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를 새기다 또는 재밌어서 밤새 읽는 한국사 이야기 3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그림자를 새기다 또는 재밌어서 밤새 읽는 한국사 이야기 3

땅끝
2024-12-25 10:41 113 0

본문




그림자를 새기다
9788963396873.jpg


도서명 : 그림자를 새기다
저자/출판사 : 윤주희, 책나무출판사
쪽수 : 112쪽
출판일 : 2022-09-16
ISBN : 9788963396873
정가 : 10000

1부
초대·11 / 나팔꽃·12 / 목숨인들 무엇이 아까우리·13 / 장유사 계곡·14 /
용주사·15 / 노을·16 / 상사화·17 / 하심·18 / 배롱꽃·19 /
비의 메아리·20 / 계절의 행간을 읽는다·21 / 산경·22 / 수호천사·23 /
솔숲에 잠이 들고·24 / 산 다람쥐·25 / 기별·26 / 미련·27 /
장미의 눈물·28 / 목련·29 / 삼월의 비·30

2부
열애·35 / 봄이 왔습니다·36 / 참사랑·37 / 뒤안길·38 /
정열의 꽃·39 / 어여쁜 천사·40 / 임 마중·41 / 요화·42 /
가랑비에 젖어·43 / 믿음의 씨알·44 / 무심·45 / 모정·46 /
천상의 친구에게·47 / 프리지어 사랑·48 / 러브체인·49 /
질투·50 / 소나무·51 / 화두·52 / 지아비 부·53 / 덧난 상처·54

3부
섬진강 맑은 물·59 / 입춘·60 / 비원·61 / 물멀미·62 /
학 닮은 사랑·63 / 동백꽃·64 / 밤의 길손·65 / 동행·66 / 지장보살·67 /
휘청거리는 오후·68 / 한여름에·69 / 흐르는 시간 속에·70 /
허수아비·71 / 길 언저리에 묻어둔 그리움·72 / 꿈자리·73 /
화신·74 / 자유를 꿈꾸는 새·75 / 망자의 넋·76 / 백의관음·77 / 기도·78

4부
홍시·83 / 백중·84 / 추억·85 / 송정 바다·86 / 바람의 편지·87 /
자존심·88 / 장맛비·89 / 백운계곡·90 / 해국·91 / 마른 꽃·92 /
파도·93 / 밤비·94 / 가을비·95 / 사랑은 은유다·96 /
그대란 배를 띄웁니다·97 / 말복·98 / 교정의 배롱꽃·99 /
은하사 풍경 소리·100 / 봄의 물결·101 / 목마름·102




재밌어서 밤새 읽는 한국사 이야기 3
9791192444154.jpg


도서명 : 재밌어서 밤새 읽는 한국사 이야기 3
저자/출판사 : 재밌는이야기역사모임 , 공명진 , 김태규 , 윤경수 , 더숲
쪽수 : 212쪽
출판일 : 2022-08-19
ISBN : 9791192444154
정가 : 14000

머리말 / 한국사와 세계사를 한눈에 읽는 연표

제1장 조선, 나라의 기틀을 완성하다
조선을 세운 사람은 이성계일까, 정도전일까?
*한 걸음 더 / 정도전이 디자인한 도시 한양
*한 걸음 더 / 세계 최대의 역사 기록 《조선왕조실록》
태종은 왜 형제까지 죽여야 했을까?
*한 걸음 더 / 함흥차사는 정말 감감무소식이었을까?
백성들은 정말 신문고를 두드렸을까?
*그때 세계는 / 마녀로 몰려 화형당한 성녀 잔 다르크
*그때 세계는 / 유럽의 대항해보다 70년 앞선 정화의 대항해
세종은 어떻게 한국인에게 가장 사랑받는 왕이 되었을까?
*한 걸음 더 / 한글날은 왜 10월 9일일까?
세종은 그 많은 업적을 혼자 힘으로 이루었을까?
*한 걸음 더 / 자동으로 시간을 알려 주는 물시계 자격루
왜 오른쪽 문과 왼쪽 문이 삶과 죽음을 갈랐을까? - 계유정난
*한 걸음 더 / 녹두나물이 숙주나물이 된 사연
*그때 세계는 / 천년 제국 비잔티움의 멸망
어떻게 《경국대전》으로 나라의 질서가 잡혔을까?

제2장 사림, 조선의 중심으로 떠오르다
훈구와 사림은 왜 권력 다툼을 벌였을까? - 무오사화
*그때 세계는 / 유럽인의 욕심에 희생당한 아메리카 원주민
죽은 폐비 윤 씨가 어떻게 피바람을 몰고 왔을까? - 갑자사화
*한 걸음 더 / 왕실 호칭의 이모저모
*한 걸음 더 / 밤낮으로 놀이를 즐긴 연산군과 흥청망청
*그때 세계는 / 16세기 유럽 최대의 사건 종교 개혁
무엇이 조광조에게 비극적 최후를 가져왔을까? - 기묘사화
*한 걸음 더 / 과학으로 밝혀낸 거짓, 주초위왕 이야기
*한 걸음 더 / 갑자년, 을축년… 그해의 이름 짓기
‘대책 없는 난장판’이 과거 시험 때문에 생겨난 말이라고?
*한 걸음 더 / 출석 점수가 중요한 성균관
율곡 이이가 절에서 불교를 공부했다고?
*한 걸음 더 / 유교? 유학? 성리학?
*한 걸음 더 / 지방의 사립 학교 서원
임꺽정은 어쩌다 의적이 되었을까?
*그때 세계는 / 강력한 권력을 휘두른 절대 왕정의 등장

제3장 조선, 외적의 침입을 물리치다
조선의 200년 평화는 왜 깨졌을까? - 임진왜란
적에겐 경악을, 아군에겐 경의를, 백성에겐 희망을 안긴 장군은?
임진왜란의 진정한 영웅 의병의 자취는 어디?
*그때 세계는 / 근대적 정치 체제인 입헌 군주제의 등장 - 영국 혁명
광해군은 과연 명군일까, 폭군일까?
조선은 왜 삼전도에서 굴욕을 당해야 했을까?
*한 걸음 더 / 굴욕의 상징 삼전도비는 역사의 교훈으로 삼아야 할까, 없애야 할까?
*그때 세계는 /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로 끝난 30년 전쟁
*그때 세계는 / 세상을 보는 새로운 방법 과학 혁명
조선 시대 여성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맺음말 / 그림 목록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