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의 문자 또는 삶의 지혜 한문 공부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마법의 문자 또는 삶의 지혜 한문 공부

땅끝
2024-12-25 10:41 153 0

본문




마법의 문자
9791189298401.jpg


도서명 : 마법의 문자
저자/출판사 : 동시영, 미네르바
쪽수 : 126쪽
출판일 : 2022-07-15
ISBN : 9791189298401
정가 : 10000

1부

바텐더가 있는 풍경
세상 부스러기 조금 맛보다 19
바텐더가 있는 풍경 21
황혼과 바이올린 소리 사이로 22
마법의 문자 23
빵과 구름과 산책 24
누가 하늘에 태양 씨를 뿌려 놓았나 25
앞으로만 그어대는 직선 26
허공에 싹트는 먼지 28
바다의 하루 29
신비 산란실 31
눈물 속에 흐르는 바다 33
가을 느낌표 34
껍질과 알맹이 사이 36
길을 낳는 조약돌 38
꽃사슴 시선 끝엔 신들이 산다 39
당신을 잡고 세상을 열었습니다 41
거리의 악사 42
시간 맑은 날엔 조선이 보인다 43
가을 사투리 45
나무들도 흔들릴 때 사랑한다 47


2부

지금을 깎아 쓰는 연필
지금을 깎아 쓰는 연필 51
비밀의 창에 흐르는 향기 52
모름의 낭만 53
지금 한 올 뽑아 세상을 짠다 54
산 56
꽃들은 옷을 입지 않아도 되나 보다 57
내 맘을 오르는 산 58
폼페이의 아폴론 59
섬 60
아무도, 무엇도, 말해 주지 않는다 61
답십리 아니리 63
모래알 생각 65
아름다운 소동 66
금지된 행복 67
겨울도 너무 추워 겨우 살고 있다 68
전봇대곱창집이 있는 풍경 69
도봉, 반나절 공연하다 70
허공 뿌리내리기 71
툰드라 순록처럼 72
흘러간 것들의 몸짓 73


3부

뜨거운 재현
뜨거운 재현 77
손잡이 78
이야기 속으로 헤엄쳐 가는 거북 79
발을 신겨 주다 80
늦여름 81
클릭, 더블 클릭 82
길상사 바위 글씨 83
풍경을 불러 시간에 걸다 84
여행을 걸쳐 입고 기차를 타면 85
코끼리 우체통 86
비울 수 없는 흐름 88
에스컬레이터 89
하늘 체스판 90
봄날 91
봄을 만지다 92
마음 한쪽이 향긋하다 93
미니어처 94
햇살 술래 95
단맛에 침 발라 오늘을 세다 96
안경 98

■ 해설 | 이경수(문학평론가·중앙대학교 교수) 99




삶의 지혜 한문 공부
9791156345015.jpg


도서명 : 삶의 지혜 한문 공부
저자/출판사 : 한원식, 해드림출판사
쪽수 : 464쪽
출판일 : 2022-04-18
ISBN : 9791156345015
정가 : 28000

머리말 | 6
한자와 한문을 알면 좋은 점 | 7
참고자료 : 논어에 나오는 공자 제자 | 460
참고 문헌 | 461

제1부 한자의 기원과 구조 | 13

제1장 한자의 기원과 형태제1장 형태 | 14
1. 한자의 기원1. 기원 | 14
2. 한자의 형태2. 형태 | 15

제2장 한자의 구조제2장 구조 | 19
1. 부수의 위치1. 위치 | 19
2. 부수의 명칭과 음훈 및 기초 한자 | 20
3. 변형부수3. 변형부수 | 28

제2부 한문 단어와 사자성어 | 29

제3장 단어의 구조와 실용 한자 | 31
1. 단어의 구조| 31
2. 실용 한자와 단어 | 33

제4장 전의어와 사자성어 | 78
1. 전의어 | 78
2. 사자성어 | 86

제3부 한문 문법 개요 | 129

제5장 한문의 품사 | 131
1. 문장의 성분과 품사의 기능 | 131
2. 명 사(名詞) | 133
3. 대명사(代名詞) | 135
4. 동사(動詞) | 137
5. 형용사(形容詞) | 139
6. 부사(副詞) | 140
7. 보조사(補助詞) | 142
8. 접속사(接續詞) | 143
9. 개사(介詞) | 144
10. 종결사(終結詞) | 146
11. 감탄사(感歎詞) | 147

제6장 문장의 형식과 구조| 148
1. 구문의 형식1. 형식 | 148
2. 문장의 구조2. 구조 | 151

제7장 한문의 문형 | 153
1. 평서문(平敍文) | 153
2. 부정문(否定文) | 154
3. 의문문(疑問文) | 155
4. 반어문(反語文) | 156
5. 금지문(禁止文) | 157
6. 한정문(限定文) | 157
7. 가정문(假定文) | 158
8. 비교문(比較文) | 160
9. 피동문(被動文) | 161
10. 사역문(使役文) | 162
11. 억양문(抑揚文) | 162
12. 감탄문(感歎文) | 163

제4부 고전 독해 | 165

제8장 삼국시대의
역사와 고사성어 | 166
1. 삼국유사1 | 166
2. 삼국사기2 | 170
3. 고사 성어3 | 174

제9장 격몽요결 | 179
서문(序文) | 179
1. 입지장(立志章) | 181
2. 혁구습장(革舊習章) | 183
3. 지신장(持身章) | 186
4. 독서장(讀書章) | 193
5. 사친장(事親章) | 196
6. 상제장(喪制章) | 200
7. 제례장(祭禮章) | 200
8. 거가장(居家章) | 200
9. 접인장(接人章) | 208

제10장 명심보감 | 217
1. 계선편(繼善篇) | 217
2. 천명편(天命篇) | 220
3. 순명편(順命篇) | 222
4. 효행편(孝行篇) | 224
5. 정기편(正己篇) | 226
6. 안분편(安分篇) | 234
7. 존심편(存心篇) | 236
8. 계성편(戒性篇) | 241
9. 근학편(勤學篇) | 244
10. 훈자편(訓子篇) | 246
11. 성심편 상(省心篇 上) | 247
12. 성심편 하(省心篇 下) | 255
13. 입교편(立敎篇) | 261
14. 치정편(治政篇) | 263
15. 치가편(治家篇) | 266
16. 안의편(安義篇) | 266
17. 준례편(遵禮篇) | 267
18. 언어편(言語篇) | 268
19. 교우편(交友篇) | 270
20. 부행편(婦行篇) | 271
21. 증보편(增補篇) | 273
22. 권학편(勸學篇) | 274

제11장 대학 | 276
1. 경문(經文) | 276
2. 전문(傳文) | 278
10. 처세장(處世章) | 213

제12장 논어제 | 292
1. 학이편(學而篇) | 293
2. 위정편(爲政篇)) | 298
3. 팔일편(八佾篇) | 305
4. 이인편(里仁篇) | 314
5. 공야장편(公冶長篇) | 320
6. 옹야편(雍也篇) | 330
7. 술이편(述而篇) | 338
8. 태백편(泰伯篇) | 349
9. 자한편(子罕篇) | 355
10. 향당편(鄕黨篇) | 364
11. 선진편(先進篇) | 371
12. 안연편(顔淵篇) | 381
13. 자로편(子路篇) | 390
14. 헌문편(憲問篇) | 401
15. 위령공편(衛靈公篇) | 415
16. 계씨편(季氏篇) | 426
17. 양화편(陽貨篇) | 433
18. 미자편(微子篇) | 443
19. 자장편(子張篇) | 449
20. 요왈편(堯曰篇) | 457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