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DO 아이 두 오카리나(QR코드) 또는 다문화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론
땅끝
2024-12-25 10:41
153
0
본문
I DO 아이 두 오카리나(QR코드)

도서명 : I DO 아이 두 오카리나(QR코드)
저자/출판사 : 강유정, 아름출판사
쪽수 : 120쪽
출판일 : 2022-08-05
ISBN : 9788983779793
정가 : 10000
오카리나 운지표 - 4
추천 이야기 - 5
1 오카리나에 대하여
오카리나의 유래 - 6
오카리나 구조와 명칭 - 7
오카리나 음역과 키(Key) - 8
오카리나의 바른 연주 자세 - 9
오카리나의 소리내기 - 11
기초 음악 이론 - 14
2 오른손 연습
솔, 파, 미, 레, 도 - 16
비행기 - 18
나비야 - 18
징글 벨 - 19
환희의 송가 - 19
통통통통 - 20
뻐꾸기 - 20
성자의 행진 - 21
3 왼손 연습
솔, 라, 시, 도 - 22
똑같아요 - 24
작은 별 - 24
산토끼 - 25
주먹 쥐고 - 25
산바람 강바람 - 26
아름다운 것들 - 27
꽃밭에서 - 28
즐거운 나의 집 - 29
4 높은 음 연습
높은 레, 미, 파 - 30
고향의 봄 - 32
가을 길 - 33
퍼프와 재키 - 34
과꽃 - 35
애니 로리 - 36
에델바이스 - 37
Moon River - 38
5 낮은 음 연습
낮은 시, 라 - 39
엄마야 누나야 - 40
돌과 물 - 41
들로 산으로 - 41
여수 - 42
아! 목동아 - 43
6 조표와 임시표
조표와 임시표 연습 - 44
바장조와 시b(Bb) 운지 - 46
별보며 달보며 - 47
나뭇잎 배 - 48
오! 수재너 - 49
메기의 추억 - 50
작별 - 51
언제나 몇 번이라도 - 52
사장조와 파#(F#) 운지 - 53
Love Me Tender - 54
생일 축하 노래 - 54
Try To Remember - 55
등대지기 - 56
언덕 위의 집 - 57
아름다운 베르네 산골 - 58
크리스마스에는 축복을 - 59
7 그 외 변화음
도#(C#), 레b(Db) 운지 - 60
사라방드 - 61
모닥불 - 62
과수원길 - 63
레#(D#), 미b(Eb) 운지 - 64
코세크의 자장가 - 65
실버 벨 - 66
솔#(G#), 라b(Ab) 운지 - 67
사랑의 인사 - 67
얼굴 - 68
올챙이와 개구리 - 69
You Are My Sunshine - 70
알로하 오에 - 71
8 아름다운 연주를 위해서
아티쿨레이션 - 72
꾸밈음 - 74
Morning Has Broken - 76
푸른 산 푸른 들 - 77
로렐라이 - 78
봄처녀 - 79
오나라 - 80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 - 81
당김음 - 82
솜사탕 - 82
창밖을 보라 - 83
루돌프 사슴 코 - 84
피크닉의 노래 - 85
도돌이표 - 86
클레멘타인 - 87
어메이징 그레이스 - 88
Yesterday - 존8
연주곡 모음
독주곡
목장길 따라 - 91
Over The Rainbow - 92
당신의 소중한 사람 - 93
꿈길에서 - 94
샐리 가든 - 95
네잎클로버 - 96
연어야 연어야 - 97
잠보 - 98
사명 - 99
You Raise Me Up - 100
연리지 - 101
인생의 회전목마 - 102
당신의 넓은 날개를 펼치소서 - 104
화풍병 - 105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 106
2중주곡
즐거운 여행자 - 108
연가 - 109
아름다운 나라 - 110
푸니쿨리 푸니쿨라 - 112
Mother of Mine - 114
아가씨들아 - 116
La Bamba - 118
다문화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론

도서명 : 다문화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론
저자/출판사 : 김재국, 북랩
쪽수 : 294쪽
출판일 : 2022-09-30
ISBN : 9791168364974
정가 : 15000
책머리에
1부 들어가며
1.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2. 한국문화 연구 성과
3. 한국문화 연구 방법
2부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과 교수·학습이론
1.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1) 한국어 문화 교육
(2) 한국문화의 유형
2.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수·학습이론
(1) 교수·학습이론의 변화
(2) 문화 교육 수업모형
3부 소설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1. 1920년대 「운수 좋은 날」 교육 방안
(1) 일제강점기와 궁핍한 삶
(2) 새침하게 흐린 수도, 경성
(3) 권위주의와 남성성
(4) 수업의 실제
2. 1950년대 「숨 쉬는 영정」 교육 방안
(1) 한국전쟁과 이산가족의 아픔
(2) 전쟁이 앗아간 고향, 사리원
(3) 충효주의와 충성성
(4) 수업의 실제
3. 1980년대 「원미동 사람들-일용할 양식」 교육 방안
(1) 산업화 시대 소시민의 애환
(2) 멀고 아름다운 동네, 원미동
(3) 집단주의와 물신성
(4) 수업의 실제
4부 나가며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