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학 또는 달러의 역설
땅끝
2024-12-25 10:41
140
0
본문
기후학

도서명 : 기후학
저자/출판사 : 이승호, 푸른길
쪽수 : 512쪽
출판일 : 2022-03-28
ISBN : 9788962919554
정가 : 35000
3판 머리말
초판 머리말
제1장 기후와 기후학
1. 기후와 기후학
2. 기후학 발달과 분야
1) 기후학 발달
2) 기후학 분야
제2장 기후인자
1. 대기와 복사
1) 대기와 대기권
2) 복사와 대기 가열
글상자 1 전자기파 스펙트럼
글상자 2 해를 그리워하는 사람과 피하는 사람
2. 지리적 기후인자
1) 위도
2) 지리적 위치와 수륙분포.
3) 해양순환
4) 지형
5) 지표면 피복상태
3. 고기압과 기단
1) 고기압
2) 기단
4. 전선과 저기압
1) 전선
2) 온대저기압
3) 열대저기압
제3장 기후요소
1. 기압과 바람
1) 기압과 바람의 단위
2) 대기대순환과 기압분포
3) 계절풍
4) 지방풍
5) 국지풍
2. 기온
1) 기온관측과 단위
2) 기온의 일변화와 연변화
3) 기온분포
글상자 3 한반도 기온분포
3. 대기 중의 수분과 강수
1) 대기 중의 수분과 습도
글상자 4 왜 여름에 비가 많이 내릴까?
글상자 5 실효습도와 건조주의보
2) 응결과 대기안정도
3) 구름과 강수 형성
4) 강수량 분포
제4장 세계 여러 지역의 기후와 주민생활
1. 기후분류
글상자 6 쾨펜의 기후분류 방법
2. 저위도지역 기후
1) 습윤한 열대(A)기후
2) 건조한 열대(B)기후
3. 중위도지역 기후
1) 온화한 중위도(C)기후
2) 건조한 중위도(Bwk, Bsk)기후
3) 한랭한 중위도(D)기후
4. 고위도와 고산지역 기후
1) 고위도기후
2) 고산기후
제5장 기후변화
1. 기후변화의 증거와 특징
1) 기후변화의 증거
2) 기후변화 특징
2. 기후변화의 원인과 영향
1) 자연적 기후변화의 원인
2) 인위적 기후변화의 원인
3) 미래기후와 기온상승의 영향
참고문헌
찾아보기
달러의 역설

도서명 : 달러의 역설
저자/출판사 : 정필모, 21세기북스
쪽수 : 332쪽
출판일 : 2022-02-08
ISBN : 9788950999025
정가 : 19000
추천의 말ㆍ5
두 번째 판을 내며ㆍ7
이 책을 시작하며 ‘골디락스’에서 ‘화이트 스완’으로ㆍ10
프롤로그 대마는 죽지 않는다ㆍ18
CHAPTER 1 달러, 다시 태풍의 눈이 되다
‘금리전쟁’의 시작ㆍ26 | 대충격의 예고편 ‘버냉키 쇼크’ㆍ28 | 잉태된 위험 ‘자산 버블’ㆍ30 | 양적완화 효과의 명암ㆍ33 | 부채 화폐화debt monetization의 함정ㆍ36 | 이웃 나라 가난하게 만들기ㆍ39 | ‘빈익빈 부익부’는 신흥국에서도 마찬가지ㆍ42 | 이익의 사유화, 손실의 사회화ㆍ47 | 딜레마에 빠진 세계 경제ㆍ49 | 디플레이션 경고음ㆍ52 | 위기의 악순환ㆍ58
CHAPTER 2 역사로부터 배우다
기축통화는 정치·경제·군사력의 산물ㆍ64 | 팍스 달러리움Pax Dollarium 시대의 개막ㆍ67 | 브레튼 우즈 체제의 붕괴와 자본자유화ㆍ69 | ‘플라자’에서 ‘루브르’까지ㆍ73 | ‘블랙 먼데이’의 교훈ㆍ76 | 브레튼 우즈 체제는 왜 자본 이동을 제한했나?ㆍ79 | 고정환율제냐, 시장변동환율제냐?ㆍ81 | 쉽지 않은 불균형 해소ㆍ84
CHAPTER 3 위기를 부른 금융세계화
금융위기는 복합적이다ㆍ92 | 위기는 금융자유화의 대가ㆍ96 | 금융자본을 위한 세계화ㆍ98 | 세계화의 정신적 지주 ‘워싱턴 컨센서스’ㆍ100 | 금융자유화의 함정ㆍ103 | 경제 주권의 제한ㆍ107 | 경상수지 위기에서 자본수지 위기로ㆍ109 | 외환보유액은 얼마가 좋을까?ㆍ114 | 한국의 적정 외환보유액은?ㆍ117 | 금융 변동성 키운 ITㆍ120 | 보이지 않는 위험, ‘그림자 금융’ㆍ123
CHAPTER 4 적자의 늪에 빠진 달러 제국
‘쌍둥이 적자’의 악순환ㆍ130 | 재정수지 흑자는 잠시, 적자는 계속ㆍ132 | 경상수지 적자는 과잉 투자·소비의 결과ㆍ136 | 대책 없는 빚 늘리기ㆍ143 | 천문학적 부채를 둘러싼 해프닝ㆍ147 | 연방준비제도에 대한 오해와 진실ㆍ150
CHAPTER 5 그래도 달러는 강하다
‘슈퍼 달러super dollar ’ 시대ㆍ156 | 달러 ‘대세 상승기’의 배경ㆍ159 | 견고한 달러 기축통화의 위상ㆍ162 | 오일, 달러의 ‘아킬레스건’에서 ‘버팀목’으로ㆍ164 | 석유를 무기로 미국과 싸우겠다고?ㆍ168 | 석유도 금융상품이다ㆍ172 | 러시아의 운명을 좌우하는 유가ㆍ175 | 통화전쟁에서 미국이 이길 수밖에 없는 이유ㆍ179
CHAPTER 6 달러에 발목 잡힌 중국
불안한 균형ㆍ186 | 달러 지키기 ‘카르텔’ㆍ188 | 꺼지지 않은 유동성 버블ㆍ190 | 굼뜬 위안화 절상 속도ㆍ194 | 미국의 ‘중국 때리기’ㆍ196 | 겉과 속이 다른 미국ㆍ200 | 중국도 달러 값 폭락이 두렵다ㆍ204 | 중국의 ‘그림자 금융’ 주의보ㆍ207 | 갈 길이 먼 위안화의 국제화ㆍ211 | 위안화는 왜 기축통화가 될 수 없나?ㆍ217
CHAPTER 7 흔들리는 유로존
유로존 위기의 근원ㆍ224 | 통화동맹의 성공 조건ㆍ230 | 통화동맹의 붕괴 원인ㆍ232 | 유로존의 한계ㆍ235 | 재정동맹이냐, 동맹 해체냐?ㆍ238
CHAPTER 8 미국 앞에만 서면 작아지는 일본
아베노믹스의 명과 암ㆍ246 | 위태로운 아베의 도박ㆍ250 | 일본의 아킬레스건은 국가 채무ㆍ254 | 버블 붕괴와 ‘잃어버린 20년’ㆍ260 | 미국이 엔저円低를 용인하는 이유ㆍ264
CHAPTER 9 안전한 국제 금융 질서의 모색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개혁ㆍ270 | 과도한 외환보유의 비효율성 제거ㆍ272 | 중·일 주도권 싸움과 미국의 견제ㆍ276 | 국제 투기자본에 대한 규제ㆍ280 | 현실성 없는 ‘경상수지 목표제’ㆍ283 | ‘기축통화국’ 미국의 책임 강화ㆍ287 | IMF의 역할과 구조적 문제ㆍ290 | IMF 개혁을 위한 몇 가지 제안ㆍ294 | 비트코인은 왜 대체 통화가 될 수 없나?ㆍ297 | 미국과 중국의 주도권 경쟁: TPP vs. RCEPㆍ300
에필로그 ‘브레튼 우즈 정신’으로 돌아가자 ㆍ303
주석ㆍ310
참고 문헌ㆍ324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