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지방자치법 또는 2022 청소년상담사 2급 한방에 끝내기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신 지방자치법 또는 2022 청소년상담사 2급 한방에 끝내기

땅끝
2024-01-25 08:44 619 0

본문




신 지방자치법
9791130340524.jpg


도서명 : 신 지방자치법
저자/출판사 : 홍정선, 박영사
쪽수 : 712쪽
출판일 : 2022-02-10
ISBN : 9791130340524
정가 : 43000

제1장 지방자치법 서설

제1절 지방자치의 관념
제1항 자치행정의 의의 3
Ⅰ. 정치적 의미와 법적 의미 3
1. 정치적 의미의 자치행정 3
2. 법적 의미의 자치행정 4
3. 양 개념의 관계ㆍ결합 5
Ⅱ. 법적 의미의 자치행정의 유형ㆍ법형식 5
1. 유 형 5
2. 법 형 식 6
제2항 지방자치의 본질 6
Ⅰ. 자치권의 성질 6
1. 고유권설 6
2. 자치위임설 7
3. 절 충 설 8
4. 신고유권설 9
5. 사 견 9
Ⅱ. 지방자치행정과 국가행정의 관계 10
1. 지방자치행정의 독립성 10
2. 간접국가행정과 지방자치행정 10
제3항 지방자치의 기능 11
Ⅰ. 지방자치와 민주주의(국가정책적 의미) 12
1. 민주국가의 구성원리 12
2. 단계화된 민주주의 13
3. 민주주의의 학교 13
4. 주민에 대한 정보공개 14
Ⅱ. 지방자치와 권력분립(법정책적 의미) 14
1. 수직적 권력분립 14
2. 지방분권으로서 권력분립 15
3. 지방의회와 행정권력 17
Ⅲ. 지방자치와 지역의 특수성(행정정책적 의미) 17
1. 의 의 17
2. 의미의 변화 17
Ⅳ. 지방자치와 통합(사회정책적 의미) 18
1. 의 의 18
2. 의미의 변화 18
제4항 지방자치의 위기와 과제 18
Ⅰ. 지방자치의 제약요인 18
1. 지방재정과 지방자치 18
2. 광역행정과 지방자치 19
3. 지방적 특성의 감소 19
4. 중앙집권화의 경향 19
Ⅱ. 지방자치의 회복 20
Ⅲ. 지방자치의 최근 경향 20
1. 신 공공관리(New Public Management) 20
2. 지역균형발전 20
제5항 한국 지방자치의 발전과정 21
Ⅰ. 지방자치의 발아 21
1. 헌법과 지방자치법 21
2.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22
3.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22
Ⅱ. 지방자치의 중단 23
1. 헌법 상황 23
2. 지방자치법 상황 24
Ⅲ. 지방자치의 재생 24
1. 새로운 시작-1995년 6월 24
2. 특별법의 제정 25
3. 주민참여의 확대 26
4. 해결해야 할 과제 26


제2절 지방자치법의 관념
제1항 지방자치법의 의의 27
Ⅰ. 지방자치법의 개념 27
1. 실질적 의미의 지방자치법 27
2. 형식적 의미의 지방자치법 28
Ⅱ. 지방자치법의 목표와 종류 29
1. 목 표 29
2. 종 류 29
Ⅲ. 지방자치법의 특성 30
1. 행정법과의 관계 30
2. 지방자치법관계 30
제2항 지방자치법의 헌법적 기초 31
Ⅰ. 지방자치법과 헌법의 관계 31
1. 지방자치법의 근거로서 헌법 31
2. 지방자치법과 헌법의 유사점 31
3. 지방자치법과 헌법의 상이점 31
Ⅱ. 지방자치법에 대한 헌법상 기본원리 31
1. 기본원리와 지방자치의 헌법적 보장 31
2. 기본원리에 따른 중요사항 32
Ⅲ. 헌법의 개정 32
1. 문제상황 32
2. 개정방향 32
3. 국회 헌법 연구ㆍ개정 자문위원회 활동 34
제3항 지방자치법의 법원 35
Ⅰ. 법원의 관념 35
Ⅱ. 국가입법 35
1. 헌 법 35
2. 법 률 36
3. 행정입법 36
Ⅲ. 자치입법 38
1. 의 의 38
2. 특 징 38
Ⅳ. 국 제 법 38
1. 의 의 38
2. 지방자치법에 관한 국제적 노력 39
Ⅴ. 불 문 법 39
Ⅵ. 협 정 40

제3절 지방자치의 헌법적 보장ㆍ제한
제1관 헌법적 보장의 관념 41
1. 헌법적 보장의 의의 41
2. 국가의 보호의무 42
3.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42
4. 목적론적 법해석 42
제2관 헌법적 보장의 내용 43
제1항 제도적 보장 43
제1목 제도적 보장의 관념 43
Ⅰ. 근거규정으로서 헌법 제8장 43
1. 헌법 제8장의 성격 43
2. 제도로서 보장 44
3. 제도보장론의 수정(보장범위의 확대) 44
Ⅱ. 제도적 보장의 의의 45
1. 개 념 45
2. 개별 지방자치단체의 보호문제 45
3. 국가 등으로부터 보호 46
4. 제도적 보장의 내용 46
제2목 제도적 보장의 내용 47
Ⅰ. 포괄적인 사무의 보장 47
1. 전권한성의 원칙 47
2 사무의 복리성과 지역성 48
3. 입법자의 형성의 한계 51
Ⅱ. 자기책임성의 보장 52
1. 자기책임성의 관념 52
2. 자기책임성의 성질 53
3. 자기책임성의 구체화와 한계 53
Ⅲ. 자치권의 보장 54
1. 자치권보장의 관념 54
2. 지역고권 55
3. 조직고권 56
4. 인적고권 57
5. 재정고권 59
6. 자치입법권 61
7. 계획고권 62
8. 행정고권 63
9. 협력고권 63
10. 문화고권 65
11. 기 타 65
제2항 권리주체성의 보장 66
Ⅰ. 권리주체성의 의의 66
1. 헌법상 보장 66
2. 지방자치법상 보장 67
Ⅱ. 권리주체성의 상대성 67
1. 제한적 보장 67
2. 최소한 보장 67
제3항 주관적 법적 지위의 보장 68
Ⅰ. 주관적 법적 지위의 관념 68
1. 의 의 68
2. 보호규범 68
Ⅱ. 주관적 법적 지위의 내용 68
1. 침해배제의 청구권 68
2. 절차적 권리 69
3. 실체적 권리 69
Ⅲ. 권리보호 69
1. 방 어 권 69
2. 재판청구권 70
3. 사법심사기준 70
제3관 지방자치제의 형성과 제한 70
Ⅰ. 지방자치제의 형성ㆍ제한의 원리 70
1. 법률에 의한 형성 70
2. 자치권의 제한 71
3. 법률유보의 이중적 성격 71
Ⅱ. 자치권의 제한의 기준 72
1. 주민의 복지 72
2. 비례원칙 72
3. 청문권의 보장 73
Ⅲ. 자치권의 제한의 단계 74
1. 지엽적 영역, 중간 영역 74
2. 핵심영역 74
Ⅳ. 제한의 한계로서 핵심영역 75
1. 핵심영역 개념의 추상성 75
2. 핵심영역 개념의 정의 75
3. 핵심영역 여부의 판단방법 76
Ⅴ. 핵심영역 외부에서의 침해 80
1. 침해의 유형 80
2. 의도된 침해 80
3. 사실상 침해 80
4. 침해의 배제 81
제4관 지방자치단체의 권리보호 81
Ⅰ. 위헌법률심사제(구체적 규범통제) 81
1. 사인에 의한 위헌법률심사청구 81
2.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위헌법률심사청구 82
Ⅱ. 권한쟁의심판 82
1. 의 의 82
2. 정부에 대한 권한쟁의 83
3. 국회에 대한 권한쟁의 83
4. 법원ㆍ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대한 권한쟁의 85
5.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권한쟁의 85
Ⅲ. 헌법소원 86
1. 기본권주체성의 결여 86
2. 입법례(독일) 86
Ⅳ. 행정소송 86
1. 자치행정권의 침해와 행정소송 86
2. 행정소송과 권한쟁의심판의 관할의 중복가능성 89
3. 주민의 권리침해와 행정소송 89


제2장 지방자치단체의 관념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와 명칭
제1항 지방자치단체의 의의 93
Ⅰ. 지방자치단체의 개념 93
1. 정 의 93
2. 지방정부라는 명칭 93
3. 법인으로서 지방자치단체 94
4. 사단으로서 지방자치단체 94
5. 공법상 법인으로서 지방자치단체 95
Ⅱ. 지방자치단체의 성격 96
1. 민주국가의 기초 96
2. 국가의 협력자 96
Ⅲ. 지방자치단체의 능력 97
1. 권리능력 97
2. 행위능력 97
3. 당사자능력ㆍ소송능력 98
4. 책임능력 98
5. 범죄능력 99
6. 임용능력 99
7. 파산능력 99
Ⅳ. 지방자치단체와 기본권 100
1. 지방자치단체의 기본권 주체성 100
2. 지방자치단체의 기본권에 구속 102
제2항 지방자치단체의 명칭과 상징물, 관인 103
Ⅰ. 명칭의 관념 103
1. 명칭의 의의 103
2. 명칭의 의미 103
Ⅱ. 명 칭 권 103
1. 성 질(인격권) 103
2. 내 용 104
Ⅲ. 명칭의 변경 104
1. 변경가능성 104
2. 법률에 의한 변경 105
3. 지방의회의 관여 105
4. 손해배상책임 105
Ⅳ. 명칭권의 보장 105
1. 보장의 내용 105
2. 사법적 보호 106
Ⅴ. 자치구가 아닌 구와 읍ㆍ면ㆍ동ㆍ리의 명칭 106
1. 의 의 106
2. 변 경 107
3. 보 호 107
Ⅵ. 상 징 물 107
1. 의 의 107
2. 입법의 미비 108
3. 경제적 활용 108
Ⅶ. 관 인(공인) 108
1. 관인의 의의 108
2. 서울특별시의 경우 109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종류와 구역
제1항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110
Ⅰ. 보통지방자치단체 110
1. 의 의 110
2. 종 류 111
3. 사무소의 소재지 113
4. 지방행정체제 개편 113
Ⅱ. 특별지방자치단체 114
1. 의 의 114
2. 지방자치법상 특별지방자치단체 114
3. 특별법상 특별지방자치단체 115
제2항 지방자치단체의 구역 115
Ⅰ. 구역의 관념 115
1. 구역의 의의 115
2. 구역의 범위 116
3. 매립지외 등록누락지의 특례 118
Ⅱ. 구역의 분할과 분할된 구역의 지위 126
1. 구역의 분할 126
2. 자치구가 아닌 구와 읍ㆍ면ㆍ동, 리의 명칭 등 129
Ⅲ. 구역변경과 관할 구역 경계변경 130
1. 구역변경 130
2. 관할 구역 경계변경 133
Ⅳ. 지방자치단체의 폐치분합 138
1. 폐치분합의 관념 138
2. 폐치분합의 법형식 138
3. 관계 지방의회의 의견청취 139
4. 폐치분합의 내용요건 139
5. 관련문제 139
Ⅴ. 전면적 재구획 141
1. 의 의 141
2. 남북통일과 재구획 141
3. 고려사항 141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주민
제1항 주민의 관념 143
Ⅰ. 주민의 의의 143
1. 주민의 개념 143
2. 주민등록 144
3. 시 민 150
Ⅱ. 명예시민 151
1. 명예시민의 의의 151
2. 서울특별시의 경우 151
3. 명예시민제도의 문제점 152
제2항 주민의 권리 152
Ⅰ. 정책 결정ㆍ집행 과정 참여권 152
1. 참여권의 의의 152
2. 참여권의 내용 153
Ⅱ. 공공재산ㆍ공공시설의 이용권 153
1. 이용권의 의의 153
2. 이용권의 성질 153
3. 이용권의 대상 153
4. 이용권의 주체 154
5. 이용권의 내용 154
6. 이용권의 한계 154
7. 이용자의 보호 155
Ⅲ. 균등하게 행정의 혜택을 받을 권리 155
1. 의 의 155
2. 「행정의」 혜택을 받을 권리 156
3. 「균등한」 혜택을 받을 권리 156
4. 입법적 개선 156
Ⅳ. 선거권과 피선거권 157
1. 의 의 157
2. 선거권의 성질 157
3. 공직선거법 157
Ⅴ. 주민투표권 158
1. 주민투표권의 관념 158
2. 주민투표권자 159
3. 주민투표의 유형 159
4. 주민투표의 실시요건 161
5. 주민투표의 발의 161
6. 투표운동의 자유와 제한 162
7. 주민투표결과의 확정 163
8. 주민투표의 효과 163
9. 주민투표쟁송 164
Ⅵ. 조례제정ㆍ개정ㆍ폐지청구권 164
1. 관 념 164
2. 청구의 대상 165
3. 청구의 주체와 상대방 166
4. 청구의 절차 167
5. 청구의 수리 및 각하 171
6. 조례안의 발의와 심사 171
7. 기 타 172
Ⅶ. 규칙 제정ㆍ개정ㆍ폐지 의견제출권 172
1. 의 의 172
2. 의견제출대상 173
3. 지방자치단체장의 조치 173
4. 세부적 사항 173
Ⅷ. 감사청구권 173
1. 의 의 173
2. 청구의 대상 174
3. 청구의 사유 174
4. 청구기간 175
5. 청구의 주체와 상대방 175
6. 청구의 절차 176
7. 감사의 실시와 후속절차 177
8. 시 행 령 178
Ⅸ. 주민소송권 178
1. 관 념 178
2. 주민감사청구의 전치 180
3. 주민소송의 대상 181
4. 주민소송의 당사자 183
5. 주민소송의 제소사유 185
6. 주민소송의 유형 185
7. 주민소송의 제소기간 188
8. 주민소송의 관할 법원 189
9. 소송고지 189
10. 소의 취하 189
11. 승소판결에 따른 조치 190
12. 기 타 191
Ⅹ. 주민소환권 191
1. 관 념 191
2. 법적 근거 193
3. 주민소환투표의 대상자 194
4. 주민소환의 투표권자 194
5. 주민소환투표의 청구 194
6. 주민소환투표의 실시 198
7. 주민소환투표운동 198
8. 주민소환투표의 효력 199
9. 주민소환투표쟁송 200
10. 주민소환투표의 관리경비 201
?. 청 원 권 201
1. 의 미 201
2. 관련법령 202
3. 청원방법 202
4. 청원사항 203
5. 청원의 심사기관 203
6. 심사의 결과 203
7. 이의제도 204
?. 기 타 204
1. 지방자치법상 권리 204
2. 다른 법률상 권리 204
3. 행정사무지원청구권 205
제3항 주민의 의무 205
1. 비용분담의무 205
2. 노력ㆍ물품제공의무 205
3. 자치법규준수의무 206
제4항 주민참여 206
Ⅰ. 주민참여의 관념 206
1. 주민참여의 개념 206
2. 주민참여의 필요성 206
3. 주민참여의 기능 207
4. 주민참여의 전제로서 정보공개 207
Ⅱ. 헌법적 보장 207
1. 헌법적 근거 207
2. 대표제와의 관계 208
Ⅲ. 주민참여의 유형 209
1. 지방자치법상 유형 209
2. 지방재정법상 주민참여예산제도 210
3. 주민자치회 211
4. 시민단체운동 212
5. 참여의 확대 212


제3장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제1절 일 반 론
제1항 조직형태의 유형 215
Ⅰ. 개 관 215
1. 조직형태의 다양성 215
2. 주민총회형 215
3. 기관통합형과 기관대립형 216
4. 집행기관의 독임제와 합의제 216
Ⅱ. 조직형태의 변천과 선택 216
1. 조직형태의 변천 216
2. 현행 제도 217
3. 주민에 의한 조직형태의 선택(입법정책론) 218
제2항 조직의 구성원리 220
Ⅰ. 기관과 기관구성자 220
Ⅱ. 조직권력 221
Ⅲ. 법률의 유보 221

제2절 지방의회
제1항 지방의회의 관념 222
Ⅰ. 지방의회의 의의 222
Ⅱ. 지방의회의 지위 222
1. 주민대표기관 222
2. 의결기관 223
3. 통제기관 224
4. 행정기관 225
5. 자치입법기관 226
Ⅲ. 지방의회와 정당의 참여 226
1. 의 의 226
2. 유 형 227
3. 헌법의 태도 227
4. 입법의 변천 228
5. 사 견 229
제2항 지방의회의 구성 230
Ⅰ. 지방의회의 구성방법 230
1. 유 형 230
2. 현 행 법 230
Ⅱ. 선거의 원칙 231
1. 보통선거 231
2. 평등선거 231
3. 직접선거 233
4. 비밀선거 234
5. 자유선거 234
Ⅲ. 선거권과 피선거권 235
1. 선 거 권 235
2. 피선거권 237
Ⅳ. 선거에 관한 쟁송 238
1. 선거쟁송 238
2. 당선쟁송 239
제3항 지방의회의 조직 239
Ⅰ. 의장과 부의장 239
1. 의장의 직무상 지위 239
2. 의장ㆍ부의장의 선출ㆍ임기, 불신임 240
3. 의장의 권한과 직무대행 242
4. 부 의 장 243
Ⅱ. 위 원 회 244
1. 위원회의 의의 244
2. 위원회의 종류 245
3. 위원회의 권한 246
4. 위원회의 구성 247
5. 위원회의 개회 248
6. 전문위원 249
Ⅲ. 사무처와 정책지원 전문인력 251
1. 사 무 처 251
2. 정책지원 전문인력 251
Ⅳ. 교섭단체(원내교섭단체) 252
1. 의 의 252
2. 법적 근거 252
3. 인정여부 253
4. 기 능 253
5. 법적 성질 254
6. 구 성 254
7. 내부관계 256
8. 외부관계 256
9. 자 금 257
제4항 지방의회의 회의 257
Ⅰ. 지방의회의 회기 257
1. 관 념 257
2. 정례회의 소집 258
3. 임시회의 소집 258
4. 문 제 점 259
Ⅱ. 지방의회의 정족수 259
1. 의사정족수 259
2. 의결정족수 260
3. 문 제 점 261
Ⅲ. 지방의회의 회의원칙 261
1. 공개원칙 261
2. 회기계속의 원칙 264
3. 일사부재의의 원칙 265
Ⅳ. 지방의회의 회의운영 265
1. 의안의 발의 265
2. 의사일정 267
3. 위원회에서 폐기된 의안 268
4. 방청인의 발언 268
5. 의 결 269
6. 제척제도 271
7. 회 의 록 276
8. 회의규칙 277
9. 회의의 질서 279
제5항 지방의회의 권한 281
Ⅰ. 입법에 관한 권한 281
Ⅱ. 재정ㆍ경제에 관한 권한 281
Ⅲ. 대집행기관통제에 관한 권한 281
1. 서류제출요구 282
2. 행정사무감사와 행정사무조사 283
3. 행정사무처리의 보고ㆍ질문응답 288
4. 결산의 승인 289
Ⅳ. 일반사무에 관한 권한 289
Ⅴ. 지방의회내부에 관한 권한 289
1. 내부운영 등의 자율권 289
2. 내부조직권 290
3. 지방의회의원의 신분에 관한 권한 290
제6항 조례(자치입법 1) 293
제1목 조례의 관념 293
Ⅰ. 자치입법권 293
1. 헌법의 구체화 293
2. 핵심보호영역 293
3. 자치입법의 종류 294
Ⅱ. 조례의 의의 295
1. 조례의 개념 295
2. 조례의 수단성 295
3. 자 주 법 296
Ⅲ. 조례의 법적 성질 296
1. 실질적 의미의 법률(법규) 296
2. 전래적 입법 297
3. 조례와 다른 법령 298
Ⅳ. 조례의 종류 300
1. 의무조례ㆍ임의조례 300
2. 위임조례ㆍ자치조례 301
3. 내부법적 조례ㆍ외부법적 조례 302
4. 기본조례ㆍ일반조례 302
제2목 조례의 적법요건 302
제1 실질적 요건 302
Ⅰ. 조례로 규정하는 사무 303
Ⅱ. 법치행정의 원칙과 조례 305
1. 일 반 론 305
2. 법률의 우위의 원칙과 조례 306
3. 법률의 유보의 원칙과 조례 310
4. 일반수권 311
5. 특별수권 313
제2 형식적 요건 325
Ⅰ. 주체요건 325
1. 지방의회 325
2. 본 회 의 325
3. 관할 구역의 사무 326
Ⅱ. 절차요건 326
1. 의안의 제출 326
2. 조례안의 예고 327
3. 의 결 327
4. 이송, 재의요구와 조례의 확정 328
Ⅲ. 형식요건 329
Ⅳ. 공 포 329
1. 공포의 의의 329
2. 공포방법과 공포문 329
3. 공포권자와 공포의 통지 330
4. 공 포 일 331
Ⅴ. 보고ㆍ승인 331
1. 보고제도(원칙) 331
2. 승인제도(예외) 332
제3목 조례의 효력과 하자 333
Ⅰ. 효력의 발생 333
1. 효력발생시점 333
2. 효력의 소급 여부 334
Ⅱ. 효력의 범위 335
1. 지역적 효력범위 335
2. 인적 효력범위 335
3. 시간적 효력범위 335
4. 효력의 소멸 335
Ⅲ. 흠(하자) 336
1. 하자의 효과로서 무효(원칙) 336
2. 무효주장의 제한(치유) 336
3. 일부무효 337
4. 조례안의 일부무효 337
5. 조례안 무효확인소송의 심리대상 338
6. 위법한 조례에 근거한 처분의 효력 338
제4목 조례(안)의 통제 338
Ⅰ. 지방자치단체의 장에 의한 통제 338
1. 지방자치법 제32조에 의한 재의의 요구 338
2. 지방자치법 제32조와 제120조의 관계 339
3. 지방자치법 제120조 제3항에 의한 소송의 제기 339
Ⅱ. 감독청에 의한 조례안ㆍ조례의 통제 340
1. 주무부장관, 시ㆍ도지사의 재의요구 지시와 감독청의 제소 340
2.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의 제소 341
3. 해당 지방자치단체장이 위법한 재의결에 대하여 제소하지 않는 경우 342
4. 주무부장관이 불분명한 경우 등 344
Ⅲ. 중앙행정심판위원회에 의한 통제 345
1. 시정조치의 요청 345
2. 구 속 력 345
Ⅳ. 법원에 의한 통제 345
1. 항고소송 345
2. 손해배상청구소송 347
Ⅴ. 헌법재판소에 의한 통제 347
1. 사인의 헌법소원 347
2. 지방자치단체의 헌법소원 347
Ⅵ. 주민에 의한 통제 347
제7항 지방의회의원 348
Ⅰ. 지방의회의원의 지위 348
1. 지방의회의 구성원 348
2. 주민의 대표자(자유위임) 349
3. 명예직과 유급직 350
Ⅱ. 지방의회의원신분의 발생과 소멸 352
1. 발 생 352
2. 소 멸 353
3. 자격정지 355
Ⅲ. 지방의회의원의 권리 356
1. 직무상 권리 356
2. 재산상 권리 357
3.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 359
Ⅳ. 지방의회의원의 의무 360
1. 겸직금지의무 360
2. 성실의무 362
3. 청렴의무ㆍ품위유지의무 362
4. 영리행위금지의무 363
5. 기타 의무 363
6. 의무위반의 성질과 책임 364

제3절 집행기관
제1항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지위 366
Ⅰ. 지방자치단체의 대표기관 366
1. 대표기관의 의의 366
2. 대표권의 제한 367
3. 무권한의 행위 368
Ⅱ. 지방자치단체의 독임제 행정청 368
1. 행 정 청 368
2. 최고행정청 368
3. 독임제 행정청 369
Ⅲ. 자치권의 행사기관 369
1. 의 의 369
2. 재의요구 369
3. 선결처분 369
Ⅳ. 국가행정기관 370
1. 의 의 370
2. 문 제 점 370
제2항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신분 370
Ⅰ. 장의 신분의 발생(장의 선거) 370
1. 선거의 의의 370
2. 선거권과 피선거권 371
3. 선거일과 선거운동 371
4. 당선인 결정 372
5. 정당공천제의 문제점 372
6.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직 인수위원회 373
Ⅱ. 장의 신분의 소멸 374
1. 임기의 만료 374
2. 사 임 375
3. 퇴 직 375
4. 주민소환 376
5. 징계해임 376
Ⅲ. 장의 대행ㆍ대리와 체포 등의 통지 377
1. 폐치ㆍ분합과 대행 377
2. 법정대리 377
3. 임의대리 378
4.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체포 및 확정판결의 통지 378
Ⅳ. 사무의 임탁 378
1. 의 의 378
2. 수임ㆍ수탁기관 379
3. 위임ㆍ위탁사무 379
4. 법적 근거 380
5. 효과와 지도ㆍ감독 380
6. 재위임ㆍ재위탁 380
제3항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권한 381
Ⅰ. 지방자치단체의 대표권 381
1. 의 의 381
2. 대표권의 제한 381
Ⅱ. 행정사무에 관한 권한 381
1. 사무의 수행에 관한 권한 381
2. 기초지방자치단체 등에 관한 권한 382
3. 소속직원에 대한 권한 382
4. 재정에 관한 권한 383
Ⅲ. 지방의회에 관한 권한 383
1. 지방의회 출석ㆍ진술권 383
2. 지방의회의 의결에 대한 재의요구권 384
3. 선결처분권 387
4. 기 타 389
Ⅳ. 입법에 관한 권한 389
1. 조례공포권 389
2. 조례안 거부권 390
3. 규칙제정권 390
제4항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의무 394
Ⅰ. 겸직금지의무 394
1. 의 의 394
2. 겸직금지의 효과 395
Ⅱ. 영리거래금지의무 395
Ⅲ. 사무인계의무 395
Ⅳ. 기타 의무 396
Ⅴ. 의무의 위반 396
제5항 집행기관의 행정조직 396
Ⅰ. 행정조직조례주의 396
1. 의 의 396
2. 행정기관의 유형 396
3. 조직고권 397
Ⅱ. 부단체장 397
1. 부단체장의 설치 397
2. 부단체장의 정수 398
3. 부단체장의 직급 398
4. 부단체장의 임명 398
5. 부단체장의 권한 399
6. 장의 대리 399
Ⅲ. 소속 행정기관 400
1. 직속기관 400
2. 사 업 소 400
3. 출 장 소 400
4. 합의제 행정기관 401
5. 자문기관 401
Ⅳ. 하부행정기관 402
1. 하부행정기관의 의의 402
2. 하부행정기관의 종류 402
3. 하부행정기관의 장 402
4. 제주특별자치도의 특례 404
5. 하부행정기관의 행정기구 404
Ⅴ. 특별기관 404
1. 인사위원회 404
2. 지방소청심사위원회ㆍ교육소청심사위원회 405
3. 행정심판위원회 405
제6항 지방자치단체의 공무원 405
Ⅰ. 지방자치단체와 공무원 405
1. 지방공무원 405
2. 국가공무원 406
Ⅱ. 지방공무원법 407
1. 법정주의 407
2. 경력직공무원과 특수경력직공무원 407
3. 계 급 407
4. 임용권자 408
5. 임용의 기준 408
6. 보 수 408
7. 의 무 409
8. 신분보장 409

제4절 교육ㆍ학예에 관한 기관
제1항 일 반 론 411
1. 법정주의 411
2.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관계 411
3. 시ㆍ군ㆍ자치구와 교육자치 412
4. 교육자치의 기관 412
제2항 교 육 감 413
Ⅰ. 교육감의 직무상 지위 413
1. 교육ㆍ학예사무에 관한 지방자치단체의 대표기관 413
2. 교육ㆍ학예사무에 관한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청 413
3. 교육ㆍ학예사무에 관한 자치권의 행사기관 413
4. 교육ㆍ학예사무에 관한 국가행정기관 414
Ⅱ. 교육감의 신분상 지위 414
1. 교육감의 선출 414
2. 교육감의 임기 415
3. 교육감의 겸직금지의무 415
4. 교육감의 권한대행ㆍ직무대리 415
5. 교육감의 소환과 퇴직 415
Ⅲ. 교육감의 권한 416
1. 대 표 권 416
2. 사무총괄권 416
3. 일반행정사무집행권 416
4. 교육규칙제정권 417
5. 소속공무원에 대한 권한 417
6. 선결처분권 417
7. 시ㆍ도의회 등의 의결에 대한 재의와 제소 418
8. 사무권한의 위임ㆍ위탁 등 419
Ⅳ. 행정조직 419
1. 보조기관 419
2. 교육기관 420
3. 하급교육행정기관 420
4. 공 무 원 420
제3항 교육재정의 확보 421
1. 교육재정의 재원 421
2. 경비부담의 주체 421
3. 교육비특별회계 421


제4장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제1절 일 반 론
제1항 사무일원론과 사무이원론 425
Ⅰ. 의 의 425
1. 이 원 론 426
2. 일 원 론 426
3. 구분론에 대한 평가 427
Ⅱ. 헌법의 태도 427
1. 명시적 규정의 결여 427
2. 해 석 론 427
Ⅲ. 지방자치법과 이원론 428
1. 지방자치법 제13조 428
2.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 사무배분 428
Ⅳ. 입법정책론 430
1. 일원론의 지향 430
2. 일원론의 한계 430
3. 사무의 전면적 재배분 431
제2항 사무의 종류 431
Ⅰ. 일 반 론 431
1. 존재사무와 목적사무 431
2. 의무적 사무와 임의적 사무 432
Ⅱ. 자치사무와 위임사무 432
1. 의 의 432
2. 구분의 의미 433
3. 구분기준 433
4. 입법상 개혁 436
제3항 사무처리의 기본원칙 438
1. 주민의 편의와 복리증진 438
2. 조직과 운영의 합리화 438
3. 상급지방자치단체의 조례의 준수 438

제2절 자치사무
제1항 자치사무의 관념 439
Ⅰ. 자치사무개념의 전제 439
1. 복리사무와 생활배려 439
2. 자치사무개념의 변화 440
Ⅱ. 자치사무의 의의와 종류 441
1. 자치사무의 개념 441
2. 자치사무의 목록 441
3. 자치사무의 종류 441
Ⅲ. 자치사무의 특징 443
1. 사무처리의 자율성 443
2. 법적 근거 444
3. 비용부담 444
4. 지방의회의 관여 444
5. 자치사무의 감독 445
Ⅳ. 자치사무의 민간영역화(민영화) 445
1. 민영화의 의의 445
2. 민영화의 배경 446
3. 민영화의 법적 근거 446
4. 민영화의 한계와 책임 447
5. 민영화의 형태 449
Ⅴ. 민간위탁 451
1. 민간위탁의 의의 451
2. 민간위탁의 법적 근거 451
3. 민간위탁의 대상 452
4. 민간위탁의 주체와 상대방 452
5. 민간위탁의 형식 452
6. 민간위탁의 내부적 통제 453
제2항 자치사무의 내용 454
Ⅰ. 일 반 론 454
1. 사무의 예시 454
2. 사무의 경합 454
3. 현대적 사무 454
4. 권한의 추정 455
Ⅱ. 지방자치단체의 구역ㆍ조직 및 행정관리 등 456
Ⅲ. 주민의 복지증진 456
1. 내 용 456
2. 의 미 457
Ⅳ. 농림ㆍ수산ㆍ상공업 등 산업 진흥 459
1. 내 용 459
2. 경제의 촉진과 지방자치단체 460
Ⅴ. 지역개발과 자연환경보전 및 생활환경시설의 설치ㆍ관리 461
1. 내 용 461
2. 의 미 462
Ⅵ. 교육ㆍ체육ㆍ문화ㆍ예술의 진흥 464
1. 내 용 464
2. 의 미 464
Ⅶ. 지역민방위 및 지방소방 465
1. 내 용 465
2. 의 미 465
3. 경찰사무  466
Ⅷ. 국제교류 및 협력 467
1. 내 용 467
2. 의 미 467
제3항 자치사무의 배분 467
Ⅰ. 자치사무배분의 원리론 467
1. 배분의 필요 467
2. 존재사무 468
3. 배분의 원리 468
4.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사무의 유형 469
Ⅱ. 지방자치법상 배분의 기준 470
1. 규정 내용 470
2. 규정 분석 471
Ⅲ. 지방자치법상 배분의 내용 472
1. 지방자치단체별 사무 472
2. 자치구의 사무에서 제외되는 사무 472
3. 인구 50만 이상 시에 의한 도의 사무처리 472
Ⅳ. 사무의 이전 472
1. 입법에 의한 이전 472
2. 신청에 의한 이전 473
3. 권한-권한에 의한 이전 473

제3절 단체위임사무ㆍ기관위임사무 등
제1항 단체위임사무 474
Ⅰ. 단체위임사무의 관념 474
1. 단체위임사무의 의의 474
2. 단체위임사무의 배경 475
Ⅱ. 단체위임사무의 특징 475
1. 법적 근거 475
2. 사무처리의 자율성 475
3. 사무처리의 명의인 475
4. 비용부담과 손해배상 476
5. 지방의회의 관여와 조례 476
6. 감 독 477
Ⅲ. 위임에서 배제되는 국가사무 478
1. 국가사무의 범위 478
2.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처리가 제한되는 국가사무 478
제2항 기관위임사무 479
Ⅰ. 기관위임사무의 관념 479
1. 기관위임사무의 의의 479
2. 기관위임사무의 성격과 문제점 480
Ⅱ. 기관위임사무의 특징 481
1. 법적 근거 481
2. 사무처리의 자율성 481
3. 사무수행의 명의인 482
4. 비용부담과 손해배상 482
5. 지방의회의 관여와 조례 482
6. 감 독 483
7. 기관위임사무에 대한 비판론과 유용론 484
제3항 공동사무 486
Ⅰ. 의 의 486
1. 개 념 486
2. 문 제 점 486
Ⅱ. 인정가능성 487
1. 부정적 견해 487
2. 사 견 487
3. 새로운 유형 487


제5장 지방자치단체의 재정ㆍ경제

제1절 재정의 기본원칙
제1항 재정고권과 재정보장 491
Ⅰ. 재정고권 491
1. 재정고권의 의의 491
2. 재정고권의 헌법적 근거 491
Ⅱ. 재정보장 492
1. 최소한의 재정보장 492
2. 최소한의 판단기준 492
3. 재정보장의 주체 493
4. 재정상 최소지원청구권 493
제2항 재정운영의 기본원칙 494
Ⅰ. 건전재정의 운영 494
1. 건전재정의 원칙 494
2. 지방채무 및 채권의 관리 495
3. 재정의 공개 496
Ⅱ. 국가시책의 구현 496
1. 의 의 496
2. 국고보조 497
Ⅲ. 지방재정계획 497
1. 중기지방재정계획의 수립 497
2. 국가계획과 연계 497
Ⅳ. 지방재정에 대한 국가의 관여 497
1. 세입에 대한 관여 498
2. 세출에 대한 관여 498
3. 법률에 의한 관여 498
Ⅴ. 재정위기 지방자치단체 498
1. 재정위기 지방자치단체의 지정 498
2. 재정위기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499
3. 재정위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상 제한 499
4. 재정건전화 이행 부진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불이익 부여 500
제3항 지방자치단체간 재정의 균형 502
Ⅰ. 재정균형화의 원리 502
1. 필 요 성 502
2. 균형화의 의의 502
3. 국가의 균형화의무 502
4. 재정균형화의 목적 503
5. 재정균형화의 대상 503
6. 재정균형화의 기준 503
Ⅱ. 재정균형화의 수단 504
1.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재원조정 504
2. 지방교부세 505
3. 지방교육재정교부금 505

제2절 예 산
제1항 예산의 관념 507
Ⅰ. 예산의 의의 507
1. 재정고권과 예산권 507
2. 예산의 법원 507
3. 예산의 개념 507
Ⅱ. 예산의 기능 508
1. 의 의 508
2. 민주적 기능 508
3. 지도기능 509
4. 절약과 경제 509
Ⅲ. 예산의 내용 509
1. 예산총칙 509
2. 세입세출예산 509
3. 계 속 비 510
4. 채무부담행위 510
5. 명시이월비 511
Ⅳ. 예산의 일반원칙 512
1. 의 의 512
2. 예산총계주의의 원칙 512
3. 예산단일의 원칙 512
4. 예산명확 및 예산진실의 원칙 513
5. 예산합리성의 원칙 513
6. 예산의 경제성과 절약의 원칙 513
7. 기타의 원칙 514
Ⅴ. 회 계 514
1. 회계의 의의 514
2. 회계연도 514
3. 일반회계와 특별회계 515
제2항 예산의 성립과 변경 515
Ⅰ. 예산의 성립 515
1. 예산안의 편성ㆍ제출 515
2. 예산안의 심의ㆍ의결 517
3. 예산안의 이송ㆍ보고 518
4. 재의의 요구 518
Ⅱ. 임시예산ㆍ예비비 518
1. 임시예산(준예산) 518
2. 예 비 비 519
Ⅲ. 추가경정예산(예산의 변경) 520
1. 추가경정예산의 의의 520
2. 금액증가의 금지 등 520
3. 추가경정예산안의 수정 521
4. 추가경정예산의 성립절차 521
5. 추가경정예산의 예외 521
제3항 예산의 효력 521
Ⅰ. 예산일년주의 521
Ⅱ. 내부법으로서 예산 522
1. 의 의 522
2. 내부적 구속효 522
3. 사인의 청구권의 근거로서 예산 523
제4항 결 산 523
Ⅰ. 결산의 관념 523
1. 결산의 의의 523
2. 결산의 기능 523
Ⅱ. 결산의 절차 523
1. 지방의회의 승인과 시정요구 523
2. 감독청에 보고 524
3. 지방자치단체가 없어진 경우 524
Ⅲ. 결산의 공개 524
1. 관련규정 524
2. 공개의 의미 524
Ⅳ. 결산심사기관 525
1. 상설 결산심사기관의 설치문제 525
2. 감사원의 감사의 문제점 525
Ⅴ. 주민감시 526
1. 시정요구 526
2. 의견제안 526
3. 처리결과의 통지 526
4. 예산성과금의 지급 526

제3절 수입과 지출
제1항 수 입 527
Ⅰ. 지방공과금 527
1. 의 의 527
2. 법률의 유보 528
3. 부과징수의 우선순위 528
Ⅱ. 지 방 세 528
1. 조세고권 528
2. 지방세의 의의 529
3. 지방세의 법적 근거 530
4. 종 류 531
5. 부과ㆍ징수 532
Ⅲ. 부담금ㆍ보조금ㆍ지방교부세 534
1. 부담금(교부금) 534
2. 보 조 금 535
3. 지방교부세 535
Ⅳ. 사용료ㆍ수수료ㆍ분담금 536
1. 사 용 료 536
2. 수 수 료 537
3. 분 담 금 537
4. 부과기준 538
5. 부과ㆍ징수ㆍ불복 540
Ⅴ. 지 방 채 541
1. 지방채의 의의 541
2. 지방채의 종류 541
3. 지방채발행의 요건 542
4. 지방채발행의 절차 542
5. 지방자치단체조합에 의한 지방채 543
Ⅵ. 기 타 543
1. 특별공과금 543
2. 사법상 수입 544
Ⅶ. 세입의 징수ㆍ수납 544
1. 원 칙 544
2. 징 수 544
3. 수 납 545
4. 징수기관과 수납기관의 분리 545
제2항 지 출 545
Ⅰ. 지출해야 할 경비 545
1. 사무의 유형 545
2. 경비지출의 대상 546
3. 경비지출의 제한 546
Ⅱ. 지출원인행위 546
1. 지출원인행위의 의의 546
2. 지출원인행위를 할 수 있는 자 547
3. 지출원인행위에 관한 원칙 547
Ⅲ. 지출의 절차 547
1. 지출원인행위 관계 서류의 송부 547
2. 지급명령과 제한 547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재산과 공공시설
제1항 지방자치단체의 재산 549
Ⅰ. 공유재산의 관념 549
1. 공유재산의 의의 549
2. 공유재산의 종류 550
3. 기부채납 550
Ⅱ. 행정재산 551
1. 처분등의 제한 551
2. 사용ㆍ수익허가 551
3. 사 용 료 552
4. 사용허가의 취소 552
Ⅲ. 일반재산 553
1. 관리와 처분 553
2. 대 부 553
3. 매 각 553
4. 교 환 554
5. 양 여 554
6. 신 탁 554
Ⅳ. 실효성확보 555
1. 무단사용의 금지 555
2. 변상금의 징수 555
3. 불법시설물의 철거 등 원상복구 556
4. 시효취득의 금지 556
제2항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시설 557
Ⅰ. 공공시설의 관념 557
1. 공공시설의 의의 557
2. 구별을 요하는 개념 558
Ⅱ. 공용지정 559
1. 공용지정의 의의 559
2. 공용지정의 형식 559
3. 공용지정의 내용 559
4. 공용지정의 권원 560
Ⅲ. 공공시설의 설치ㆍ유지 560
1. 설치의 임의성 560
2. 사인의 설치ㆍ폐지청구권 560
3. 설치ㆍ관리의 법적 근거 561
4. 관리ㆍ운영 562
Ⅳ. 공공시설의 종류 562
1. 공법상 독립성 없는 공공시설 562
2. 공법상 독립성 있는 공공시설 563
3. 사법상 공공시설 564
4. 지방자치단체의 개입의무 564
Ⅴ. 공공시설의 이용 565
1. 조직형식과 이용형식 565
2. 이용허가청구권 565
3. 이용의 허가 567
4. 이 용 568
5. 권리보호 570

제5절 지방자치단체의 경제활동
제1항 경제활동의 관념 572
Ⅰ. 지방자치단체와 경제활동 572
1. 경제활동의 필요성 572
2. 입법적 규율 572
Ⅱ. 경제활동의 의의 573
1. 개 념 573
2. 급부행정과 비교 573
제2항 경제활동의 가능성과 제한 574
Ⅰ. 경제활동의 가능성 574
1. 경제활동의 헌법적 보장 574
2. 경제활동의 요건 575
Ⅱ. 경제활동의 제한 577
1. 경제주체 사이의 제한 577
2. 사경쟁자의 기본권에 의한 제한 578
3. 실정법상 제한 579
Ⅲ. 사인의 권리보호(경쟁자소송) 580
1. 개인적 공권의 침해가능성 580
2. 관할 법원 580
제3항 조 직 581
Ⅰ. 공법상 조직형식 581
1. 비법인의 형식 581
2. 법인의 형식 582
Ⅱ. 사법상 조직형식 584
1. 유 형 584
2. 조 직 584
제4항 사법작용과 기본권구속 585
Ⅰ. 행정사법작용과 기본권구속 585
1. 행정사법의 의의 585
2. 기본권에 구속 585
Ⅱ. 구매작용과 기본권구속 585
1. 구매작용의 의미 585
2. 기본권에 구속 586
3. 구매계약의 성질 586
Ⅲ. 기 타 587
1. 혼합회사와 기본권 주체성 587
2. 공용수용ㆍ민간영역화 587


제6장 지방자치단체의 통제

제1절 협력을 통한 통제
제1항 협력의 관념 591
Ⅰ. 협력의 필요성과 의미 591
1. 필 요 성 591
2. 의 미 592
Ⅱ. 협력고권ㆍ협력의무 592
1. 협력고권 592
2. 상호존중 592
3. 협력의무 592
Ⅲ. 협력의 주체 593
1. 협력의 당사자 593
2. 구역상의 제한 593
제2항 협력의 유형 593
Ⅰ.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협력 593
1. 협력의 방식 593
2. 사무의 위탁 594
3. 직원의 파견 597
4. 행정협의회 597
5. 지방자치단체조합 601
6. 장 등의 협의체 604
7. 기 타 606
Ⅱ.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의 협력 607
1.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시ㆍ도지사에 의한 협력 607
2.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협력(국정참여) 608
3.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상호협력 609
제3항 분쟁의 조정 612
Ⅰ. 분쟁조정의 관념 612
1. 의 의 612
2. 분쟁조정의 대상 613
Ⅱ. 분쟁조정위원회 613
1. 의 의 613
2. 중앙분쟁조정위원회 614
3. 지방분쟁조정위원회 615
Ⅲ. 분쟁조정의 절차 616
1. 조정의 개시 616
2.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의 협의 617
3. 분쟁조정위원회의 심의ㆍ의결 617
4. 조정결정ㆍ통보 등 618
5. 조정사항의 이행 619
6. 강제이행 619
7. 불 복 620

제2절 감독을 통한 통제
제1항 감독의 관념 622
Ⅰ. 감독의 의의 622
1. 감독의 필요성 622
2. 감독과 사법작용 622
Ⅱ. 감독의 성격과 한계 622
1. 감독의 성격 622
2. 감독의 한계 623
Ⅲ. 감독의 기능 623
1.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기능 623
2. 사인에 대한 기능 624
Ⅳ. 감독의 유형 624
1. 유형의 개관 624
2. 주체에 따른 분류 625
제2항 내부적 감독 625
Ⅰ. 감독수단 625
1. 지방의회의 감독수단 625
2. 집행기관의 감독수단 626
Ⅱ. 의 의 626
제3항 외부적 감독 626
Ⅰ. 국회에 의한 감독 626
1. 의 의 626
2. 한 계 627
Ⅱ. 법원에 의한 감독 627
1. 행정소송 627
2. 기관소송 627
Ⅲ. 헌법재판소에 의한 감독 632
1. 권한쟁의심판 632
2. 헌법소원 633
Ⅳ. 행정기관에 의한 감독 633
1. 의 의 633
2. 취 지 634
Ⅴ. 주민에 의한 통제 634
1. 일 반 론 634
2. 주민참여감사제-주민참여의 새로운 형태 예시- 634
제4항 행정적 감독 635
제1목 자치사무에 대한 감독 635
Ⅰ. 일 반 론 635
1. 관 념 635
2. 감독청과 감독범위 636
3. 감독권행사의 요건 637
4. 감독처분과 권리보호 638
5. 감독수단의 유형 639
Ⅱ. 사전적 감독수단 640
1. 지도ㆍ지원 640
2. 보고제도(정보권) 640
3. 감 사 641
4. 승인유보제도 644
Ⅲ. 사후적 감독수단 646
1. 이의제도(지방의회에 대한 감독) 646
2. 시정제도(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감독) 651
제2목 단체위임사무에 대한 감독 658
Ⅰ. 일 반 론 658
1. 관 념 658
2. 감독청과 감독범위 659
3. 감독수단도입의 요건 659
4. 감독처분과 권리보호 659
5. 감독수단의 유형 661
Ⅱ. 사전적 수단 662
1. 조언ㆍ권고ㆍ지도 662
2. 보고제도 662
3. 감 사 662
Ⅲ. 사후적 수단 662
1. 이의제도(지방의회에 대한 감독) 662
2. 시정제도(지방자치단체장에 대한 감독) 663
제3목 기관위임사무에 대한 감독 664
Ⅰ. 일 반 론 664
1. 관 념 664
2. 감독청과 감독범위 664
Ⅱ. 사전적 수단 664
1. 조언ㆍ권고ㆍ지도 664
2. 보고제도 664
3. 감 사 665
Ⅲ. 사후적 수단 665
1. 시정제도 665
2. 직무이행명령제도 665


제7장 서울특별시 및 대도시 등과 세종특별자치시 및 제주특별자치도 등의 행정특례

Ⅰ. 자치구의 재원 조정 673
1. 의 의 673
2. 종 류 673
3. 내 용 673
Ⅱ. 서울특별시의 특례 674
1. 서울특별시의 지위 674
2. 일반행정운영상 특례 674
3. 수도권광역행정상 특례 674
Ⅲ. 세종특별자치시 특례 675
1. 국가의 책무 675
2. 세종특별자치시의 책무 675
Ⅳ. 제주특별자치도의 특례 676
1. 제주도의 지위 676
2. 행정시의 특례 676
3. 자치조직의 자율성 677
4. 주민참여의 특례 678
5. 재정상 특례 679
6. 교육자치의 특례 679
7. 자치경찰의 특례 680
Ⅴ. 대도시 등에 대한 특례 682
1. 지방자치법상 대도시 등의 특례 683
2. 지방자치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상 특례 684


제8장 특별지방자치단체

Ⅰ. 관 념 689
1. 의 의 689
2. 성 질 689
3. 구 성 원 690
4. 구 역 690
5. 처리사무 690
Ⅱ. 설 립 691
1. 임의설립과 설립의 권고 691
2. 규 약 691
Ⅲ. 조 직 693
1. 의 회 693
2. 지방자치단체의 장 693
3. 직 원 693
Ⅳ. 운 영 693
1. 기본계획 693
2. 사무처리상황 등의 통지 694
3. 재 정 694
Ⅴ. 가입ㆍ탈퇴, 해산 694
1. 가입ㆍ탈퇴 694
2. 해 산 695
Ⅵ. 관련 규정의 적용 695
1. 지방자치단체에 관한 규정의 준용 695
2. 다른 법률과의 관계 695




〔법령약어〕

--




공선법 공직선거법
공재법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공토법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국배법 국가배상법
사무정 사무관리규정
서특법 서울특별시 행정특례에 관한 법률
세종법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임탁정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
절차법 행정절차법
제국법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주민법 주민등록법
주조법 주민조례발안에 관한 법률
주소법 주민소환법
주투법 주민투표법
지공법 지방공무원법
지교법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지기법 지방세기본법
지당법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지부법 지방교부세법
지세법 지방세법
지업법 지방공기업법
지육법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지자법 지방자치법
지자령 지방자치법 시행령
지정법 지방재정법
지징법 지방세징수법
지회법 지방회계법
행기법 행정기본법
행소법 행정소송법
행심법 행정심판법
헌재법 헌법재판소법

서울감사조 서울특별시 행정사무감사 및 조사에 관한 조례
서울교섭조 서울특별시의회 교섭단체 구성ㆍ운영 조례
서울기본조 서울특별시의회 기본조례
서울민간조 서울특별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조례
서울상징조 서울특별시상징물조례
서울회의칙 서울특별시의회 회의규칙
행운정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주요 참고문헌〕
--





* 기타의 참고문헌(단행본ㆍ논문)은 본문에서 표기한다.
〈국내문헌〉
김철수 헌법학신론, 제20판, 박영사, 2010.
김철수 헌법학(하), 전면개정신판, 박영사, 2008.
권영성 헌법학원론, 개정판, 법문사, 2009.
김남진ㆍ김연태 행정법Ⅱ, 제13판, 법문사, 2014.
김남철 행정법강론, 박영사, 2014
김도창 일반행정법론(하), 청운사, 1993.
김동희 행정법Ⅱ, 박영사, 2012, 2014.
김병준 지방자치론, 법문사, 2009.
김성수 개별행정법, 제2판, 법문사, 2004.
김용찬ㆍ선정원ㆍ변성완 주민소송, 박영사, 2005.
김철용 행정법, 박영사, 2012.
김철용 행정법Ⅱ, 제9판, 박영사, 2009.
김향기 행정법개론, 제8판, 삼영사, 2008.
김홍대 지방자치입법론, 박영사, 1999.
류지태ㆍ박종수 행정법신론, 박영사, 2011.
박균성 행정법론(하), 박영사, 2012, 2014
박윤흔ㆍ정형근 최신 행정법강의(하), 제28판, 박영사, 2009.
서원우 현대행정법론(상), 박영사, 1980.
석종현ㆍ송동수 일반행정법(하), 제13판, 삼영사, 2013.
성낙인 헌법학, 제9판, 법문사, 2009.
유상현 행정법Ⅱ, 형설출판사, 2002.
윤세창ㆍ이호승 행정법(하), 박영사, 1994.
이기우 지방자치이론, 학현사, 1996.
이기우ㆍ하승수 지방자치법, 제1판, 대영문화사, 2007.
이상규 신행정법론(하), 법문사, 1995.
임승빈 지방자치론, 제3판 법문사, 2009.
장영수 헌법학, 제4판, 법문사, 2009.
장태주 행정법개론, 제7판, 법문사, 2009.
전광석 한국헌법론, 제5판, 법문사, 2009.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9, 2014.
정하중 행정법개론, 제3판, 법문사, 2009, 2014
조연홍 한국행정법원론(하), 제1판, 형설출판사, 2005.
최봉기 지방지치론, 법문사, 2006.
최봉기 한국지방자치론, 법문사, 2009.
최우용 지방자치법강의, 제3판, 동아대학교출판부, 2008.
최정일 행정법의 정석[행정법Ⅱ], 박영사, 2009.
한견우 현대행정법강의, 제3판, 신영사, 2008.
한국지방자치법학회 지방자치법주해, 박영사, 2004.
한국지방자치법학회 지방자치법연구, 통권 제1호(2001.9)-제21호(2009.6).
함인선 주민소송,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8.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2, 2014
홍정선 행정법원론(상), 제30판, 박영사, 2022.
홍정선 행정법원론(하), 제30판, 박영사, 2022.

〈외국문헌〉
Armin, Hans Herbert v. Die ?ffentlichkeit kommunaler Finanzkontrollberichte als Verfassungsgebot, 1981.
Burgi, Martin Kommunalrecht, 3. Aufl., 2010.
Burgi, Martin Kommunalrecht, 5. Aufl., 2015.
Burmeister, Joachim Verfassungstheoretische Neukonzeption der kommunalen
Selbstverwaltungsgarantie, 1977.
Detterbeck, Steffen Allgemeines Verwaltungsrecht mit Verwaltungsprozessrecht, 15. Auflage, 2017.
Dols, Heinz/Plate, Klaus, Kommunalrecht, 7. Aufl., 2009.
Erbguth/Guckelberger Allgemeines Verwaltungsrecht, 9. Auflage, 2018.
Erichsen, Hans-Uwe Kommuanlrecht des Landes Nordrhein-Westfalen, 1997.
Erichsen, Hans-Uwe Gemeinde und Private im wirtschaftlichen Wettbewerb, 1987.
Erichsen(Hrsg.) Allgemeines Verwaltungsrech, 12. Aufl., 2002.
Erichsen(Hrsg.) Allgemeines Verwaltungsrech, 13. Aufl., 2006.
Fischedick, Hans-J?rgen Die Wahl der Benutzungsform kommunaler Einrichtungen, 1986.
Fleiner, Fritz Institutionen des Verwaltungsrechts, 2. Neudruck der 8. Aufl., 1928, 1963.
Forsthoff, Ernst Die Verwaltung als Leistungstr?ger, 1938.
Forsthoff, Ernst Lehrbuch des Verwaltungsrechts, 10. Aufl., 1973.
Forsthoff, Ernst Rechtsfragen der leistenden Verwaltung, 1959.
Fricke/Ott(Hrsg.) Verwaltungsrecht, 2. Aufl., 2005.
Frowein, Jochen A. Parteienproporz in der Gemeindespitze und Verfassung, 1976.
Geis, Max-Emanuel Kommunalrecht, 3. Aufl., 2014.
Gern, Alfons S?chsisches Kommunalrecht, 1994.
Gern, Alfons Kommunalrecht Baden-W?rttemberg, 9. Aufl., 2005.
Gerrit Stadler Die Beleihung in der neuern Bundesgesetzgebung, 2002.
Glaeser, Schmidt Verwaltungsprozeßrecht, 14. Aufl., 1997
Grabbe, J?rgen Verfassungsrechtliche Grenze der Privatisierung kommunaler Aufgaben, 1979.
Hegele/Ewert Kommunalrecht im Freistaat Sachsen, 1997.
Hufen, Friedhelm Verwaltungsprozeßrecht, 7. Aufl., 2008.
Ipsen, J?rn Allgemeines Verwaltungsrecht, 9. Aufl., 2018.
Jellinek, Georg System der subjektiven ?ffentlichen Rechte, 2. Neudruck der 2. Aufl., 1919, 1979.
J?nger, Heiko/Walter, Joachim Finanzierungsformen bei kommunalen Investitionen, 1987.
Keller, Dieter Die staatliche Genehmigung von Rechtsakten der Selbst verwaltungstr?ger, 1976.
Klaus Weisel Das Verh?ltnis von Privatisierung ud Beleihung, 2003.
Kimmnich, Otto Der Schutz kommunaler Unternehmen gegen konfiskatorische Eingriffe, 1982.
Kirchner Andreas MusilㆍS?ren Das Recht der Berliner Verwaltung, 2. Aufl, 2007.
Kl?ber, Hans Das Gemeinderecht in den L?nder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1972.
Kluth, Winfried Grenzen kommunaler Wettbewerbsteilnahme, 1988.
Knemeyer, Franz-Ludwig Bayerisches Kommunalrecht, 1988.
Knemeyer, Franz-Ludwig(Hg.) Die Europ?ische Charta der kommunalen Selbstverwaltung, 1989.
Knemeyer, Franz-Ludwig Die ?ffentlichen Einrichtungen der Gemeinden, 1973.
Knemeyer, Franz-Ludwig Die Aufsicht ?ber die Gemeinde und Kreise, in:
Mann/P?ttner(Hrsg.), Handbuch, der Kommunalen Wissenschaft und Praxis.
Knies, Wilhelm/Wengert, Paul Kommunale Haftung, 1980.
Krieger, Heinz-Jurgen Schranken der Zul?ssigkeit der Privatisierung ?ffentlicher Einrichtungen der Daseinsvorsorge mit Anschluss- und Benut zungszwang, 1981.
K?hnlein, Gertrud Verwaltungspersonal in den neuen L?ndern, Fortbildung und Personalpolitik in ostdeutschen Kommunen, 1997.
K?ppers, Joachim/M?ller Kommunale Rechtssetzung im Kulturbereich, 1994.
Lissack, Gernot Bayerisches Kommunalrecht, 1997.
Lissack, Gernot Bayerisches Kommunalrecht, 2. Aufl., 2001.
Mann, Thomas/P?ttner, G?nter(Hrsg.) [Mann/P?ttner(Hrsg.)]
Handbuch der Kommunalen Wissenschaft und Praxis 1,(Handbuch) 3. Aufl., 2007.
Maurer, Hartmut Allgemeines Verwaltungsrecht, 17. Aufl., 2009.
Maurer/Waldhoff, Allgemeines Verwaltungsrecht, 19. Auflage, 2017.
Meyn, Karl-Ulrich Gesetzesvorbehalt und Rechtsetzungsbefunis der Gemeinden, 1977.
Meyer, Hubert Kommunalrecht(Landesrecht Mecklenburg-Vorpommern), 1998.
Pagenkopf, Hans Kommunalrecht, Bd.1(Verfassungsrecht, 1975).
Pagenkopf, Hans Kommunalrecht, Bd.2(Wirtschaftsrecht, 1976).
P?ttner, G?nter Kommunalrecht Baden-W?rttemberg, 3. Aufl., 2004.
Reichert, Bernd/R?ber, Klaus-Ulrich Kommunalrecht, 1986.
Reichert, Bernd/Baumann, Roland Kommunalrecht, 2. Aufl., 2000
Schefold, Dian/Neumann, Maya Kommunal verfassungen in Deutschland: Demokratisierng und Dezentralisierung? 1966.
Schoch/Wieland Finanzierungsverantwortung f?r gesetzgeberisch veranlaßte kommunale Aufgaben, 1995.
Schmidt, Thorsten Ingo Kommunalrecht, 2011. 2. Aufl., 2014.
Schmidt-Aßmann, Eberhard Kommunalrecht, in: derselbe(Hrsg.) BesonderesVerwaltungs recht, 11. Aufl., 1999.
Schmidt-Aßmann, Eberhard Die kommunale Rechtssetzung im Gef?ge der administrativen Handlungsformenen und Rechtsquellen, 1981.
Schmidt-Aßmann/R?hl Kommunalrecht(2008), in: E. Schlidt-Aßmann/F. Schoch(Hrsg.), Besonderes Verwaltungsrecht, 14. Aufl., 2008.
Schmidt-Jortzig, Edzard Kommunalrecht, 1982.
Schoch/Wieland Finanzierungsverantwortung f?r gesetzgeberisch veranlaßte kommunale Aufgaben, 1995.
Scholler, Heinlich/Broß, Siegfried Grundz?ge des Kommunalrechts in der Bundes republik Deutschland, 1984.
Schr?der, Meinhard in: Achterberg/P?ttner/W?rtenberger(Hg.), Besonderes Verwaltungsrecht, Bd.Ⅱ, 2. Aufl., 2000.
Schrameyer, Marc Das Verh?ltnis von B?rgermeister und Gemeindevertrtung, 2006.
Schwirzke, Werner/Sandfuchs, Klaus Allgemeines Nieders?chsisches Kommunalrecht, 16. Aufl., 1999.
Seeger, Richard/Wunsch, Hermann Kommunalrecht in Baden-W?rttemberg, 1987.
Seewald, Otfried Kommunalrecht, in: Udo Steiner(Hg.), Besonderes Verwaltungsrecht, 8. Aufl., 2006.
Stober, Rolf Kommunalrecht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3. Auf lage, 1996.
Tettinger/Erbguth/Mann Besonderes Verwaltungsrecht, 9, Aufl., 2007.
Tremer, Gerhard/Heinrichs, Friedrich Wilhelm Kommunalkredit, Bedeutung und M?g lichkeiten, Kreditaufnahme im kommunalen Haushalt, 1980.
Viogt, R?diger Kommunale Partizipation am staatlichen Entscheidungsprozess, 1976.
Waechter, Kay Kommunalrecht, 1995.
Waibel, Gehard Gemeindeverfassungsrecht Baden-W?rttemberg, 5. Aufl., 2007.
Werner, Hauser Die Wahl der Organisationsform kommunaler Einrichtungen, 1987.
Widera, Bernd Zur verfassungsrechtlichen Gew?hrleistung gemeindlicher Planungshoheit, 1985.
Wolff/Bachof/Stober/Kluth Verwaltungsrecht Ⅰ, 12. Aufl., 2007. 13.Auflage, 2017
Wolff/Bachof/Stober(5. Aufl.) Verwaltungsrecht Ⅱ, 5. Aufl., 1987.
Wolff/Bachof/Stober(6. Aufl.) Verwaltungsrecht, Band 2, 6. Aufl., 2000.
Wolff/Bachof/Stober(5. Aufl.) Verwaltungsrecht, Band 3, 5. Aufl., 2004.
W?rtenberger, Thomas Verwaltungsprozessrecht, 2. Aufl., 2006.
W?stebecker, H. Kommunalrecht, 1998.
Zimmermann, Franz Das System der kommunalen Einnahmen und die Finan zierung der kommunalen Aufgaben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1988.




2022 청소년상담사 2급 한방에 끝내기
9791166430459.jpg


도서명 : 2022 청소년상담사 2급 한방에 끝내기
저자/출판사 : 박미선,임그린, 미디어정훈
쪽수 : 1008쪽
출판일 : 2022-03-10
ISBN : 9791166430459
정가 : 38000

핵심만 쏙 뽑은 요약집
≪필수과목≫
♠제1과목 청소년 상담의 이론과 실제
01 청소년 상담의 이해 / 02 청소년 상담 이론 / 03 청소년 상담의 실제
[실력다지기] OX, 단답형, 괄호넣기 [실전대비]2021년 제20회 기출문제 / 적중예상문제

♠제2과목 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01 상담연구의 기초 / 02 연구 주제와 연구 계획서 / 03 연구방법 / 04 측정과 척도
/ 05 기술통계 / 06 추론통계 / 07 집단 간 비교를 위한 통계방법
[실력다지기] OX, 단답형, 괄호넣기 [실전대비]2021년 제20회 기출문제 / 적중예상문제

♠제3과목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01 심리검사의 개념과 역사 / 02 심리평가와 면접 / 03 기본통계
/ 04 지능검사 / 05 다양한 심리검사 / 06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 MMPI-2) / 07 투사검사
[실력다지기] OX, 단답형, 괄호넣기 [실전대비]2021년 제20회 기출문제 / 적중예상문제

♠제4과목 이상심리
01 이상심리 개관 / 02 이상행동의 분류 및 진단 / 03 신경발달장애 / 04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 05 양극성 및 관련 장애 / 06 우울장애 / 07 불안장애 / 08 강박 및 관련 장애 / 09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 10 해리장애 / 11 수면-각성장애 / 12 급식 및 섭식장애 / 13 배설장애 / 14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 15 파괴적 충동통제 및 품행장애 / 16 신경인지장애 / 17 물질 관련 및 중독 장애 / 18 성 관련장애 / 19 성격장애
[실력다지기] OX, 단답형, 괄호넣기 [실전대비]2021년 제20회 기출문제 / 적중예상문제


≪선택과목≫
♠제5과목 진로상담
01 청소년 진로상담 / 02 진로선택이론 / 03 진로발달이론 / 04 진로상담이론 / 05 청소년 진로상담의 실제
[실력다지기] OX, 단답형, 괄호넣기 [실전대비]2021년 제20회 기출문제 / 적중예상문제

♠제6과목 집단상담
01 집단상담 개관 / 02 집단상담이론 / 03 집단상담 구성원 및 기법 / 04 집단상담과정 및 계획과 평가
[실력다지기] OX, 단답형, 괄호넣기 [실전대비]2021년 제20회 기출문제 / 적중예상문제

♠제7과목 가족상담
01 가족상담의 기초 / 02 초기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 / 03 후기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 / 04 청소년가족
[실력다지기] OX, 단답형, 괄호넣기 [실전대비]2021년 제20회 기출문제 / 적중예상문제

♠제8과목 학업상담
01 학업상담 이해 및 절차 / 02 학업관련 요인 / 03 학업관련 문제 유형 / 04 학업관련 장애 및 검사 / 05 학습전략
[실력다지기] OX, 단답형, 괄호넣기 [실전대비]2021년 제20회 기출문제 / 적중예상문제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