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국 왜국에서 독립국 일본으로 또는 사회 시간에 그리스로마신화 읽기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속국 왜국에서 독립국 일본으로 또는 사회 시간에 그리스로마신화 읽기

땅끝
2024-12-25 10:41 214 0

본문




속국 왜국에서 독립국 일본으로
9788962464870.jpg


도서명 : 속국 왜국에서 독립국 일본으로
저자/출판사 : 이원희, 주류성
쪽수 : 324쪽
출판일 : 2022-10-10
ISBN : 9788962464870
정가 : 28000

머리말

1장. 천황 즉위식의 칼은 백제 대왕의 하사품
1. 즉위식에서 사용된 백제의 칼
2. 즉위식의 삼종신기는 고대 한국에서 기원
3. 파적검, 호신검과 백제의 도교
4. 신으로 모셔진 칠지도

2장. 백제 왕자들의 도왜
1. 백제 왕자 도왜 기사의 개요와 도왜 목적
2. 태자 전지(?支)의 도왜
3. 왕자 곤지(昆支)의 도왜
4. 왜군 호위병을 거느리고 귀국한 백제의 왕자들
5. 백제의 왕자들의 빈번한 도왜
6. 백제 멸망 시 왜국의 이변과 백제 구원정책

3장. 왜왕 무(武)와 상표문
1. 상표문
2. 왜왕 정복의 허구성
3. 왜 5왕은 『일본서기』의 왜왕일까?
4. 왜왕 무(武)는 한국 남부지방을 지배하였을까?
5. 왜 5왕은 누구인가?
6. 개로왕의 상표문
7. 『수서』 「왜국전」의 왜왕
8. 여왕 비미호(卑彌呼)와 신공왕후

4장. 새로운 국호 「일본」은 백제를 의미
1. 획기적인 대사건이 있었나?
2. 왜 백제멸망 직후 국호를 바꾸었나?
3. 국호 「왜」는 고대 한국인들이 붙인 멸칭

5장. 속국 「왜국」에서 독립국 「일본」으로
1. 율령
2. 관위와 관제
3. 지방제도
4. 고등교육기관과 역사서
5. 천지(天智)의 대변혁

6장. 백제인들이 붙인 왜국의 지명
1.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붙인 한국의 지명
2. 일본 지명에 남은 백제
3. 6곳의 백제사(百濟寺)
4. 동대사(東大寺)
5. 백제인들이 붙인 수많은 지명
1) 고을, 2) 이마키(今來), 3) 나라(奈良), 4) 땅을 의미하는 「~타(田)」 계통의 지명,
5) 들, 6) 백제의 「부리(夫里)」, 7) 골, 8) 골짜기를 뜻하는 「~실」, 9) 멧「부리」,
10) 몰랭이, 11) 산「마루」, 12) 「우두」 봉, 13) 항구를 뜻하는 「나리」,
14) 대화삼산(大和三山)과 부여삼산(夫餘三山), 15) 모루(牟婁)

7장. 일본의 백제풍 인명
1) 고대 일본 실존 인물 이름은 대부분 백제풍, 2) ~마로(麻呂), 3) ~다리, 4) ~키,
5) ~디, 6) ~시, 7) ~비, 8) ~리, 9) ~수, 10) ~루

8장. 『신찬성씨록』으로 보는 천황가의 기원
1. 『신찬성씨록』
2. 왜국의 성(姓)과 씨(氏)
3. 황별(皇別)이 된 백제인
4. 천황가는 백제 부여씨

후기




사회 시간에 그리스로마신화 읽기
9788958079286.jpg


도서명 : 사회 시간에 그리스로마신화 읽기
저자/출판사 : 김민철, 뜨인돌출판사
쪽수 : 281쪽
출판일 : 2022-10-21
ISBN : 9788958079286
정가 : 15000

신들의 관계도
들어가는 말 거꾸로 보기를 권함

1교시 신화를 보는 새로운 시선
나르키소스는 죽을죄를 지은 걸까?
프시케를 통해 신뢰를 되짚다
아크리시오스를 죽게 만든 것은 무엇일까?
오이디푸스는 어쩌다 비극의 주인공이 되었을까?
테세우스는 공정하게 경쟁했을까?

2교시 법과 정치의 관점에서 본 신화
시시포스에게도 휴식은 필요하다
탄탈로스와 그 가족에게 내려진 벌은 합당한가?
안티고네는 무엇을 위해 목숨을 던졌을까?
누가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월계관은 누구에게 씌워 줘야 할까?

3교시 먹고 사는 문제의 중요성
헤르메스는 어떻게 상업의 신이 되었을까?
미다스의 손은 과연 성공을 상징할까?
세이레네스는 지금도 존재한다
아이게우스가 목숨을 잃은 까닭은?
이카로스는 용감했을까, 무모했을까?

4교시 여성과 사회적 약자
헤라는 화풀이 대상을 잘못 정했다
메두사는 왜 괴물이 되어야 했나?
세 여신은 파리스의 심사를 받을 필요가 없었다
피그말리온의 그녀는 과연 행복했을까?
헤파이스토스는 조롱받을 이유가 없다

5교시 좀 더 나은 사회를 위해 필요한 것들
디오니소스는 왜 사고를 치고 다닐까?
프로메테우스의 용기가 인류를 살렸다
청동인간 탈로스도 완벽하지는 않다
헥토르의 아버지 프리아모스는 어떻게 용서를 받았을까?
카산드라의 경고는 지금도 유효하다

나가는 말 이제 다시 판도라의 상자를 열 때
참고 자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