ㆍ 하늘이 맑아 2 ㆍ 소망 ㆍ 서귀포 ㆍ 한 사람 5 ㆍ 청춘 앞에 ㆍ 지금이라도 알았으니 ㆍ 에움길 ㆍ 능금나무 아래

2부. 당신이 바로 그 한 사람
바람 부는 날 ㆍ 다시 산에 와서 ㆍ 대숲 아래서 ㆍ 겨울 달무리 ㆍ 초승달 ㆍ 봄바다 ㆍ 가을 서한 1 ㆍ 가을 서한 2 ㆍ 빈손의 노래 ㆍ 진눈깨비 ㆍ 죽림리 ㆍ 초저녁의 시 ㆍ 언덕에서 ㆍ 아침 ㆍ 돌계단 ㆍ 숲속에 그 나무 아래 ㆍ 하오 ㆍ 유월은 ㆍ 겨울 흰 구름 1 ㆍ 숲 ㆍ 혼자서 ㆍ 배회 ㆍ 먹물 ㆍ 램프 ㆍ 2월 ㆍ 소녀 ㆍ 저녁 ㆍ 너를 바라보는 ㆍ 들꽃 ㆍ 부재 ㆍ 드라이플라워 ㆍ 사랑이여 조그만 사랑이여 1 ㆍ 사랑이여 조그만 사랑이여 2 ㆍ 들국화 3 ㆍ 비단강 ㆍ 사라져가는 기찻길 위에 ㆍ 사랑하는 마음 내게 있어도 ㆍ 쓸쓸한 여름 ㆍ 제비꽃 ㆍ 통화 ㆍ 희망 ㆍ 시 ㆍ 그대 떠난 자리에 ㆍ 어쩌다 이렇게 ㆍ 사랑은 혼자서 ㆍ 오늘도 이 자리 ㆍ 하오의 슬픔 ㆍ 별 한 점 ㆍ 태백선 ㆍ 별리 ㆍ 꽃 피우는 나무 ㆍ 오늘의 약속 ㆍ 가을의 약속 ㆍ 아내 ㆍ 몽당연필 ㆍ 공항 ㆍ 오늘도 그대는 멀리 있다 ㆍ 11월 ㆍ 섬에서 ㆍ 유월 기집애 ㆍ 울지 마라 아내여 1 ㆍ 유리창 ㆍ 다리 위에서 ㆍ 하오의 한 시간 ㆍ 지는 해 좋다

3부. 한 사람을 사랑하여
부탁 ㆍ 별 1 ㆍ 별 2 ㆍ 개양귀비 ㆍ 꽃그늘 ㆍ 쾌청 ㆍ 꿈 ㆍ 제비꽃 ㆍ 핸드폰 시 1 ㆍ 핸드폰 시 2 ㆍ 핸드폰 시 3 ㆍ 못난이 인형 ㆍ 퐁당 ㆍ 날마다 기도 ㆍ 가을밤 ㆍ 섬 ㆍ 첫눈 ㆍ 혼자 있는 날 ㆍ 좋다 ㆍ 떠난 자리 ㆍ 못나서 사랑했다 ㆍ 눈 위에 쓴다 ㆍ 살아갈 이유 ㆍ 너도 그러냐 ㆍ 문자메시지 ㆍ 비밀일기 1 ㆍ 비밀일기 2 ㆍ 나도 모르겠다 ㆍ 너한테 지고 ㆍ 다짐 두는 말 ㆍ 한 소망 ㆍ 나무 ㆍ 네 앞에서 1 ㆍ 네 앞에서 2 ㆍ 멀리 ㆍ 까닭 ㆍ 약속 ㆍ 대답 ㆍ 부탁이야 ㆍ 져주는 사랑 ㆍ 목련꽃 낙화 ㆍ 하나님만 아시는 일 ㆍ 말은 그렇게 한다 ㆍ 웃기만 한다 ㆍ 보석 ㆍ 그 애의 꽃나무 ㆍ 별을 사랑하여 ㆍ 산수유꽃 진 자리 ㆍ 들 밖의 길 ㆍ 숙이의 봄 ㆍ 또다시 묻는 말 ㆍ 물푸레나무 그늘 아래 ㆍ 화살기도 ㆍ 바로 말해요 ㆍ 이별 예감 ㆍ 그 아이 ㆍ 눈사람 ㆍ 기다리는 시간 ㆍ 선물 ㆍ 참말로의 사랑은 ㆍ 마지막 기도 ㆍ 사랑은 언제나 서툴다 ㆍ 그 말 ㆍ 이별에게 ㆍ 너는 바보다 ㆍ 사는 법 ㆍ 연 ㆍ 황홀 극치 ㆍ 초라한 고백 ㆍ 꽃 ㆍ 그리움 ㆍ 아무르 ㆍ 마주 보며 ㆍ 포옹 ㆍ 이별

에필로그_한 사람을 사랑하여




토기와 도자기
9791159257261.jpg


도서명 : 토기와 도자기
저자/출판사 : 김종일 , 권오영 , 장남원 , 한혜선, 들녘
쪽수 : 416쪽
출판일 : 2022-04-28
ISBN : 9791159257261
정가 : 37000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1장 머리말: 흙과 불의 만남

2장 토기의 등장과 도자기로의 전환
1절 인류 최초의 신소재: 토기의 탄생
2절 토기의 등장과 그 배경
3절 선사 토기의 제작과 발전: 토기의 등장과 불의 사용
4절 또 하나의 혁신, 유약의 개발: 토기에서 자기로

3장 토기의 시대: 선사 및 고대 토기의 제작기술 발달사
1절 토기 제작기술의 발달과 사회 변화
1. 토기 제작기술과 작업 연쇄
2. 토기 제작기술의 변화와 장인
3. 토기 제작기술의 복원과 민족지 고고학
4. 한국 선사시대 토기 제작과 공방 -가마 구조를 중심으로-
2절 선사 및 고대 토기를 통해 본 문명사
1. 한국 선사시대 토기의 종류와 지역적 분포
2. 한국 고대 토기의 종류와 지역적 분포
3. 종류와 기능에 따른 토기의 의미
4. 토기의 생산과 유통
5. 토기가 알려 주는 것

4장 자기의 시대 I: 청자의 발달과 제작기술의 성숙
1절 고려시대 청자의 도입과 새로운 도자기문화의 전개
1. 차문화와 중국 자기의 유입
2. 초기 청자가마의 구조와 제작기술의 원류
2절 청자 제작기술의 발달과 질의 분화
1. 고려비색의 구현
2. 번조기술의 분화와 품질의 다변화
3절 상감청자를 통해 본 공예재료 간 장식기법의 공유
1. 고려청자의 독보적 성취, 상감기법
2. 공예기법의 공유와 청자의 특수성
4절 도량형기로 사용된 고려의 도기
1. 양기로 활용된 고대 토기의 사례
2. 고려 선박 마도선 인양 도기 항아리에 반영된 측정과학

5장 자기의 시대 Ⅱ: 조선 도자의 완성과 장식기법에 따른 의미
1절 고려 전통의 계승, 분청사기
1. 분청사기의 시작과 인화기법의 발전
2. 분청사기의 지역성
2절 새로운 왕조의 이상과 경질백자의 완성
1. 관요제도의 성립과 조선 왕실의 백자 사용
2. 왕실백자 제작의 체계적 운영과 관리
3. 왕실백자의 제작 공정과 공방
3절 장식기법에 따른 조선백자의 위계
1. 백자의 다양한 장식기법
2. 장식기법과 문양에 따른 백자의 위계

6장 기와와 전돌
1절 기와
1. 기와의 발생과 발전 과정
2. 기와의 용도
3. 기와가 말하는 것
2절 전돌
1. 개념과 기원
2. 전돌의 보급과 발전
3. 중세사회에서 전돌의 사용

7장 맺음말

■ 부첨1: 토기 양식과 정체성
■ 부첨2: 토기의 확산과 사회적 구분 ㅡ유럽 Bell Beaker Pottery를 중심으로ㅡ
■ 부첨3: 제주도 고산리식 토기와 한반도
■ 부첨4: 대표적인 초기 청자요지 황해도 배천 원산리 요지
■ 부첨5: 바닷길을 이용한 고려청자의 유통
■ 부첨6: 고려시대 생활사 자료의 보물창고, 태안 마도선
■ 부첨7: 조선 초 공납제도의 단상을 보여주는 분청사기 명문(銘文)
■ 부첨8: 조선 후기 백자에 나타난 대외 교류의 양상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