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잡이 냥이의 묘생역전(하) 또는 경성의 화가들, 근대를 거닐다: 서촌 편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쥐잡이 냥이의 묘생역전(하) 또는 경성의 화가들, 근대를 거닐다: 서촌 편

땅끝
2024-12-25 10:41 119 0

본문




쥐잡이 냥이의 묘생역전(하)
9791164802623.jpg


도서명 : 쥐잡이 냥이의 묘생역전(하)
저자/출판사 : 안민숙, 프로방스
쪽수 : 292쪽
출판일 : 2022-11-08
ISBN : 9791164802623
정가 : 18000

프롤로그

다시 안녕하세요 / 봄이 왔어요 / 처용도 울고 갈 테오의 자태 / 불면증 / 한강수 / 지지리 궁상 / 하루가 짧아요 / 화무십일홍 / 피해자 지원 / SBS 드라마 〈모범택시〉 / 뱀딸기 / 여유 / 당신에게서 꽃내음이 나네요 / 9 to 22 / 수어 / 매일유업에게 거절당하다 / 팔자 / 시골 가자 테오야 / 교도소 수용자상담 / No show / 꾸준히 달려요 / 길거리 삶에도 행복은 있겠죠 / 은둔고수 / 채식주의자 / 보리수잼 / 예산 아끼세요 / 흡혈모기 / 서울시 의원나리 / 오래 살다 보니 / 자가격리 / 잔디를 위한 노동 / 더워요 / 꽃보다 수명 / 잘 지내서 고마워요 / 가출냥 테오 / 생일날 인터뷰 / 성희롱하지 마세요 / 마늘이 비싸요 / 습득물 신고 / 인공친화적인 섬 / 차별금지법 / 코로나 때문에… / 성범죄에 관한 사례 연구 / 집 나간 테오 / 예산이 뭐라고 / 개미가 되다 / 투자의 귀재 / 고추자랑 / 세미나 준비 / 추석선물 / 비 오는 날엔 게으르게 / 10 to 10 / 집단면역 / 잡초 속에서도 꽃은 핍니다 / 지원금 받았어요 / 가을인가봐요 / 생율 / 우리 애는 천재인가 봐요 / 삐끼냥 / 목숨 걸고 밤 줍기 / 밀당 / “엄마, 어디 가세요?” / 찬바람이 싸늘하게… / 존버! / 주식이 나를 배신하다 / 난 완전히 새될뻔 / 쓸모 없는 책 / 있어야 할 것은 다 있고요, 없는 건 없습니다 / 할로윈데이 / 응급김장 / 김장 끝 / 라떼는 말이야 / 건강검진 결과 / 청춘 / 녹물 드셔보셨나요? / “범죄피해자 지원의 사각지대에 대한 세미나” / 국가인권위원회 / 삶 / 떨어지는 것에 모두 날개가 있는 건 아니다 / 빼빼로데이 / 은행 까기 / 길에서 산다는 것 / 테오야, 다이어트 하자! / 파송송 계란탁! / 테오야, 양말 신자! / 강제 다이어트 / 친족성폭행 / 이상심리와 최면 / 건서라는 세퍼드가 6천억 상속받음 / 미세먼지 : 매우 나쁨 / 영화 《엘리자베스》 / 모아이석상 / 못찾겠다 꾀꼬리 / 김씨 표류기 / 국회의원 : 약속깨기 달인 / 코엑스 푸드페스티벌 / 추위가 두려워요 / 손가락 쇼핑 / 꼭꼭 숨어라 / 확진자가 너무 많아요 / 관악구 소재 상담장소 구함 / 정치쇼 / 자두콜라겐 / 생선 아니고 대선 / 총기 소지 / 사는게 뭔지… / 금지곡 / 애들 다 버리겠어요 / 이게 왠 떡? / 더부살이 설움 / 그루밍 성범죄 / 중요한 건 진실 / 남들 다 갖고 있는 안마건 / 비혼주의자 테오 / 군밤타령 / 안마 / 김장나눔 / 개나 줘버릴 학위 / 연말 후원 / 사랑의 재개발 / 서산생강 사세요 / 우울증 / 1억만 쏴주세요 / 정치가 애들을 버려놔요 / 성탄절 / 정치는 코미디 / 10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 스토킹처벌법 / 머리 검은 짐승은 거두는 거 아니라는데




경성의 화가들, 근대를 거닐다: 서촌 편
9791156122166.jpg


도서명 : 경성의 화가들, 근대를 거닐다: 서촌 편
저자/출판사 : 황정수, 푸른역사
쪽수 : 328쪽
출판일 : 2022-02-28
ISBN : 9791156122166
정가 : 20000

책을 상재하며

1_백악산 아래 경복궁 주변
인왕산을 바라보며 경복궁을 지나다
진명여학교를 세운 엄귀비와 졸업생 나혜석
서촌을 대표하는 동양화단의 거목 이한복
김정희의 〈세한도〉를 되찾아온 손재형
근대 서양화가들의 산실 경복고등학교
표지화에도 능했던 ‘팔방미인’ 정현웅
만화가로도 이름을 떨친 동양화가 노수현
충청 화단을 대표했던 설경의 대가 박승무

2_수성동 밑 옥인동 주변
근대미술의 자존심 ‘서화협회’와 이완용
한양의 아방궁 ‘벽수산장’과 ‘박노수 가옥’
근대 동양화의 상징 이상범
옥동패 서양화가들의 중심 이승만
동양화가 이여성과 서양화가 이쾌대, 두 형제 이야기
박제가 된 두 천재, 구본웅과 이상의 운명적 만남
화가 이중섭의 짧았던 행복, ‘누상동 시절’
불꽃처럼 살았던 ‘채색화의 전설’ 천경자
월북한 화가 정종여와 석굴암의 인연
소년 천재화가로 각광받은 이봉상

3_필운동과 사직동 부근
근대 조각의 선구자 김복진
이제창이라는 화가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한국인 최초로 프랑스 유학을 한 이종우
동ㆍ서양화에 모두 능했던 귀재 김중현
한글 서예의 산실 배화여자고등학교
일제강점기 서촌과 일본인 화가들
현대 화가들에게도 여전히 매력적인 인왕산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