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춘의 보물찾기 또는 한국의 전쟁과 과학기술문명
땅끝
2024-12-25 10:41
123
0
본문
김태춘의 보물찾기

도서명 : 김태춘의 보물찾기
저자/출판사 : 김태춘, 행복에너지
쪽수 : 284쪽
출판일 : 2022-02-19
ISBN : 9791156029656
정가 : 20000
4 프롤로그
8 김태춘이 지나온 여러 해 계절들
12 추천사
chapter1 어린 시절의 꿈과 추억
30 깊은 산 눈썰매
35 아이는 아이
40 아버지의 춤
45 첫 자전거
49 안타깝고 아름다운 기억들
52 공부냐 간호냐
54 명문고교에 들어가다
59 슬픔을 딛고
62 또다시 서울
chapter2 성인이 되어 내딛은 첫발
66 그래, 공무원이 되자!
69 첫 부임지 전라북도 김제군
74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76 물난리
82 유아기 때부터다
91 보물찾기
chapter3. 본격적인 서울대 사회생활
102 관악산, 나의 삶
105 빛나는 지성의 공간,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관정관
107 차관(借款)
111 장례식
115 신기술창업네트워크
117 6.15 남북 공동선언
126 총장과의 공개대화
130 농활이 곧 학점
135 봉사로 세계를 열어라
138 공부하고 노래하라
142 뉴욕 뉴욕
146 여학생 휴게실
149 글로벌한 생활을 위해
153 연구개발특구기획단
155 시흥캠퍼스
162 공부냐 일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166 지역사회
169 가족여행
chapter4. 언론 속의 김태춘
176 ‘이웃사랑 실천’… 의왕시 충청향우회,
어려운 시민들 위해 백미햅쌀 100포 기증
179 의왕시에 코로나19 극복 위한 온정의 손길 이어져
182 사회복지사의 날을 맞아 팬데믹 이후 사회복지에 대한 소고
186 장애인의 날을 맞아, 국민의 장애인에 대한 이해도
chapter5. 지금의 김태춘
194 의왕시청 미래위원회 위원
196 의왕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위원 및 정책팀장
199 주민자치위원회 위원 겸 감사
201 의왕시 내손2동체육회 이사 및 자문위원
203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205 숨은 보물찾기
chapter6. 의왕시의 역사와 유래
212 의왕시 각 동의 지명유래
ㆍ자연과 현대화가 어우러진 수채화 같은 청계동
ㆍ모락산과 학의천의 조합 명당터 내손동
ㆍ조상들의 숨소리가 들릴 것 같은 오전동
ㆍ오봉산 정기 받은 의왕시 행정중심의 고천동
ㆍ의왕시 승격으로 4개의 행정동이 된 부곡동
222 의왕시를 대표하는 의왕 자연 8경
232 의왕시에 대하여
chapter7. 명사의 글
238 명사의 글(이원묵 | 김상홍 | 한무영 | 임덕수 | 이재원 | 강현구)
chapter8. 좋은 말씀
265 누군가의 세계를 열어줄 수 있다면
268 박정희와 독도
273 관상의 심상
277 삶의 역설(Paradox, 逆說)
282 출간후기
한국의 전쟁과 과학기술문명

도서명 : 한국의 전쟁과 과학기술문명
저자/출판사 : 노영구, 들녘
쪽수 : 372쪽
출판일 : 2022-07-18
ISBN : 9791159252143
정가 : 33000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1절 군사기술 이해의 중요성과 무기의 분류
2절 한국 무기 및 군사기술 관련 연구 경향
2장 한국 고대~중세의 전쟁과 과학기술
1절 한국사에서 전쟁의 기원과 국가 형성
2절 1~3세기의 고구려의 팽창과 전쟁 양상
3절 4세기 이후 전쟁 양상과 무기체계 변화
1. 4세기 이후 전쟁 규모의 확대
2. 병종과 무기체계의 분화
3. 활과 화살의 기술 발전
4. 대(對)기병 무기의 발전
4절 삼국시대 후반(6~7세기)의 전쟁과 무기체계의 변화
1. 6세기 이후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화와 전쟁
2. 6~7세기 삼국의 무기체계 변화
5절 고려시대의 무기와 군사체제
1. 고려시대의 군사기술 발전의 배경
2. 고려시대의 군사기술과 무기체계
3장 화약무기 시대(고려 말~조선 전기)의 무기
1절 고려 후기의 화약과 화약무기 개발
2절 조선 전기의 군사적 전통과 전술적 특징
3절 조선 전기의 재래식 무기
4절 조선 전기 화약무기 개발의 추이
4장 동아시아 화기 혁명과 조선(16세기말~18세기)
1절 임진왜란 중 절강병법(浙江兵法)의 도입과 신형 단병기
2절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조총 도입과 군사적 변화
1. 동아시아 지역의 조총 전래와 조선의 도입
2. 17세기 초 조선의 조총병 확대
3. 병자호란 이후 조총 중심 전술체계의 완성
3절 17세기 조선의 화포 발달
1. 임진왜란과 중국 화포의 도입
2. 병자호란 시기 청의 홍이포 운용과 조선의 대형 화포 제작
3. 17세기 후반 화포 중심의 전쟁 양상과 조선 화포 증강
4절 화약 수요의 급증과 화약 제조법의 발전
1. 임진왜란과 화약 수요의 급증
2. 17세기 화약 제조법의 발달과 관련 서적의 간행
5절 전쟁의 양상 변화와 신호체계의 정교화
6절 대형 화포의 등장과 조선 후기 성곽 구조 변화
1. 임진왜란의 전투 경험과 새로운 성곽 기술의 도입
2. 17세기 전반 조선의 성곽 구조 변화
3. 17세기 후반 이후 조선의 성곽 구조 변화
4. 18세기 후반 수원 화성에 보이는 새로운 축성법
7절 18세기 군사기술의 발달과 화포의 제작
1. 화기의 성능 향상과 조총 보급의 확대
2. 17세기 말~18세기 대형 화포의 발전
3. 전차, 화차의 제작과 운용
5장 19세기 서구 근대 무기의 수용과 무기 개발
1절 19세기 전반기 화약무기의 활용과 개량
1. 홍경래의 난 시기 화약무기의 운용1
2. 『융원필비』의 화기 개량
2절 고종 초반 군비 증강과 무기 개발
3절 신미양요(1871) 이후 조선의 무기 개발
4절 19세기 후반 서양 무기의 제조 시도와 무기 수입
6장 대량 파괴, 첨단 전쟁의 시대와 한국의 국방과학기술
1절 한국 방위산업 전사(前史)ㅡ일제강점기 말 조선의 군수공업
2절 해방~1960년대 한국의 무기 제조 및 개발
1. 해방 직후 국방사상과 무기 제조 착수
2. 1950년대 군사전략과 무기 개발
3. 1960년대 각 군의 무기 개발과 제조
3절 1970년대(1968∼1979) 자주국방의 모색과 방위산업의 태동
1. 수도 사수론의 대두와 적극방어전략의 채택
2. 국방과학연구소의 창설과 국방기술 개발 착수
3. 율곡사업의 개시와 국방기술의 본격 개발
4. 1970년대 후반 억제전략의 수립과 전략무기 개발론
5. 1970년대 군사기술 개발 사례: 한국형 장갑차와 야포 개발을 중심으로
6. 1970년대 한국의 미사일 개발과 한국의 기술 도약
4절 1980년대(1980∼1993) 공세적 방어사상의 대두와 국방기술의 양상
1. 1980년대 자주국방의 좌절과 공세적 방어전략 채택
2. 1980년대 후반 기동전 사상의 대두
3. 걸프전 이후 한국의 군사전략과 무기 개발
맺음말 1990년대 후반 이후 한국 방위산업의 딜레마와 극복 방향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