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강의 또는 평화통일학
땅끝
2024-12-25 10:41
95
0
본문
불교 강의

도서명 : 불교 강의
저자/출판사 : 찰스 S. 프레비쉬 , 데미언 키온, 어의운하
쪽수 : 528쪽
출판일 : 2022-02-25
ISBN : 9791197708008
정가 : 23000
1. 불교의 배경
인더스(Indus) 계곡 문명
인더스의 종교
인더스 유산
베다(veda) 문화
베다 문학
베다 유산
유행승(遊行僧, parivr?aka)들의 시대
두 가지 전통
철학적 난제
우주에 대한 인도인의 생각
우주의 거주자들
다시 태어남의 여섯 가지 영역
까르마
공덕
서양의 관점
2. 붓다
붓다
붓다의 탄생
출가
고행
깨달음
첫 설법
붓다의 마지막 날들
3. 다르마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聖諦]
첫 번째 성스러운 진리: 괴로움[苦, du?ha]
두 번째 성스러운 진리: 일어남[集, samudaya]
세 번째 성스러운 진리: 소멸[滅, nirodha]
네 번째 성스러운 진리: 길[道, m?ga]
고귀한 사람들[聖人, ?ya]
무아(無我)의 가르침
다섯 무더기[五蘊]
4. 상가
상가(僧伽, sa?ha)의 정의
율장(律藏, Vinaya Pi?ka)
초(超)정전적 율장 문헌
정전적 율장 문헌
비정전적 율장 문헌
재가신도
초기 상가의 중요한 제자들
사원 생활
초기 상가의 지역적 분포
불교 여성 출가자 - 비구니
5. 인도불교
붓다 입멸 후의 불교 발달
초기의 인도불교
초기의 경전 결집과 학파들
마우리아(Maurya) 제국과 아쇼카(A?ka) 왕
스뚜빠(St?a)
불교 예술
서북아시아와 중앙아시아
밀린다 왕의 질문
아비다르마(Abhidharma)
바수반두(Vasubandhu, 世親)
대승의 일어남
딴뜨라
사원대학교
6. 대승불교
서문
대승불교 문헌
반야부 외 대승불교 문헌들
대승불교의 주요 교의
천상의 붓다와 보살들
대승불교의 종파
대승불교 논사(論師)들
7. 명상
테라와다(Therav?a)불교 수행 개설
테라와다불교 - 고요함 수행(samatha)
테라와다불교 - 통찰 수행(vipassan?)
대승 명상의 개요
대승 명상의 표준 체계
관상(觀想)과 황홀경의 기법들
자발성 혹은 자연스러움의 기법들
결론
8. 동남아시아의 불교
테라와다불교
동남아시아 불교의 일반적 성격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베트남
9. 동아시아의 불교
중국불교: 간략한 역사
중국불교의 종파들
중국불교도의 종교생활
한국불교: 간략한 역사
한국불교의 종파들: 창시자와 주요 문헌
일본불교: 간략한 역사
일본불교의 종파들
10. 티베트의 불교
티베트불교의 역사적 발달
티베트불교의 주요 종파들
유명한 인물들과 주요 장소들
딴뜨라의 기본 구조와 주요 문헌들
달라이 라마 전통
중국의 티베트 강점과 티베트불교에 미친 영향
11. 서양의 불교
역사적 관점에서 본 불교의 서양 진출
세계화: 유럽, 호주·뉴질랜드, 북미와 남미
적절한 예: 미국의 불교
미국불교의 성장에 관련된 논제들
12. 사회참여불교
사회참여불교(Socially Engaged Buddhism)란 무엇인가?
불교평화우의회(The Buddhist Peace Fellowship: BPF)
참여불교: 낡은? 혹은 새로운?
인권
생태
13. 불교 윤리
도덕적 기반으로서의 다르마
불교 계율과 미덕
사원 윤리
미덕(美德, virtues)
보시
아힘사(Ahi??)
연민과 방편
전쟁과 테러
불교와 과학
복제(Cloing)
14. 불교학의 특성에 대한 고찰
불교 연구 분야의 유럽인 선구자들
미국 불교 연구의 초창기
오리엔탈리즘
미국 불교 연구의 현재
불교 연구 분야의 ‘학자-수행자’들
서양 불교에서의 인종·계급·젠더
불교 연구에서 과학기술의 역할
부록 1: 불교사 연표
부록 2: 빠알리 어 삼장 / 중국 한역 대장경 / 티베트 대장경
용어 해설
찾아보기
평화통일학

도서명 : 평화통일학
저자/출판사 : 노태구, 부코
쪽수 : 256쪽
출판일 : 2022-04-20
ISBN : 9788990509567
정가 : 21000
서 문: 평화통일학으로 제2건국(완전독립)을
제1편 인간중심 민주주의
제1장 민족의 행복한 통일을 위하여: 玄江의 ‘인생관’을 통해
제2장 인간중심철학의 3대 창조적 원리: 정치에 투자를
제3장 통일민주주의 시대의 도래: 정의와 사랑으로
제2편 정치경제학
제4장 통일의 민주화전략: 양체제 결합의 완성된 민주주의로
제5장 인간중심철학의 종교관
제6장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균형적 발전을
제7장 계급투쟁과 무산계급독재:인간의 이해관계를 반영한 사상으로
제3편 통일의 세계관
제8장 새로운 통일세계관: 생명활동의 동화작용으로
제9장 인간론적 세계관: 유물론과 관념론의 지양
제10장 과학적 세계관(神觀: 우주관): 물질세계에 대한 상식으로
제11장 민족통일을 위한 세계관: 인내천(人乃天) 종교로
제4편 아름다운 민족통일을 위해
제12장 사회역사관으로 보는 민주주의 이념당의 건설
제13장 (제4)지도사상부와 이념당 건설: 통일이 발전의 원동력이다
제14장 지도사상부와 이념당건설: 통일한국의 정부형태
부록
평화와?통일을?위한?천도교의?역할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종교의 역할
공평세상을 위한 정치지도력
통일평화대학을 근간으로 통일연방정부를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