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이어바흐, 니체, 러셀, 도킨스의 지성적 무신론과 기독교 또는 일본의 방문재활 제도 및 실제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포이어바흐, 니체, 러셀, 도킨스의 지성적 무신론과 기독교 또는 일본의 방문재활 제도 및 실제

땅끝
2024-12-25 10:41 167 0

본문




포이어바흐, 니체, 러셀, 도킨스의 지성적 무신론과 기독교
9791168014992.jpg


도서명 : 포이어바흐, 니체, 러셀, 도킨스의 지성적 무신론과 기독교
저자/출판사 : 윤광원, 한국학술정보
쪽수 : 382쪽
출판일 : 2022-06-30
ISBN : 9791168014992
정가 : 19000

서문

Ⅰ. 포이어바흐의 『기독교의 본질』과 기독교
1. 기독교의 본질이 인간의 본질이 될 수 있을까요?
2. 의식의 투사로 기독교의 본질이 인간의 본질이라는 것을 설명할 수 있을까요?
3. 신이 의식의 투사라는 것을 유물론(물질에 대한 투영)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요?
4. 자신의 의식을 신으로 투사해서 믿을 이유가 있을까요?
5. 신을 투사해서 믿는 이유는 신앙이 이성에 반대되기 때문일까요?

Ⅱ. 니체의 『안티크리스트』와 기독교
1. 권력에로의 의지(Der Wille zur Macht)가 모든 평가의 궁극적 원리가
될 수 있을까요?
2. 기독교 도덕은 이기적이고 환상에 지나지 않으며 디오니소스적인 것이
건강한 대안일까요?
3. 기독교는 영혼만을 믿기 때문에 현실을 멀리하며 인간의 정신과
문화를 경멸할까요?
4. 기독교는 예수님의 가르침이 아닐까요?

Ⅲ. 러셀의 『나는 왜 그리스도인이 아닌가』와 기독교
1. 기독교인이라면 적어도 예수가 인간 중에서는 가장 현명한 사람이었다고 믿는 것일까요?
2. 하나님의 존재는 증명할 수 없으므로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것을 믿을 수 없을까요?
3. 예수님이 역사적으로 존재했다는 사실은 알 수 없을까요?
4. 기독교인들이 대개 매우 악해서 모든 방면의 진보와 개선을 가로막는 일을 했을까요?

Ⅳ.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과 기독교
1. 신비한 경험은 하나님의 존재와 아무런 관계도 없을까요?
2. 진화된 창조적 지성이 출현할 수밖에 없으므로 신은 유해한 망상일까요?
3. 기독교는 배타적이며 그것은 증거가 전혀 없기 때문일까요?
4. 신가설은 과학적 가설일까요?
5. 하나님은 원인으로부터 벗어나 있다는 가정은 매우 부당할까요?
6. 설계 논증과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론 중 어느 쪽이 옳을까요?
7. 종교는 문화적 산물일까요?
8. 도덕의 뿌리는 신이 아니며 종교 없이도 선하게 살 수 있을까요?
9. 종교의 이름으로 행해진 해악들이 기독교가 허구라는 증거일까요?

참고문헌




일본의 방문재활 제도 및 실제
9791185846996.jpg


도서명 : 일본의 방문재활 제도 및 실제
저자/출판사 : 이민영, 북마크
쪽수 : 132쪽
출판일 : 2022-09-10
ISBN : 9791185846996
정가 : 15000

| 추천사 |
(사)대한작업치료사협회 회장 전병진 ㆍ 4
을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안창식 교수 ㆍ 7
| 저자 서문 |
지금, 왜 일본인가? : 초고령사회를 목전에 두고 ㆍ 10
| 들어가기 전에 |
이 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ㆍ 15

| 제1장 |
방문재활 제도화 배경
1. 일본 고령인구와 사회보장 현황 ㆍ 22
2. 지역포괄케어와 방문재활 ㆍ 26

| 제2장 |
방문재활에 대한 이해
1. 방문재활의 역사 ㆍ 32
2. 방문재활의 정의 ㆍ 36

| 제3장 |
방문재활 관련 제도  
1. 개호보험 ㆍ 44
2. 의료보험 ㆍ 65
3. 장애자종합지원법 ㆍ 74
4. 개호예방·일상생활지원 종합서비스사업(종합사업) ㆍ 84

| 제4장 |
방문재활의 실제
1. 수치로 보는 방문재활 현황 ㆍ 96
2. 방문재활 제도화 과정에서의 이슈 ㆍ 112

| 제5장 |
우리나라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
1. 우리나라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 ㆍ 122
참고문헌 ㆍ 127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