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형 사법과 법조의 정착 또는 어쩌다 마주친 철학
땅끝
2024-12-25 10:41
137
0
본문
일본형 사법과 법조의 정착

도서명 : 일본형 사법과 법조의 정착
저자/출판사 : 장진호, 한국학술정보
쪽수 : 472쪽
출판일 : 2022-08-31
ISBN : 9791168016521
정가 : 35000
머리말
제1장 서
제2장 일본사법의 근대화
1. 고대와 중세의 재판
2. 근세의 재판제도
가. 행정관청의 겸무
나. 절차적 독자성
다. 행정적 관리주의
3. 근대적 사법의 도입
가. 국내외적 필요
나. 과도기의 공존체제
다. 재판시스템의 통괄
라. 사법의 기구적 분리
마. 재판절차의 근대화
제3장 한국의 계수와 의용
1. 법원의 차별적 기원
2. 근대적 사법제도 이식
3. 사법제도 이용의 확대
4. 강점기 관료사법과 의용
5. 식민 잔재로의 책임전가
제4장 일본형 법조의 형성
1. 명법료와 근대 법학교
2. 법조자격시험의 변천
3. 전후의 사법연수소
4. 국가주도적 도제교육
5. 법과대학원과 국가연수
6. 로스쿨과 예비시험 병행
7. 한국의 일본형 고시
8. 여성의 법조진입과 장벽
제5장 일본사법의 관료성과 개혁
1. 국가적 제도화 요청
2. 국가권력의 성역
가. 행정소송 간섭
나. 전전의 행정재판소
다. 전후 행정재판개혁
3. 정치와의 긴장관계
4. 탈정치가 만든 관료화
5. 사법과 법조의 개혁론
6. 개혁의 성과와 과제
7. 재판원과 국민 참여
제6장 일본형 재판관
1. 판사의 제도적 기원
2. 재판관 독립과 감독
3. 재판관 임용과 임기
4. 사법관료로서의 재판관
5. 이념적 통제와 한계
6. 민주적 정당성 문제
7. 정치적 중립 문제
8. 직업적 어려움
제7장 일본형 검찰관
1. 검사의 제도적 기원
2. 조직으로서의 검찰
3. 예심 폐지와 수사권
4. 공판전담론의 교훈
5. 기소편의주의의 무기
6. 기소의결이라는 견제
7. 당사자 지위와 현실
8. 정밀사법의 반론
제8장 일본형 변호사
1. 전근대의 기능적 기원
2. 소송대리로서의 대언인
3. 근대적 변호사의 등장
4. 변호사 증원과 한계
5. 직업으로서의 변호사
6. 일본변호사연합회 ·
제9장 사법과 법조의 과제
1. 법조일원제라는 숙제
가. 경력 법관제의 장애
나. 관료적 이념의 장애
다. 개선과 미흡한 결과
2. 재판 지연의 문제
3. 난해한 법률용어와 문체
가. 한자문어체 번역어
나. 직수입한 한국의 무감각
4. 원죄의 실태와 관심
5. 후진적 인질사법
6. 사형집행 찬반론
제10장 일본형 법문화
1. 권력 추수적 사법
2. 법률과 도덕의 혼동
3. 비법적 호소의 마력
4. 재판 혐오의 신화
5. 재판 외적 분쟁 해결
6. 조정과 화해의 지배
7. 위증 없는 은닉 사회
8. 방청의 자유와 제한
9. 재판 비판의 시대 흐름
제11장 맺음말
참고문헌
어쩌다 마주친 철학

도서명 : 어쩌다 마주친 철학
저자/출판사 : 황진규, 지경사
쪽수 : 408쪽
출판일 : 2022-04-15
ISBN : 9788931933970
정가 : 18000
머리말
프롤로그
생각의 시작
1. 철학은 돈 버는 데 도움이 되나요? _탈레스의 ‘형이상학’
2. 나와 다른 것은 왜 불편할까요? _헤라클레이토스의 ‘변화’
3. 왜 쉽게 위축되거나 오만해질까요? _소크라테스의 ‘성찰’
생각의 생각
4. 강박적인 마음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_플라톤의 ‘이데아’
5. 왜 무기력해질까요? _플라톤의 ‘원인론’
6. 어떻게 당당해질 수 있을까요? _디오게네스의 ‘시니시즘’
7. 어떻게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을까요? _아리스토텔레스의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
8. 어떻게 타인과 함께 기쁘게 살아갈 수 있을까요? _아리스토텔레스의 ‘폴리스’
생각의 믿음
9. 어떻게 해야 마음이 편안해질까요? _스토아학파의 ‘아파테이아’
10. 피해의식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_에피쿠로스의 ‘아타락시아’
11. 왜 새로운 시작은 어려울까요? _루크레티우스의 ‘클리나멘’
믿음의 시작
12. 앞으로 펼쳐질 미래가 궁금한가요? _아우구스티누스의 ‘과거, 현재, 미래’
13. 어떻게 사랑해야 할까요? _안셀무스의 ‘믿음’
14. 일하지 않고 돈 벌고 싶은가요? _토마스 아퀴나스의 ‘실재론’
믿음의 생각
15. 변덕스러운 마음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_둔스 스코투스의 ‘헥시어티’
16. 어떻게 단순하게 살 수 있을까요? _오컴의 ‘오컴의 면도날’
17. 반복되는 삶이 지겨운가요? _키르케고르의 ‘반복’
에필로그
참고문헌
도판 출처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