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한 가능성이 열리는 라이브커머스호스트 또는 오징어 게임과 콘텐츠 혁명
땅끝
2024-12-25 10:41
109
0
본문
무한한 가능성이 열리는 라이브커머스호스트

도서명 : 무한한 가능성이 열리는 라이브커머스호스트
저자/출판사 : 김정은 , 김지혜, 토크쇼
쪽수 : 224쪽
출판일 : 2022-10-01
ISBN : 9791191299946
정가 : 15000
라이브커머스호스트 김정은의 프러포즈
라이브커머스호스트 김지혜의 프러포즈
홈쇼핑 여신이 왜 라이브 커머스를
23년 차 성우 김지혜, 라이브 커머스에 관심을 가지다
쇼호스트 김정은을 만나다
홈쇼핑의 여신
새로운 도전, 라이브 커머스
언택트 시대의 쇼핑 트렌드, 라이브 커머스
라이브 커머스가 뭔가요
왜 라이브 커머스에 열광할까요
TV는 지고 라방이 뜬다고요
라이브 커머스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라이브 커머스는 어떻게 성장해 왔나요
나에게 맞는 플랫폼은 뭘까요
라이브 커머스의 다양한 플랫폼을 소개해 주세요
대한민국 대표 플랫폼
방송 전 어떤 준비를 해야 하나요
셀러 정하기
대행사 찾기
장비 세팅하기
상품 준비하기
방송 계획 짜기
이벤트 기획하기
실전 노하우를 알려주세요
카메라 마주하기
방송처럼 말하기
상품 부각시키기
어색함 극복하기
다양한 기능 활용하기
시청자와 소통하기
셀링 포인트 잡기
과장하지 않기
중요한 특징 찾기
돌발 상황 대처하기
계절과 시간대 고려하기
전체 시나리오 구성하기
방송 진행하기
생생하게 시연하기
방송 마무리하기
선배의 조언이 필요해요
실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방안이 있을까요
내 방송을 어떤 식으로 알리면 좋을까요
이 직업에 필요한 능력과 적성은 뭐라고 보세요
라이브커머스호스트를 꿈꾸는 학생이라면 어떤 준비를 하는 게 좋을까요
이 직업이 사람들 그리고 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라이브커머스호스트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어떤 역할을 하고 싶으세요
오징어 게임과 콘텐츠 혁명

도서명 : 오징어 게임과 콘텐츠 혁명
저자/출판사 : 정길화 , 서정민 , 홍경수 , 임종수 , 이성민 ,, 인물과사상사
쪽수 : 304쪽
출판일 : 2022-02-28
ISBN : 9788959066285
정가 : 17000
머리말 OTT 시대를 선도하는 킬러 콘텐츠
1장 서사적 관점에서 본 〈오징어 게임〉 정길화
넷플릭스 52일간 세계 1위의 위엄
〈댈러스〉와 〈오징어 게임〉 그리고 퀄리티 텔레비전
〈오징어 게임〉의 성공 방정식은?
〈오징어 게임〉의 온상은 한국 사회
너무나도 진솔한 ‘저자 직강’
〈오징어 게임〉 톺아보기
〈오징어 게임〉 참가자가 456명인 이유…456명을 찾아서
“이게 머선 129”
에필로그
2장 〈오징어 게임〉 신드롬 취재기 서정민
한국 문화, 주류가 되다
믿고 보는 감독, 그러나 아쉬움 반 재미 반
호평 일색인 외국과 달리 엇갈린 국내 반응
‘〈오징어 게임〉과 쌍용차 해고 노동자, 그리고 함께 살자’
실재한 참사 다룬 오락물을 어떤 태도로 소비할 것인가
‘〈오징어 게임〉의 빛과 그림자’
엄청난 성공의 후폭풍, 불공정 계약 논란
K-콘텐츠는 거대한 흐름이 될 수 있을까?
3장 세계는 〈오징어 게임〉을 어떻게 해석했나? 홍경수
한국 영상 문화의 역사를 새로 쓴 〈오징어 게임〉
〈오징어 게임〉은 왜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을까?
〈오징어 게임〉은 ‘K스러움’의 혼합물
사회 규범 비평: 왜 한국의 학부모 단체는 잠잠할까?
페미니즘 비평: 서사의 풍요로움 vs 빈약함
신화 이데올로기 비평: 공정하다는 믿음, 과거는 좋았다는 믿음
기호학적 비평: 왜 지독하게 폭력적인 영상이 판타지로 느껴질까?
스타 비평: 누구의 연기가 가장 뛰어난가?
영상 리터러시와 플랫폼 자본주의
4장 플랫폼 리얼리즘의 세계: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읽기 임종수
〈오징어 게임〉, 플랫폼 리얼리즘의 미학
〈오징어 게임〉, 신자유주의의 플랫폼, 규칙이라는 적
〈오징어 게임〉, 서사극과 낯설게 하기
〈오징어 게임〉, 비루함의 게이밍
플랫폼 리얼리즘, 서사극적 시청의 정동
디지털 자본주의 품 속의 자율예술
5장 〈오징어 게임〉은 한국 드라마를 어떻게 바꿀까? 이성민
〈오징어 게임〉은 기존의 드라마 한류와 무엇이 다를까?
아시아 중심의 셀러브리티 한류를 넘어 새로운 이야기 한류로
글로벌 텔레비전 넷플릭스, 영상 생산과 소비를 바꾸다
취향 중심 콘텐츠의 성공 가능성을 보여준 〈오징어 게임〉
〈오징어 게임〉의 글로벌 팬덤이 말해주는 것
글로벌 미디어스케이프의 변동과 새로운 시청자의 성장
드라마 한류는 어디를 향해 가는가
6장 〈오징어 게임〉의 경제 효과 1조 원이 말하지 않는 것들 김윤지
산업이 된 문화, 숫자가 된 콘텐츠 가치
콘텐츠의 경제 효과 추정은 왜 어려울까?
경제 효과를 이토록 강조했던 이유
그토록 필요하다면, 직접 추정 방식을 만들어보자
넷플릭스가 얻은 1조 원+알파, 시청 1인당 약 8,000원
넷플릭스가 발표한 한국 투자의 경제 효과, 접근 방식은 우수했으나
생산 유발과 부가 가치 유발 중복 계산, 30퍼센트 이상 부풀린 경제 효과
경제 효과 부풀리기의 덫에서 벗어나는 길
이제는 콘텐츠 산업 ‘내부’의 경제성을 이야기할 때
OTT 등장으로 달라진 제작비 조달 구조, 그 명과 암
국내 투자 구조 정착해 콘텐츠 산업의 ‘스마일 커브’ 살려야
2012년 〈강남 스타일〉 1조 원 vs 2021년 〈오징어 게임〉 1조 원
7장 드라마 산업적 관점에서 본 〈오징어 게임〉 유건식
최초, 최장 1위, 〈오징어 게임〉의 화려한 등장
〈오징어 게임〉이 나오기까지, 10년 사이 달라진 시선
넷플릭스와의 조율
〈오징어 게임〉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오징어 게임〉의 성과
〈오징어 게임〉의 한계
넷플릭스와 한국 창작자들의 공생을 기대하며
8장 황동혁 감독 인터뷰 서정민
넷플릭스가 공개한 인터뷰
한겨레 인터뷰 기사와 인터뷰 전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