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과 이순신, K 리더십 또는 옛 그림으로 본 동의보감 얼굴과 몸을 살펴 건강을 안다
땅끝
2024-12-25 10:41
163
0
본문
세종과 이순신, K 리더십

도서명 : 세종과 이순신, K 리더십
저자/출판사 : 국정호, 해드림출판사
쪽수 : 736쪽
출판일 : 2022-04-28
ISBN : 9791156345022
정가 : 28000
프롤로그 | 10
격려사 & 추천사 | 18
서평 | 687
◆ 광화문의 봄
왜 이 글을 쓰는가? | 32
- 21세기에도 세종대왕과 충무공 이순신 같은 리더가 나오길 기대한다. | 32
-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미래가 오고 있다. | 38
-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 42
- 제대로 배울 역사의 리더 : 세종대왕, 충무공 이순신 | 47
- 우리는 이제 광화문광장으로 나간다. | 53
? 리더십 비타민 : 변화(Change)에 대처하는 자세 | 56
세종과 이순신의 생애 | 59
- 세종은 질서를 만들어냈고, 이순신은 혼돈을 헤쳐나갔다. | 59
- 세종의 일생 | 63
※ 세종에 대한 평가 | 116
? 리더십 비타민 : 대일 외교관 이예 | 122
- 이순신의 일생 | 125
※ 이순신에 대한 평가 | 158
? 리더십 비타민 : 원한경 박사의 ‘이순신과 거북선’ | 163
◆ 광화문의 여름
세종과 이순신의 겉보기 공통점 | 168
- 문무겸전(文武兼全)의 귀재들 | 168
- 무인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출생지는 서울이다. | 172
- 세종과 이순신, 셋째 아들로 태어나 향년 54세였다. | 176
? 리더십 비타민 : 세상에 이름난 문무겸전의 리더들 | 182
맘 리더십(MAM Leadership) | 184
- 맘 리더십 개요 | 184
- 맘 리더십 모델 (MAM Leadership Model) | 191
- 앞으로의 전개 : 세종과 이순신의 리더십 DNA 찾기 | 196
? 리더십 비타민 : 입지(立志)에 대하여 | 198
◆ 광화문의 가을
1. 제1 리더십 마인드 : 태도 | 204
- 그대는 본바탕을 마련하였는가? | 205
- 태도는 마음가짐, 마음의 모양이다. | 206
- 참된 마음, 그 성실함에 대하여 | 211
- 열정에 대하여 | 226
- 근성에 대하여 | 230
가. 세종의 태도 | 235
- 세종의 성품 | 235
- 언제 왕이 될 뜻을 세웠을까? | 240
- 인간 세종의 모습 | 246
- 세종의 효(孝) | 251
- 세종이 생각하는 나라 | 264
나. 이순신의 태도 | 268
- 이순신의 성품 | 268
- 이순신의 가계 내력 | 273
- 불의에 대한 저항, 그 용기와 담력 | 286
- 첫 출전에서의 침착성 | 294
-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忠) | 300
다. 태도 SUMMARY | 303
? 리더십 비타민 : 율곡 이이의 〈성학집요〉를 들여다보니 | 306
2. 제2 리더십 마인드 : 공부 | 309
- 공부란 무엇인가? | 309
- 독서의 방법(讀書法) | 312
- 삶은 곧 앎이다. | 315
- 지능이 높아야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가? | 317
- 앞으로도 ‘아웃라이어’의 시대가 온다. | 318
가. 세종의 공부 | 320
- 특별한 기회 | 321
- 수불석권 백독세종 | 323
- 세종의 공부법 | 331
- 세종은 어떤 책을 읽었을까? | 336
- 경전과 사기의 균형 : 그 목적은 실용(實用) | 351
나. 이순신의 공부 | 356
- 특별한 기회 | 356
- 문무겸전의 상징 | 359
- 이순신의 수양록(修養錄), 난중일기 | 363
- 이순신이 극찬한 〈증손전수방략〉을 그려본다. | 366
- ‘송나라 역사를 읽고’ | 401
다. 공부 SUMMARY | 404
? 리더십 비타민 : 홍릉의 KIST를 생각한다. | 407
3. 제3 리더십 마인드 : 창의 | 409
- 창의는 유레카, 갑작스러운 깨달음이다 | 409
- 재미로 읽는 지혜(Wisdom)의 패턴 | 412
- 몰입에 대하여 | 414
- ‘1만 시간의 법칙’, 재능을 능가한다. | 417
- 일상생활의 창의 | 422
가. 세종의 창의 | 426
- 계고에서의 출발 | 427
- 세종의 몰입법 | 428
- 새로운 과학혁명, 훈민정음 창제 | 430
- 과학적 리더, 세종의 창조 | 434
- 문무겸전 세종의 국방 | 437
나. 이순신의 창의 | 447
- 이순신의 지혜로운 처세 | 447
- 이순신의 유비무환 | 450
- 견내량, 이순신의 몰입 | 460
- 이순신의 일침, 한산도 이진 | 463
- 울돌목, 이순신의 몰입 | 465
다. 창의 SUMMARY | 475
? 리더십 비타민 : 창의력을 재빨리 늘리는 방법 | 478
4. 제4 리더십 마인드 : 소통 | 480
- 소통에 대하여 | 480
- 리더의 의사소통 스킬 | 485
- 공감 & 경청 | 487
- 배려 & 존중 | 489
- 팀워크(Teamwork) | 492
가. 세종의 소통 | 500
- 세종의 즉위 제일성 | 500
- 세종의 소통법 | 501
- 세종과 최측근 김돈의 케미 | 510
- 파저강 토벌을 위한 대토론 | 520
- 문무겸전 세종과 김종서의 콜라보 | 524
나. 이순신의 소통 | 536
- 이순신의 동고동락(同苦同樂) | 537
- 이순신의 소통법 | 550
- 이순신을 살린 사람들 | 557
- 문무겸전 이순신과 류형의 콜라보 | 566
- 이순신, 소통의 난관 | 570
다. 소통 SUMMARY | 581
? 리더십 비타민 : 리더는 균형감각이 뛰어나야 한다. | 584
5. 제5 리더십 마인드 : 성과 | 586
- 성과에 대하여 | 586
- 리더의 성과관리 | 591
- 위기관리에 대하여 | 594
- 변혁성에 대하여 | 601
-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 604
가. 세종의 성과 | 606
- 수성기 세종의 성과 달성 | 606
- 세종의 위기관리 | 608
- 세종의 경세제민(經世濟民) | 613
- 세종 시대 국방의 성과 | 618
- 세종의 다양한 인재들 : 지속가능성 | 618
나. 이순신의 성과 | 621
- 이순신의 유비무환과 혼신의 열정 | 623
- 임진년의 한산대첩 탐구 | 625
- 전쟁의 참혹함 속에서 꽃피운 조선 수군 건설 | 629
- 정유년 이후 이순신의 위기관리 | 635
- 이순신의 해전에 대한 현대적 이해 | 646
다. 성과 SUMMARY | 655
? 리더십 비타민 : 600년 전에도 불꽃놀이를 했다. | 658
◆ 광화문의 겨울
“세종과 이순신, K 리더십”을 온축(蘊蓄)하자. | 662
- 시대의 연결자, Linking Pin | 662
- 세종과 이순신의 리더십 DNA | 664
- 나의 리더십 DNA 찾기 | 670
- 나의 단점 DNA 찾기 | 677
- ‘맘 리더십’ 따라하기, “맘첵” | 678
부록 | 697
에필로그 : 리더십 항해를 마치면서 | 723
옛 그림으로 본 동의보감 얼굴과 몸을 살펴 건강을 안다

도서명 : 옛 그림으로 본 동의보감 얼굴과 몸을 살펴 건강을 안다
저자/출판사 : 윤소정, 페이퍼로드
쪽수 : 332쪽
출판일 : 2022-05-20
ISBN : 9791192376035
정가 : 16800
들어가며 ……5
一 우리 몸의 겉을 들여다보다
1 눈에서 정신이 보인다 ……21
2 코 큰 사람이 건강하다? ……29
3 건강한 입술이란? ……37
4 귀가 알려주는 당신의 나이 ……45
5 손바닥을 보고, 뱃속을 안다 ……55
6 건강하려면 발을 만져라 ……67
7 건강을 가늠하는 척도, 털 ……77
二 우리 몸의 속을 들여다보다
1 간, 혈액을 조절하다 ……89
2 심장, 마음을 보여주다 ……103
3 비장, 입맛을 결정하다 ……115
4 폐, 기운을 소통시키다 ……125
5 신장, 노화를 결정하다 ……135
三 주변과 일상에서 약재를 찾아보다
1 물의 종류가 33가지? ……149
2 약으로도 버릴 곳 없는 소 ……159
3 후추 대용품으로 썼던 향신료 ……169
4 어혈을 풀어주는 군자의 꽃 ……177
5 날이 차가워진 다음에야 그 푸름을 안다 ……185
四 신화와 풍습 속에서 약재를 찾아보다
1 수명을 늘려주는 낙원의 꽃 ……197
2 약과 음식은 다르지 않다 ……211
3 음식 간에도 궁합은 있다 ……225
4 허준이 동의보감을 쓴 이유 ……237
5 단오절에 만나는 한약재들 ……257
6 토끼의 간을 약으로 쓸 수 있을까? ……269
五 한의학을 들여다보다
1 일월오봉도 속 음양오행의 원리 ……281
2 사상체질, 태극에서 사상으로 ……295
부록
○ 나는 어떤 체질일까? ……308
○ 사상체질별 음식 ……310
○ 사상체질별 공부법 ……313
○ 우리에게 친숙한 한약재들 ……316
○ 조금 더 알고 싶은 한약들 ……322
참고문헌 ……326
그림출처 ……330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