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마 종결자 또는 역사에서 기억으로
땅끝
2024-12-25 10:41
155
0
본문
카르마 종결자

도서명 : 카르마 종결자
저자/출판사 : 전난영, 지식공감
쪽수 : 224쪽
출판일 : 2022-08-06
ISBN : 9791156227199
정가 : 23000
카르마 종결자
1. 카르마란 무엇입니까?
2. 카르마 종결자란 무엇입니까?
3. 우리가 태어난 목적은 무엇입니까?
4. 시간이란 무엇입니까?
5. 영혼이 지구에 내려오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6. 윤회란 무엇입니까?
7. 환생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8. 카르마 꼬임이란 무엇입니까?
9. 카르마는 가지고 태어나는 것인가요?
10. 카르마 대물림이란 무엇입니까?
11. 카르마는 왜 만들어집니까?
12.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은 무엇입니까?
13. 귀란 무엇입니까?
14. 신이란 무엇입니까?
15. 죄란 무엇입니까?
16. 병이란 무엇입니까?
17. 죽음이란 무엇입니까?
18. 죽음 이후에는 무엇이 남습니까?
19. 결혼은 왜 하는 것입니까?
20. 결혼은 해야 합니까? 하지 말아야 합니까?
21. 자식을 낳아야 합니까? 낳지 말아야 합니까?
22. 그렇다면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23. 카르마 인연이란 무엇입니까?
24. 귀인이란 무엇입니까?
25. 천륜이란 무엇입니까?
26. 친구란 무엇입니까?
27. 신의 제자란 무엇입니까?
28. 카르마의 종결은 어떻게 합니까?
정신의 명품화
1. 명품이란 무엇입니까?
2. 명품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3. 자기관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4. 정신의 명품화란 무엇입니까?
5. 정신을 어떻게 명품으로 만들 수 있습니까?
6. 리더의 조건은 무엇입니까?
7. 자기의 그릇 크기는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8. 어떤 사람이 리더의 길을 걷습니까?
9. 돈이란 무엇입니까?
10. 사업이란 무엇입니까?
11. 정치란 무엇입니까?
12. 종교란 무엇입니까?
13. 예술이란 무엇입니까?
14. 자유란 무엇입니까?
15. 이념은 왜 필요합니까?
16. 테라포밍 & 태라포밍이란 무엇입니까?
17. 외모를 갖추는 것도 필요합니까?
18. 자신을 갖춘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19. 에너지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20. 환경은 어떻게 세팅해야 합니까?
21. 사념이란 무엇입니까?
22. 정신력이란 무엇입니까?
별빛 네트워크
1. 별빛 네트워크란 무엇입니까?
2. 별빛 네트워크의 관계성은 어떤 관계성입니까?
3. 상생의 관계는 어떻게 만들 수 있습니까?
4. 남을 돕는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5. 왜 남을 위해 살아야 합니까?
6. 정이란 무엇입니까?
7. 걱정이란 무엇입니까?
8. 희생이란 무엇입니까?
9. 고통이란 무엇입니까?
10. 사랑이란 무엇입니까?
11. 이타적인 마음은 무엇입니까?
12. 나를 사랑하는 법은 무엇입니까?
13. 이별이란 무엇입니까?
14. 지혜란 무엇입니까?
15. 대자연법이란 무엇입니까?
16. 시대적 관념이란 무엇입니까?
17. 새로운 시대는 어떤 시대입니까?
카르마 종결자의 이념과 정신
역사에서 기억으로

도서명 : 역사에서 기억으로
저자/출판사 : 임지현 , 정면 , 김정한 외, 진실의힘
쪽수 : 288쪽
출판일 : 2022-08-15
ISBN : 9791195716074
정가 : 18000
들어가며 : '기억을 학살하라' 그들이 비극의 역사를 부정하는 법 임지현
1부 전쟁 속으로
1. 여자의 얼굴을 한 전쟁
일본군 '위안부' 증언 이후의 풍경들 이현미
2. 강제동원: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강정석
3. 금순이의 6.25
기억과 기념으로서의 한국전쟁 이용우
4. 훗카이도 강제노동 희생자의 70년 만의 귀향 류석진
5. 군대와 ‘위안’ 문화의 기억
'위안부'를 다각화하기 허윤
2부 국가로부터
1. 풀뿌리 항쟁의 '이름'없는 진짜 주역들 김정한
2. '국풍 81'의 기억과 1980년대 문화정치 배주연
3. 5·18 그리고 '철의 폭풍', 희생의 연대는 가능한가 이영진
4. 기억의 전쟁터, 국사 교과서와 진도 정면
5. 제주 4·3 사건의 위령
트라우마와 포스트 기억의 정치학 김성례
6.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삼청교육대, 사회보호법 그리고 우범인종주의 이상록
3부 다른 나라에서
1. 로이사이다의 주거권 투쟁
주거난 현실이 소환한 '저항의 기억' 황은주
2. 대만 중정기념당, 불멸의 기억 정헌주
3. 천안문, 중국과 서구의 집단기억 정화 홍지순
4. 전쟁과 여성
이디스 카벨을 기억하다 김영주
5. 태국 최초로 왕실을 공개 비판하다.
'입헌정치' 대중운동 시작한 청년들 서지원
6. 소련의 '순교 성인' 파블리크 모로조프.
정치종교의 순교 성인과 환속 사이의 기억 갈등 이종훈
4부 기록되고 기록하다
1. 모든 것을 무릅쓴 기억들, 재난 아카이브 박현선
2. 법을 통한 친일 과거청산, 그 가능성과 한계 이철우
3. 식민주의 전승과 소리의 기억 배묘정
4. 역사부정죄
법은 역사부정에 맞서는 무기인가 이소영
5. ‘6·25 전쟁’ 또는 ‘한국전쟁’을 둘러싼 역사 교육 논쟁 김상훈
5부 기억과 흔적
1. 민족의 토포필리아 자본의 토포포비아, 효창공원 정일영
2. 이태원×기지촌, 혐오와 망각의 투기촌 김주희
3. 사북항쟁, '가해자'라는 기억의 굴레 김정한
4. 고집스러운 독일 한인 광부들의 기억 이유재
5. 더 이상 목선을 만들지 않는 조선소,
기억문화'를 대패질하다 우찬제
6. 식민지 건축 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의 딜레마
항일의 기억과 식민지 미화 투어리즘 사이에서 전재호
7. 21세기 북한, 대립하는 두 개의 기억과 두 개의 공간 차문석
8. 빈곤의 추억과 불평등의 기억 황병주
9. 죽음의 정치적 승화와 김정은 정권의 문화적 기억 김보민
나가며 : 기념에서 기억으로 기억의 법제화를 경계하며 임지현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