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말, 나만 불편해 또는 인류세의 철학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이런 말, 나만 불편해 또는 인류세의 철학

땅끝
2024-12-25 10:41 169 0

본문




이런 말, 나만 불편해
9788961571036.jpg


도서명 : 이런 말, 나만 불편해
저자/출판사 : 김효진, 이후
쪽수 : 168쪽
출판일 : 2022-04-05
ISBN : 9788961571036
정가 : 14000

들어가며

1부 알고도 쓰고, 모르고도 쓰는 장애 혐오 표현

1장 장애인은 불쌍해
동정과 혐오는 한 끗 차이 / 장애인이 왜 불쌍해? / 온정주의는 사실 경멸하는 태도 / 불쌍해서 베푸는 마음은 공감이 아니라 우월감 / 자선을 위해 소비되는 고통과 비극 - 수급자다움, 장애인다움?
* 보완 대체 의사소통(AAC)
2장 몸도 불편한데 왜 돌아다녀?
위험하다고 태워 주지 않던 버스 / 장애인도 출근합니다 / 존재하지만 보이지 않는 사람들 / 혐오표현을 어떻게 처벌할까?
3장 장애인이 무서워요
모르면 무섭다 / 그리 위험하지는 않지만 혹시 위험할지도 모르니 /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차이 / 우리가 아니라 ‘그들’이어서 무섭다 / 혐오하는 당신이 더 무섭다
* 발달 장애
4장 장애인은 모자란 사람
경쟁과는 거리가 먼 사람이라서? / 영구, 맹구, 그리고 동네 바보 형 / 웃자고 한 짓이라고? / 정치인의 장애 비하 발언 / 하나도 웃기지 않습니다
* 장애 관련 왜곡된 표현

2부 대놓고 하는 장애 혐오 표현

1장 장애인은 안 된다
왜 비장애인과 결혼할 수 없는지? / 더 독한 가상현실 속 익명의 분노 / 장애인은 제



외해야 한다는 뜻
2장 장애인은 더럽다
사람이 더럽나, 개가 더럽나, 똥이 더럽나 / 장애는 전염되지 않는다 / 장애를 전시하려는 사람들
3장 장애인은 죽는 게 낫다
태어날 권리를 빼앗기는 장애인들 / 어머니, 우리를 죽이지 마세요 / 우리 안의 괴물
4장 누가 장애인에게 성욕을 느끼겠나?
성폭력도 감지덕지하라고? / 추녀, 세상이 만들어 낸 장애 / 편견이 오해를 만났을 때

3부 숨어 있는 장애 혐오 표현

1장 미친 존재감
칭찬인 듯 칭찬 아닌 / 욕할 때마다 들먹이는 정신장애 / 장애인을 배제하려는 무의식
* 정신장애
2장 장애를 극복한 영웅
장애를 ‘극복’해야 한다는 선의, 그러나 잘못된 강요 / 성공한 장애인에게만 보내는 찬사 / 장애는 온 사회가 함께 고민할 문제
3장 마음의 장애인, 예비 장애인
장애인을 배척하고 불편해하는 마음 - 모르고 쓰는 모욕의 말들 / 결정 장애, 분노조절 장애라고 하면 다인가 / 혐오 문제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부터
4장 역차별은 없다
진정한 평등은 어디에서 올까 / 장애인에게는 문제가 없다 / 그럼, 너도 다리를 잘라
* 장애인 공감 지수 확인을 위한 문제 풀이




인류세의 철학
9791166291296.jpg


도서명 : 인류세의 철학
저자/출판사 : 시노하라 마사타케, 모시는사람들
쪽수 : 272쪽
출판일 : 2022-08-31
ISBN : 9791166291296
정가 : 17000

한국어판 저자 서문
프롤로그 『인류세의 철학』은 어떻게 탄생했나?
해제 〈붕괴〉 이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서론

제1장 인간과 자연의 관계
· 인공물과 자연 · 인공물로서의 경계
· 인간의 세계·경계·자연과의 만남 · 인간의 세계와 그 붕괴
· 인간세계의 한계로서의 경계 · ‘아우라의 붕괴’에서의 양의성(兩義性)
· 자연 이해의 어려움 · 세계의 사물성
· 상호연관의 펼쳐짐

제2장 인간세계의 이탈
· 인간이 아닌 것의 세계 · 인류세
· 인류세 시대의 인간의 조건 · 인간의 조건의 사물성
· 이탈하는 인간세계 · 인간세계를 교란시키는 자연

제3장 인간세계의 취약함
· 인간세계의 과학기술화 · 지구로부터의 인간 이탈
· 인간의 조건의 붕괴 · 환경 위기와 인간 소멸
· 무용해지는 기분과 인공세계의 구축 · 생태적 현실로

제4장 생태적 세계
· 데이터로 본 현실의 충격 · 데이터가 제시하는 현실의 역설
· 마음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다 · 유체적(流體的) 사고에 대한 비판
· 인간은 자연 속에 살아 있다 · 인간적인 것과 생태적인 것의 사이
· 취약성의 현실성

제5장 사물의 세계와 시적 언어의 가능성
· 사물과의 상호교섭 · 과학기술화 과정에서의 주체성 상실
· 시적으로 말하기 · 사물의 응시
· 정신의 극복 · 사물이 만나고 모이는 장소
· 과대 도시화와 공업화의 결말

제6장 생태적 공존
· 현전(現前)의 공간과 그곳으로부터의 제거
· 인간 아닌 것의 힘들과의 접촉 · 인간의 유한성
· 혼돈공간의 발생 · 확산에서의 연관
· 파편과 함께 있다는 것 · 빛과 어둠의 경계
· 분리되지 않지만 구별된다

결론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