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치의 정치 또는 아픈 시인의 이야기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스피치의 정치 또는 아픈 시인의 이야기

땅끝
2024-12-25 10:41 113 0

본문




스피치의 정치
9791191122367.jpg


도서명 : 스피치의 정치
저자/출판사 : 박성준, 알파미디어
쪽수 : 228쪽
출판일 : 2022-08-16
ISBN : 9791191122367
정가 : 17000

들어가며

Part 1_리더를 생각한다
1장. 리더란 무엇인가?
나폴레옹: 이상과 현실의 조화 | 빌 게이츠: 리더는 타인의 능력을 알아보고 능력을 부여한다 | 카네기: 리더는 사람을 다루는 자
2장. 리더의 덕목
리더십=관계의 함수 | 충녕대군을 선택한 이유 | 리더가 지녀야 할 5가지 덕목
3장. 리더의 위기는 어디에서 오는가?
리더의 첫 번째 위기: 교만, 오만, 자만 | 리더의 두 번째 위기: 말실수 | 리더의 세 번째 위기: 환상 | 리더의 마지막 위기: 결국 사람이 좌우한다
4장. 리더가 반드시 해야 할 일
리더의 진면목은 위기 속에서 드러난다 | 애덤 스미스: 국부론의 세 가지 길 | 야율초재: 다스림의 기본 | 정약용: 위기 극복 방안 | 헨리 키신저: 도덕보다 현실이 중요 | 리더가 해야 할 일

Part 2_리더의 스피치: 왜 지금 스피치인가?
1장. 스피치가 곧 리더십이다
리더의 실력은 스피치에서 나온다 | 리더십 평가는 스피치 능력에 좌우된다
2장. 스피치의 3가지 형식
1:1 스피치 | 1:소 스피치 | 1:다 스피치
3장. 좋은 스피치는 무엇일까?
리더는 무대의 주인공이다 | 좋은 스피치와 나쁜 스피치를 가르는 5가지 기준
4장. 군자삼변으로 배우는 좋은 스피치
언어적 메시지+비언어적 메시지 | 비언어적 메시지가 말보다 강할 때가 있다 | 언어적 메시지에는 내공과 기술이 모두 녹아 있다 | 리더의 스피치는 언어적 능력과 비언어적 능력의 조화다 | T.P.O에 적절한 스피치
5장. 리더의 스피치 유형
스피치를 통해 리더의 이미지가 형성된다 | 리더의 4가지 스피치 유형 | 주장형 스피치 분석 | 선동형 스피치 분석 | 호소형 스피치 분석 | 설득형 스피치 분석
6장. 스피치 유형은 조합과 변화도 가능하다
스피치 유형별 화법의 특징 | 기술적 측면으로 구분한 스피치 유형별 특징

Part 3_13대부터 20대까지 스피치 유형으로 본 대통령선거
1장. 제13대 대통령선거
노태우 | 김영삼 | 김대중 | 김종필 | 13대 대통령선거: 노태우=야당의 분열+호소형 메시지
2장. 제14대 대통령선거
김영삼 | 김대중 | 정주영 | 14대 대통령선거: 김영삼=여당 단일후보+주장형 스피치
3장. 제15대 대통령선거
김대중 | 이회창 | 이인제 | 15대 대통령선거: 김대중=강자분열·약자연합+설득·호소형 스피치
4장. 제16대 대통령선거
노무현 | 이회창 | 16대 대통령선거: 노무현=후보 단일화+선동형 스피치
5장. 제17대 대통령선거
이명박 | 정동영 | 문국현 | 17대 대통령선거: 이명박=야당 단일후보·여당분열+설득형 스피치
6장. 제18대 대통령선거
박근혜 | 문재인 | 18대 대통령선거: 박근혜=여당 단일후보+주장형 스피치
7장. 제19대 대통령선거
탄핵정국 읽기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19대 대통령선거: 문재인=탄핵정국·여당분열+호소형 스피치
8장. 제20대 대통령선거
이재명: 선동형에서 설득형으로 | 윤석열: 단순 주장형 | 2022년 대통령선거: 정치국외자(political outsider)의 출현 | 2022년 대선 해독법: 필요조건-분열이냐, 통합이냐? | 2022년 대선해독법: 충분조건-대통령후보의 스피치 | 2027년 대통령선거 예측

마치며





아픈 시인의 이야기
9791187909484.jpg


도서명 : 아픈 시인의 이야기
저자/출판사 : 왕은범, 광진문화사
쪽수 : 368쪽
출판일 : 2022-05-15
ISBN : 9791187909484
정가 : 15000

〈시인의 말〉 그리움과 고마움울 담아 가족과 내 모든 인연님들께 바칩니다
〈축하의 글〉 한국 시단의 영원한 별! 천상의 시인을 위하여!
제1부 주말 & 詩
주말 & 詩 -1 슬픈 안(內)나를 위해 눈물로 쓴 詩
주말 & 詩 -2 그리움으로 오신 그대
주말 & 詩 -3 때가 되어 지는 것들은 아름답다
주말 & 詩 -4 그리움과 별과 詩
주말 & 詩 -5 난, 그런 사람이고 싶습니다
주말 & 詩 -6 아픈 날은 밤도 길다
주말 & 詩 -7 하얀 새벽이 좋다
주말 & 詩 -8 사라ㅇ,ㅁ이 하나 떠났다고 슬퍼하지 마라
주말 & 詩 -9 슬픈 전설
주말 & 詩 -10 산다는 것은
주말 & 詩 -11 *죄목 없는 詩 1,2
주말 & 詩 -12 참회록
주말 & 詩 -13 나를 찾아서, 숨다
주말 & 詩 -14 작은 꽃밭 하나 들이고 살 일이다
주말 & 詩 -15 다시 아침이다, 아들아
주말 & 詩 -16 편지
주말 & 詩 -17 내 그리움 절벽은 언제나‘엄마’더라
주말 & 詩 -18 하얀 시집(詩集)
주말 & 詩 -19 하얀 새 되어 날다
주말 & 詩 -20 아버진 키가 작았다
주말 & 詩 -21 아즉 멀었다, 꽃 같을 내 詩는
주말 & 詩 -22 내 봄 뜨락에 당신을 심을래요
주말 & 詩 -23 도마뱀 꼬리처럼
주말 & 詩 -24 안녕, 별이 된 그대
주말 & 詩 -25 아픔은 말이야
주말 & 詩 -26 아즉은 먼 내 별자리
주말 & 詩 -27 내가 사랑하는 사람은
주말 & 詩 -28 내 꽃이 아니어도 좋다
주말 & 詩 -29 주루룩 눈물이 나서 깼다
주말 & 詩 -30 난 밤마다 엄마가 된다, 憑依
주말 & 詩 -31 찔레장미
주말 & 詩 -32 연잎 밥
주말 & 詩 -33 영시암엔 그리움만 보냈다
주말 & 詩 -34 인연은 다하면 강으로 간다
주말 & 詩 -35 울지마라
주말 & 詩 -36 그리운 것들은 다 어디로 갔냐고요?
주말 & 詩 -37 아프다, 많이
주말 & 詩 -38 내 모든 인연들에게
주말 & 詩 -39 오늘 밤엔
주말 & 詩 -40 새벽기도
주말 & 詩 -41 잊는다는 것은
주말 & 詩 -42 잊혀진다는 것에 대하여
주말 & 詩 -43 죽는 그날까지 부디 꽃이어라
주말 & 詩 -44 온몸으로 우는 새
주말 & 詩 -45 하루 종일 비만 내렸다
주말 & 詩 -46 나는 어디로 갔는가?
주말 & 詩 -47 아픔 없는 푸른 별이 되고파
주말 & 詩 -48 그리운 그대 뜨락 별 되어
주말 & 詩 -49 내 잃어버린 아침은 언제 오려나
주말 & 詩 -50 밤마다 난 신음새가 된다
주말 & 詩 -51 숨어 우는 신음새처럼
주말 & 詩 -52 묘비명 墓碑銘
주말 & 詩 -53 누더기잠
주말 & 詩 -54 꿈이었어
주말 & 詩 -55 시인과 까마귀
주말 & 詩 -56 C에게 쓰는 편지
주말 & 詩 -57 癌꽃
주말 & 詩 -58 그래서 아픈 게야
주말 & 詩 -59 배추벌레에게 미안하다
주말 & 詩 -60 여치와 시인과 엄마와 꽃
주말 & 詩 -61 삼봉자연휴양림 단풍길을 걸으며
주말 & 詩 -62 서리와 풍경 셋
주말 & 詩 -63 씨앗을 묻다 심은 詩
詩人과 癌과 詩 -1 ~ 36

제2부 왕은범 성장소설
왕은범 성장소설 - 열세살 은범이
프롤로그
#1 (아버지 왕대진)
#2 (어머니 최영창)
#3 (열세살 은범이)
〈이야기 42〉 헬로우, 기브 미 짭짭
〈이야기 43〉 땅뺏기
〈이야기 44〉 넉가래
〈이야기 45〉 쥐
〈이야기 46〉 쥐(2)
〈이야기 47〉 겨울밤
〈이야기 48〉 뻥튀기
〈이야기 49〉 강냉이
〈이야기 50〉 콩
〈이야기 51〉 이발
〈이야기 52〉 말타기
〈이야기 53〉 김장
〈이야기 54〉 채썰기
〈이야기 55〉 소여물
〈이야기 56〉 독꾸
〈이야기 57〉 텔레비전
〈이야기 58〉 가재
〈이야기 69〉 열일곱 은범이
〈이야기 60〉 꽃다지가 피었다
〈이야기 61〉 8,500원
〈이야기 62〉 콩나물
〈이야기 63〉 아버지의 노래
〈이야기 64〉 막걸리
〈이야기 65〉 죄
〈이야기 66〉 벌
〈이야기 67〉 나의 노래
하늘별 엄마한테 보내는 늙은 은범이의 편지
하늘별 아부지한테 보내는 늙은 은범이의 편지 예
순살 은범이
그래서 난, 열세살 은범이를 써야 한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