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모없는 것들과 함께 또는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올컬러 특별판)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쓸모없는 것들과 함께 또는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올컬러 특별판)

땅끝
2024-12-25 10:41 151 0

본문




쓸모없는 것들과 함께
9791157284887.jpg


도서명 : 쓸모없는 것들과 함께
저자/출판사 : 이창윤, 지혜
쪽수 : 112쪽
출판일 : 2022-10-15
ISBN : 9791157284887
정가 : 11000

차례
시인의 말 5

1부
쓸모없는 것들과 함께

쓸모없는 것들과 함께 16
헐거워진 저녁 17
저녁이 말했다 19
마음의 지평선 20
저녁노을을 머리로 들이받은 새 21
바다의 지붕 22
세월을 본다 23
갈대밭을 지나가다 24
가을의 뒷모습 25
봄꿈 26
철새들을 기다리던 시절 27
푸성귀를 키우며 28
가을의 손 29
봄날의 아득함으로 30
우연한 음악이 은혜에 기대다 31
껍질째 먹는 농담 32
내 시의 독자는 33
가끔, 시를 쓰는 일은 35
시베리안 아이리스 36
해안선 위에 걸린 달 37

2부
내 영혼이 쓰는 시

첫눈의 예감 40
북쪽 마을에 두고온 낙원 41
시골교회 뒷마당에 서있는 43
상처 입은 나무들과 함께 44
당나귀 편에 서보다 45
낙타가 되는 꿈 47
산을 위한 추천서 48
못다 쓴 편지 49
흔들리는 봄날 50
우습지만 슬픈 농담 51
나를 기다리게 해주는 것들 52
무화과의 계절 53
행복해지기 쉬운 날 54
멸치국물 그 맛의 오솔길 55
웨일 워칭 투어 시즌 56
엉겅퀴란 말은 욕설이 아닙니다 58
봄볕 아늑한 날에 60
능금, 그 향기의 무게 61

3부
무엇으로 흔들리는가

그 물빛 64
애리조나주의 밤하늘 65
푸른 별 66
섬 67
따스했던 그해의 겨울 68
낙타의 눈물 69
무엇으로 흔들리는가 70
무화과나무 앞에 다시 서보다 72
아직도 시를 쓰나요? 73
잔디밭을 맨발로 걸어보라 74
이상한 말을 하고 있다 76
시조새의 화석을 본다 77
아내의 어깨 위에 손을 얹고 할 말 78
아득함이 데려다주는 새벽 79
문이 말한다 80
그리움의 세계가 따로 있다 81
푸른 하늘 83
아마존 강 84
반도네온이 한 번 더 울었다
- 배정웅 시인을 추모하며 86

해설/ 아득하게 흔들리는 저녁을 위한 시
- 쓸모없음의 쓸모에 관한 상상들/ 이형권 89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올컬러 특별판)
9791157062522.jpg


도서명 : 동아시아, 해양과 대륙이 맞서다(올컬러 특별판)
저자/출판사 : 김시덕, 메디치미디어
쪽수 : 372쪽
출판일 : 2022-01-31
ISBN : 9791157062522
정가 : 20000

다시 펴내는 말(2022년판 저자 서문)
들어가며

1부 해양 세력의 부상, 한반도를 지정학적 요충지로 바꾸다(16-17세기)

1장 일본, 강력한 해양 세력으로 떠오르다
전국시대 일본, 백 년 동안의 분열 | 일본과 이탈리아, 유라시아의 동서에 존재한 전국시대 | 체사레 보르자와 오다 노부나가

2장 해양 세력, 주변에서 중심을 꿈꾸다
유훈통치 체제의 도요토미 히데요시 정권 | 선과 악의 대결로서의 임진왜란 | 중국 대륙의 지배권을 건 한인과 비한인의 충돌 | 한반도, 지정학적 요충지가 되다

3장 임진왜란, 대륙을 향한 세 번째 시도와 좌절
대륙 세력이 되고자 한 일본의 첫 번째 좌절-삼한·삼국시대 | 대륙 세력이 되고자 한 일본의 두 번째 좌절-왜구 | ‘성전’으로서의 임진왜란

4장 만주인, 임진왜란이 누르하치를 키웠다
누르하치가 여진의 전국시대를 끝내다 | 압록강의 얼음성과 홍삼, 그리고 ‘만주인’의 탄생 | 누르하치, 제국 건설을 시작하다

5장 급변하는 대륙, 동네북이 된 한반도
유라시아 동부의 패권을 건 사르후 전투 | 여진인과 ‘한국인’은 동족인가 | 정묘호란과 병자호란ㆍ한반도 문제의 종결

6장 명.청 교체, 비한인이 대륙을 지배하다
고려의 충선왕, 조선의 소현세자ㆍ심양의 두 한국인 | 북경, 함락되다 | 중국인과 일본인의 혼혈아 정성공

7장 타이완, 또 다른 동아시아 해양 중심지
‘아름다운 섬’타이완의 정치적 수난 | 타이완 섬의 운명을 결정지은 정성공 | 《정감록》의 정도령은 정성공의 아들 정경인가

8장 대항해시대, 노예무역으로 연계되다
유라시아 동부에 나타난 유럽 | 임진왜란과 동남아시아 노예무역 | 동남아시아에서 사라져가는 한국인과 일본인

2부 회오리 이후, 옛 질서에서 새로운 질서로 흘러가다(17-19세기 초)

9장 표류민, 새로운 세상을 본 사람들
한반도로 표류한 네덜란드와 필리핀 사람들 | 고립된 조선의 현실을 한탄하다 | 한국과 일본의 표류민, 새 시대를 열다

10장 난학, 네덜란드라는 창으로 세계를 보다
세계경제 시스템의 동중국해 거점-왜관, 광둥, 데지마 | 네덜란드라는 창을 통해 세계를 본 일본 | 난학의 도입을 이끈 해부학

11장 러시아, 삼국지에서 열국지로 바뀌는 동아시아
유라시아 동부에 등장한 러시아 | 아무르 강에서 펼쳐진 조선·청·러시아의 삼국지 | 유라시아 동부, 《삼국지》에서 《열국지》로

12장 영토 탐험과 점령, 오호츠크 해 열국지
러시아와 일본의 영토 분쟁 | 오호츠크 해 연안의 조선인 | 사할린은 누구의 것인가 | 오호츠크 해 열국지가 펼쳐지다

13장 군담소설, 복수와 충돌을 말하다
복수할 수 없는 울분은 무엇으로 풀랴 | 러시아와 일본이 오호츠크 해에서 충돌하다 | 조선과 러시아의 일본 협공 계획

14장 통신사, 동상이몽의 조일외교
통신사가 일본으로 간 까닭은 | 선교사 대 조공사 | 아메노모리 호슈라는 국제인

15장 가톨릭의 충격, 옛 세계가 멸망하고 ‘신질서’가 수립되다
성리학과 가톨릭이라는 두 가지 선택지 | 포도주와 카스텔라, 유럽의 위험한 유혹 |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지키기 위해 | 시마바라 봉기와 네덜란드의 대두

16장 종교와 국가, 탄압 속에서 꽃핀 기적
한반도에 구현된 새로운 정신세계 | 국가보다 종교, 황사영 백서 | 유라시아 동해안의 기적

3부 제국주의 세계와 동아시아 충돌, 격동의 현대를 열다(19-20세기 중반)

17장 서구와의 충돌, 중국과 일본의 아이러니
청나라의 아이러니 | 태평천국이라는 터닝 포인트 | 일본의 아이러니

18장 홋카이도ㆍ오키나와ㆍ타이완, 멸망한 소국들
그들만의 나라, ‘에조공화국’ | 유구 왕국, 두 번의 멸망 | 아시아 최초의 공화국, 타이완민주국

19장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일본이 이용한 조선 대전쟁
임오군란 | 갑신정변

20장 청일전쟁, 중국에 대한 일본의 우위가 성립되다
청일전쟁, 또는 동아 삼국 전쟁 | 문명 대 야만의 전쟁 | 을미사변에서 아관파천으로

21장 조선과 러시아의 짧은 밀월
러시아는 조선에 무엇이었는가 | 비백인 제국주의 국가의 등장

22장 조선의 멸망, 그리고 조선인의 가능성
안중근과 이토 히로부미 | 나폴레옹과 워싱턴의 시대 | 조선은 왜 멸망했는가

23장 독립전쟁, 만주 독립의 꿈
한국인의 프론티어 정신 | 대아시아주의 | 연해주와 만주, 건국의 요람

24장 대동아공영권 이후, 개인의 희생을 담보한 국가
대동아공영권 | 인도 독립의 세 가지 길 | 누가 정의로운가? 역코스의 역설

마치며/ 주/ 더 읽을 책/ 도판목록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