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과 배신의 시대 또는 뇌의식의 증명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혁명과 배신의 시대 또는 뇌의식의 증명

땅끝
2024-12-25 10:41 149 0

본문




혁명과 배신의 시대
9788950941475.jpg


도서명 : 혁명과 배신의 시대
저자/출판사 : 정태헌, 21세기북스
쪽수 : 396쪽
출판일 : 2022-09-01
ISBN : 9788950941475
정가 : 23000

서문 근대 한·중·일 지식인의 대조적인 목소리를 듣다

PART 1 희망 속의 뼈아픈 질타, 중국의 미래를 제시하다 - 루쉰
01 제국주의 폭력을 직면한 후의 결심
02 사회진화론에서 짐승의 본성을 간파하다
03 철저한 부정을 통해 중국인을 깨운 문학혁명
04 다음 세대에서 희망을 찾는 역사의 조연을 자처하다
05 변화는 내가 발 딛고 서 있는 곳에서 시작된다
06 뿌리를 모르고 말단 가지만 좇으면 전멸한다
07 혁명을 하려면 먼저 민중 속으로 들어가라
08 추상적 이념만으로 현실을 바꿀 수 없다
09 변해야 할 세상은 총칼로도 막을 수 없다

PART 2 오직 권력, 중국의 영웅에서 친일파의 상징으로 - 왕징웨이
01 만주족의 청나라를 뒤엎고 한족의 나라를 만들자
02 막연한데도 확신한 ‘국제 공조’
03 권력을 위해서라면 스승의 대의도 뒤집을 수 있다
04 중국이 살길은 일본과 친하게 지내는 길뿐이다
05 장제스를 누르기 위해 일본과 밀약을 맺다
06 친일 괴뢰정권의 탄생
07 어항 속의 권력만 좇던 일본의 꼭두각시

PART 3 식민지 조선에서 희망을 보다 - 조소앙
01 대한제국의 19세 청년, 민권에 눈을 뜨다
02 번민으로 가득 찬 재일 유학생의 일기
03 강자라고 약자를 삼킬 권리는 없다
04 민주와 평등을 표방한 최초의 독립선언서
05 3·1운동의 충격, 선각자 의식을 버리다
06 독립운동에서 평등론을 길어내다
07 대한민국의 건국이념이 된 삼균주의
08 일본은 졌지만 주권은 아직 광복되지 않았다
09 여전히 과제로 남은 꿈

PART 4 근대의 힘을 추종하며 내선일체를 부르짖다 - 이광수
01 힘센 자만 살 권리가 있다
02 조선은 천재를 요구한다
03 과시욕으로 잠시 독립운동에 투신하다
04 아버지처럼 따르던 안창호를 등지다
05 조선은 희망이 없다. 민족개조만이 살길이다
06 강한 지도자 갈망, 허상의 파시즘에 공감하다
07 조선인은 피와 살과 뼈가 일본인이 돼야 한다
08 천황에게 모두 바쳐라, 그리하면 얻을 것이다
09 나의 친일은 민족을 위한 희생이었다

PART 5 식민지 조선의 독립을 변호하다 - 후세 다쓰지
01 군국주의를 거부한 인권 변호사의 길
02 애당초 일본의 조선 침략은 부당한 것이었다
03 “일한병합”의 침략성을 폭로하다
04 ‘근대화’와 ‘문명화’는 일본의 침략 알리바이
05 쌀 생산이 늘어도 조선 농민은 궁핍해진다
06 무고한 학살에 면죄부는 없다
07 법률로 조선총독부를 공격하다
08 해방 후 조선건국헌법 초안을 만들다
09 살아도 죽어도 민중과 함께 투쟁하겠다

PART 6 일본을 제국의 몽상에 빠뜨리다 - 도조 히데키
01 30대 육군 사조직의 탄생, 침략전쟁의 판을 짜다
02 포로가 되느니 차라리 죽어라
03 모든 권한은 나에게, 책임은 부하에게
04 아시아 민중이 함께 서구에 맞서자
05 전황 악화 중에도 독재체제 구축을 시도하다
06 전쟁 주동자 도조를 사형에 처하라
07 천황은 전쟁 책임이 없다
08 패전 후에도 일본을 군국주의에 가둔 무능한 정치군인

주석
참고문헌




뇌의식의 증명
9788955969252.jpg


도서명 : 뇌의식의 증명
저자/출판사 : 유안 스콰이어스, 한언
쪽수 : 448쪽
출판일 : 2022-03-25
ISBN : 9788955969252
정가 : 25000

옮긴이의 말
지은이의 말
감사의 글

1장 들어가며
이 책에 관하여 | 저자에 관하여

2장 물리학과 의식
물리학: 모든 것의 이론 | 물리학과 경험의 위기 | 물리학과 환원주의 | 물리학에서 의식으로

3장 의식
의식이란 무엇인가? | 무엇이 의식을 갖고 있는가? | 기계가 의식을 가질 수 있는가? | 의식의 기능은 무엇인가? | 의식의 고유성 | 무의식 | 의식의 여러 상태

4장 고전물리학에서 표준모형까지
고전 시대 | 간섭 | 양자 혁명 | 표준모형 | 우주론의 표준모형 | 미해결 문제들

5장 철학적 배경
“말, 말, 그저 말” | 유심론 | 실재론 | 유물론 | 심신 동일론 | 이원론 | 정신신경 쌍 | 범심론 | 과정 철학 | 요약

6장 의식과 관련된 실험
과학은 실험이 필요해 | 동물의 의식 | 맹시 | 뇌 | 분리뇌 실험 | 정신 사건이 뇌에 미치는 영향 | 의식이 외부 세계에 미치는 영향

7장 자유의지
의식의 속성 | 자유는 다른 행위를 선택할 가능성인가? | 자유의지는 환상인가? | 자유의지와 결정론 | 자유의지의 기원 | 목적과 설계 | 결론

8장 시간
시간과 물리 법칙 | 시간 경험 | 시간 비대칭성과 열역학 | 기억 | 시간축에 따른 이동 | 시간과 공간

9장 진리
사실과 항진명제 | 역설 | 공리계 | 괴델의 정리 | 기계의 말은 참인가?

10장 양자론
물질-파동 이중성 | 양자론의 파동함수 | 파동함수의 확률 해석 | 양자론과 결정론 | 양자론과 외부 실재 | 양자론과 국소성 | 시간과 양자역학

11장 양자론은 무엇을 뜻하는가?
해석 문제 | 정통 해석 | 양자 측정의 주체는 무엇인가? | 의식과 파동함수 붕괴 | 숨은 변수 모형 | 다세계 해석 | 지식과 양자론

12장 의식과 양자물리학
왜 물리학에는 의식이 필요한가? | 의식적 정신의 고유한 세계 | 자유의지와 양자물리학 | 염력과 양자물리학 | 보편의식과 투시 | 두뇌 사건은 미시적인가?

13장 마치며
외부 세계는 있는가? | 다른 무언가가 있는가? | 이게 왜 그렇게도 중요한 문제인가? | 내 행동은 나의 책임인가? | 다시, 의식이란 무엇인가?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