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초스피드기억법 화재안전기준 포켓북 또는 한국학강의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2022 초스피드기억법 화재안전기준 포켓북 또는 한국학강의

땅끝
2024-12-25 10:41 279 0

본문




2022 초스피드기억법 화재안전기준 포켓북
9788931527605.jpg


도서명 : 2022 초스피드기억법 화재안전기준 포켓북
저자/출판사 : 공하성, 성안당
쪽수 : 544쪽
출판일 : 2022-02-25
ISBN : 9788931527605
정가 : 20000

- 머리말

제1편 화재안전기준(기계분야)

제1장 소화설비
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NFSC 101)
2. 옥내소화전설비(NFSC 102)
3. 옥외소화전설비(NFSC 109)
4. 스프링클러설비(NFSC 103)
5. 간이스프링클러설비(NFSC 103A)
6. 화재조기진압용 스프링클러설비(NFSC 103B)
7. 물분무소화설비(NFSC 104)
8. 미분무소화설비(NFSC 104A)
9. 포소화설비(NFSC 105)
10. 이산화탄소소화설비(NFSC 106)
11. 할론소화설비(NFSC 107)
12.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NFSC 107A)
13. 분말소화설비(NFSC 108)
14. 고체에어로졸 소화설비(NFSC 110)

제2장 피난구조설비
1. 피난기구(NFSC 301)
2. 인명구조기구(NFSC 302)

제3장 소화활동설비
1. 제연설비(NFSC 501)
2.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NFSC 501A)
3. 지하구(NFSC 605)
4. 연결살수설비(NFSC 503)
5. 연결송수관설비(NFSC 502)

제4장 소화용수설비 및 기타 시설
1. 상수도소화용수설비(NFSC 401)
2. 소화수조 및 저수조(NFSC 402)
3. 도로터널(NFSC 603)
4. 고층건축물(NFSC 604)
5. 임시소방시설(NFSC 606)
6.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
7. 건축물의 화재안전성능보강 방법 등에 관한 기준

제2편 화재안전기준(전기분야)

제1장 경보설비
1.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NFSC 203)
2. 자동화재속보설비(NFSC 204)
3. 비상경보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NFSC 201)
4. 비상방송설비(NFSC 202)
5. 누전경보기(NFSC 205)
6. 가스누설경보기(NFSC 206)

제2장 피난구조설비
1. 유도등 및 유도표지(NFSC 303)
2. 비상조명등(NFSC 304)

제3장 소화활동설비 및 기타 설비
1. 비상콘센트설비(NFSC 504)
2. 무선통신보조설비(NFSC 505)
3.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NFSC 602)

제3편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령

1.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2.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3.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제4편 기타 소방 관련 법령

1. 공공기관의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규정
2.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3.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의 인정 및 관리기준
4.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5.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찾아보기




한국학강의
9791166291029.jpg


도서명 : 한국학강의
저자/출판사 : 최민자, 모시는사람들
쪽수 : 768쪽
출판일 : 2022-05-15
ISBN : 9791166291029
정가 : 33000

제1부 | 한국학 연구의 시대적 범주와 요점

01 왜 오늘날 한국학인가
‘메타버스’ 시대의 한국학이란 무엇인가: 한국학의 정의와 시대적·세계사적 소명
한국산(産) 정신문화에 대한 국제적 관심 고조
한반도 평화통일, 전 지구적 차원의 양극성 통합 신호탄

02 한국학 연구의 딜레마와 시대적 범주
한국학 연구의 딜레마와 시대적 범주 설정에 따른 문제
환국(桓國)의 역사적 실재
배달국과 단군조선의 역사적 실재

03 한국학의 요점과 과제
‘한’의 의미, ‘한’사상과 마고(麻姑)의 삼신사상
한국학과 통섭적 사유 그리고 ‘통합 학문’
한국학의 과제

제2부 | 마고(麻姑)의 삼신사상과 마고 문화의 연맥(緣脈)

04 마고의 창세(創世)와 여성성의 원리
마고의 창세(創世), 생명의 거대사
마고성 이야기와 민족의 이동 및 분화
인류 구원의 ‘여성성’

05 마고의 삼신사상과 마고 문화의 전파
삼신사상의 핵심 원리 및 마고 문화의 잔영(殘影)
삼신일체의 서구적 변용: 삼위일체
마고 문화와 무(Mu) 제국의 문명

06 마고 문화와 수메르 문명
한국학에서 왜 수메르인가
마고 문화와 수메르 문명의 근친성
문화적 르네상스와 수메르 그리고 아메리칸 인디언

제3부 | 환단(桓檀)시대의 정치대전, 한국학의 르네상스를 열다

07 단군조선의 국가 조직과 통치 체제 그리고 대내외적 발전
고조선의 개국과 국가 조직 및 삼한관경(三韓管境)
고조선의 통치 체제와 대내외적 발전
고조선의 사회 문화와 정치사상

08 환단(桓檀)시대의 정치대전,『천부경』·『삼일신고』·『참전계경』
『천부경』의 전래와 요체, 구조 및 내용
『삼일신고』의 전래와 요체, 구조 및 내용
『참전계경』의 전래와 요체 및 구조

09 고조선의 해체와 열국시대 그리고 민족대이동
고조선 제후국의 독립과 정치적 재편: 북부여와 후삼한(後三韓)·동옥저·동예·낙랑국
고구려·백제·신라·가야 초기의 정치적 성장과 그 연맥
민족대이동과 고조선 문화·문명의 전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