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수학은 엉터리 수학이다 Math를 해야만 산다 또는 장애인 인식론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K 수학은 엉터리 수학이다 Math를 해야만 산다 또는 장애인 인식론

땅끝
2024-12-25 10:41 99 0

본문




K 수학은 엉터리 수학이다 Math를 해야만 산다
9791138810661.jpg


도서명 : K 수학은 엉터리 수학이다 Math를 해야만 산다
저자/출판사 : 신동현, 좋은땅
쪽수 : 325쪽
출판일 : 2022-06-27
ISBN : 9791138810661
정가 : 15000

머리글

1부 Math를 해야만 산다

Math 시작하기
텍스트 학습 주안점
텍스트별 학습사항 소개 Grade 1/2/3/4/5/6 (초등 수학)
텍스트별 학습사항 소개 PRE-ALGEBRA (대수/수학 입문)
텍스트별 학습사항 소개 ALGEBRA (대수/수학 1)
텍스트별 학습사항 소개 GEOMETRY (기하)
텍스트별 학습사항 소개 ALGEBRA 2 (대수/수학 2)
텍스트별 학습사항 소개 PRE-CALCULUS (미적분 입문)
텍스트별 학습사항 소개 CALCULUS (미적분)

2부 K-수학은 엉터리 수학이다

K-수학은 왜 엉터리 수학인가?
수학은 영어의 개념으로 쓰여진 학문이다. 한국어로는 수학논리를 설명/이해할 수 없다

3부 사실상 모든 학문은 영문으로 습득해야만 한다

서양 학문은 처음부터 영문 텍스트로 배워야 한다 - 영어를 손쉽게 배울 수 있고, 진짜 학문/기술을 터득할 수 있다
영어문맹 탈출하기 - 초등 과정에서 전문 과정까지 50만 원어치의 텍스트 읽기

4부 한국 청년은 왜 무기력한가?

한국어와 영어의 괴리; 번역으로 인한 문명의 불일치 - 이로 인한 결핍과 위험
오늘날 한국어로 된 학문/기술은 먹통의 우물 안 지식에 불과하다 - 21세기 문명의 소프트웨어는 영어이다
무기력한 한국의 청년 - 영어문맹으로 인해 한국 청년은 우물 안 개구리 신세




장애인 인식론
9788985863803.jpg


도서명 : 장애인 인식론
저자/출판사 : 방귀희, 솟대
쪽수 : 239쪽
출판일 : 2022-02-25
ISBN : 9788985863803
정가 : 22000

서문-공정한 세상 가설(just-world hypothesis)의 실현 4

1. 82년생 김원영의 장애인 서사에 나타난 희망과 욕망의 양태
1. 시작하며 15
2. 기초연구 16
1) 문화적 모델
2) 인간관계
3. 장애인으로 살기 20
1) 김원영 생애사 개요
2) 김원영이 경험한 사회
3) 살기 위한 전략
4. 사회와 소통하기 31
1) 잘못된 삶의 반란
2) 세상에 나를 보여 주기
3) 무대는 소통하는 곳
5. 나오며 41

2. 근대소설에 나타난 장애인 인식 리뷰
Ⅰ. 서론 49
Ⅱ. 연구 방법 50
1. 연구 대상
2. 연구 내용
Ⅲ. 연구 결과 61
1. 작품 속 장애인의 특징 분석
2. 문제 분석
Ⅳ. 근대장애인 인식의 특징 70
1. 부정적 인식
2. 긍정적 인식
3. 장애인의 자각
Ⅴ. 결론 및 제언 75
1. 결론
2. 제언

3. 세계적인 장애문인의 장애인 당사자성 탐구
1. 서론 83
2. 선행 연구 84
1) 장애인을 바라보는 관점
2) 세계적인 장애문인의 장애인 당사자성
3. 연구 방법 85
1) 연구 대상 및 방법
2) 연구 대상자의 생애사 요약
4. 연구 결과 92
1) 작가 분석
2) 작품 분석
5. 결론 112

4. 장애인지감수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Ⅰ. 서론 121
Ⅱ. 문헌 고찰 124
1. 장애 접근모델의 변화
2. 장애차별 금지에 대한 법적 근거
3. 장애인관 형성 요인
4. 장애인 차별의 실태
Ⅲ. 연구 방법 131
1. 포커스 집단면접(FGI) 방법
2. 연구 참여자 선정
3.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4. 연구의 엄격성 및 윤리적 고려
Ⅳ. 연구 결과 135
1. 장애에 관한 표현
2. 친밀함과 무관심
3. 장애인에 대한 응대
4. 차별에 대한 감수성
5. 감수성 제고를 위한 대안들
Ⅴ. 논의 및 제언 150

5. 소소해서 더 서글픈 불편- 감각장애인의 의식주 생활을 중심으로
1. 서론 160
2. 선행 연구 161
1) 감각장애의 정의
2) 감각장애인의 접근권 관련 근거들
3) 감각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3. 연구 방법 164
1) 연구 개요
2) 연구 참여자 선정
3) FGI 실시 과정
4)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167
1) 의생활
2) 식생활
3) 주생활
4) 공공생활
5. 결론 및 제언 177
1) 결론
2) 제언

6. 정치인의 장애인 비하 발언이 위험한 이유
1. 정치인 장애인 비하 발언 사례 184
2. 장애인 비하 발언에 대한 대응 190
3. 국가인권위원회 조치 191
4. 장애인 비하 발언 분석 193
5. 정치인의 말은 사회적 메시지 197
6. 의사소통 사례 199
7. 용어 201

7.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1.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이 필요한 이유 209
2.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법적 근거 210
3.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실태 211
4.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효과 212
5.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참여현황 및 욕구조사 212
6.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개선 방안 215

8. 한국인의 장애인 인식
1. 장애인 인식 224
2. 장애인 인식 변화 226
3. 올바른 장애인 인식 237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