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데이터 또는 팬데믹 시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사회적 소통과 공공PR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다크데이터 또는 팬데믹 시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사회적 소통과 공공PR

땅끝
2025-01-04 07:51 139 0

본문




다크데이터
9791165217099.jpg


도서명 : 다크데이터
저자/출판사 : 데이비드 핸드, 더퀘스트
쪽수 : 396쪽
출판일 : 2021-10-05
ISBN : 9791165217099
정가 : 19000

1부
다크 데이터는 어떻게 생겨나고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

1장.
다크 데이터: 보이지 않는 것이 이 세계를 만든다
보이지 않는 위험, 다크 데이터
데이터를 다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군요?
아무 일도 안 생겨서 무시해버릴 때 생기는 일
다크 데이터의 위력
다크 데이터는 언제 어디에나 있다

2장.
다크 데이터 찾아내기:
우리가 모은 것과 모으지 않은 것
데이터를 얻는 3가지 방식과 다크 데이터의 출현
데이터 잔해에서 얻는 다크 데이터
설문조사에서 생기는 다크 데이터
실험 데이터에도 다크 데이터가 끼어든다
인간적 취약점에 주의하시라

3장.
다크 데이터와 정의:
알고자 하는 것이 정확히 무엇인가?
엉뚱한 것을 측정해버렸다: 정의가 달라질 때
‘모든’ 것을 측정할 수는 없다: 심슨의 역설
질병 검진 프로그램의 취약성
과거 성과를 보고 선택할 때의 다크 데이터

4장.
의도하지 않은 다크 데이터: 말과 행동이 따로 놀 때
어디까지 정확해야 하지?
요약은 필연적으로 다크 데이터를 만든다
인간이니까 생기는 오류
측정 도구의 한계
데이터 세트를 통합할 때의 문제

5장.
전략적 다크 데이터: 게이밍, 피드백, 정보 비대칭
게이밍: 빈틈을 이용해 이득을 얻다
피드백: 피드백이 데이터를 왜곡시킬 때
정보 비대칭: 중고차 시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나
다크 데이터가 알고리즘에 끼치는 영향

6장.
고의적 다크 데이터: 사기와 기만
사기의 세계: 핵심은 데이터 숨기기다
신원 도용과 인터넷 사기: ‘자칼의 날’
계속 진화하는 개인금융 사기
금융시장 사기와 내부자 거래
보험 사기: 고객을 속이거나 보험사를 속이거나
그 밖의 사기: 돈세탁, 다단계 사기, 횡령

7장.
다크 데이터와 과학: 발견의 본질
과학의 본질: 검증 체계로서의 과학
내가 그걸 알았더라면!: 과학자들의 흑역사
우연히 만난 다크 데이터: 과학자들의 행운
반복 실험을 통한 재현: 과학 연구의 다크 데이터
사실을 감추는 방법들
철회
출처와 신뢰성: “누가 그러던가요?”


2부
다크 데이터에 빛을 비추고 이용하는 법

8장.
다크 데이터 다루기: 빛을 비추기
희망은 있다
관측 데이터를 빠진 데이터와 연결하기
3가지 데이터 누락 메커니즘
이미 가진 데이터를 활용하는 법
생존분석 문제: 당신이 먼저 죽는다면?
대치법: 빠진 데이터를 채워넣기
반복: 최대가능도 모형과 EM 알고리즘
데이터 오류에 대처하는 방법

9장.
다크 데이터로 이득을 얻는 법: 질문을 바꿔보자
데이터를 숨기는 게 이득이 될 때
무작위 대조군 시험: 데이터를 모두에게 숨겨라
시뮬레이션: 일어났을 수도 있는 일
전략적으로 복제된 데이터
베이즈 사전확률: 가상의 데이터
사생활 보호와 기밀 유지
데이터를 다크 상태로 수집하기

10장.
다크 데이터 분류법: 미로 속으로 난 길
다크 데이터의 15가지 유형
새롭게 조명하기




팬데믹 시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사회적 소통과 공공PR
9791160183061.jpg


도서명 : 팬데믹 시대, 감염병 대응을 위한 사회적 소통과 공공PR
저자/출판사 : 정의철 , 김현정 , 박영희 , 최선아 , 권종애 ,, 지금
쪽수 : 240쪽
출판일 : 2021-12-03
ISBN : 9791160183061
정가 : 15000

발간사 성민정(한국PR학회 제22대 학회장, 중앙대학교 교수)
서 문 정의철(저술위원장, 상지대학교 교수)

비판적 소통 관점이 필요한 때!
1장 감염병 시대, 헬스커뮤니케이션과 PR의 역할 - 정의철
1. 들어가는 말: 건강 위기와 커뮤니케이션(학)의 위기
2. 감염병의 역사와 인문사회과학적 접근
3. 건강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대안적 관점
4. ‘프레카리아트’의 위기와 인권의 위기
5. 코로나19는 어떤 위기이며,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6. 건강불평등에 대응하는 헬스커뮤니케이션의 역할
7. 감염병 시대, ‘보건소통’과 PR의 역할 및 변화

감염병에도 역사가 있다!
2장 역사와 공익캠페인 사례 고찰을 통한 감염병 극복의 소통 의미 분석 - 김현정ㆍ박영희ㆍ최선아ㆍ권종애
1. 감염병 역사와 사회적 소통의 관계는 무엇인가?
2. 역사 속의 감염병 기록과 극복 방안
3. 감염병 관련 공동체 책임 대응과 소통: 공익캠페인을 중심으로
4. 마치며

감염병 언론 보도와 K-소통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3장 최근 주요 감염병에 대한 언론 보도와 국민 소통: 사스, 신종 인플루엔자, 메르스,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김양중
1. 인류 역사에서의 감염병
2. 최근 국내 주요 감염병 대응과 언론 보도
3. 감염병과 언론 보도

코로나19 백신 가짜 뉴스와의 전쟁!
4장 코로나19 백신 가짜 뉴스의 실태와 공공PR의 역할 - 임유진
1. 가짜 뉴스의 위험성
2. 가짜 뉴스에 대한 기존 논의
3. 유튜브 랭킹 사이트를 이용한 콘텐츠 수집과 언론 기사 활용
4. 유튜브에 나타난 코로나19 백신 가짜 뉴스 소재
5. 다양한 가짜 뉴스 대응 사례
6. 가짜 뉴스 대응을 위한 대안적 방안

확산이론과 코로나19 정보의 관련성은?
5장 미주 한인 이민자들 간의 코로나19 정보 소통: 확산이론과 정보 탐색 채널을 중심으로 - 박슬기ㆍ김도균ㆍ한은정
1. 코로나19 팬데믹, 미주 한인 언론과 커뮤니티의 역할
2. 확산이론을 통해 본 코로나19 정보 흐름의 특성
3. 미주 한인의 코로나 정보 탐색 채널
4. 효과적인 정보 확산을 위한 과제

위험-기회 모형이 주는 해결책이란?
6장 위험-기회 모형과 성공적인 방역소통의 조건 - 안도현
1. 문제해결로서의 소통
2. 왜 위험-기회 모형인가?
3. 실재와 인식의 심리작용
4. 방역소통의 함의
5. 성공적인 소통을 위한 조건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