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한 번 깜빡 또는 아이는 언제나 옳다
땅끝
2024-12-25 10:41
114
0
본문
눈 한 번 깜빡

도서명 : 눈 한 번 깜빡
저자/출판사 : 이성수, 북인
쪽수 : 160쪽
출판일 : 2022-05-08
ISBN : 9791165121419
정가 : 10000
1부 고양이의 식사는 얼마나 위대한 고행이냐
반가사유상 · 13
하기야 동백꽃도 · 14
삶은 종잇조각 · 16
멀고 먼 중화반점 · 18
사이 · 20
그까짓 · 21
양수리행 · 22
화천 가는 길 · 24
폭포 · 27
꽃의 명함 · 28
꽃들은 · 29
고양이의 봄날 · 30
봄날을 보내는 방법 · 32
봄꽃 · 33
폐문 정진 · 34
달빛 · 36
제부도 · 38
운악산 현등사 · 40
2부 다시 눈을 깜빡이고 말았다
눈 한 번 깜빡 · 45
부리나케 · 46
월식 · 47
오래된 아이 · 48
시 공부 시간 · 50
양말 · 54
버려진 가구 · 55
노인의 열쇠 세 개 · 56
오후 4시 · 57
허물어진 시 · 58
그림자를 버리다 · 60
시집 왔다 · 62
아득한 · 64
빌어먹을 · 65
땅거울 · 68
물고기는 눈을 감지 않는다 · 69
하하하, 아버지 · 72
미사일 · 74
열대야 · 76
3부 내장을 드러내놓는 울음은 손가락 끝까지 시리다
피는 꽃 · 79
침묵의 경전 · 80
문신 · 81
낮과 밤의 깊이 · 82
동구릉 · 84
벽 · 86
장마 · 87
중생대 쥐라기 허니문 · 88
얻어터진 날 · 89
내가 아직 못 쓴 시 · 90
흔들리는 흙 · 92
송광사에는 풍경이 없다 · 94
춤을 추고 있었구나 · 96
기린의 골목 · 98
고드름 · 100
9월 · 102
일상의 방향 · 104
지렁이 · 106
끈적끈적하게, 빌어먹을 · 107
4부 향기 나는 집이 공중에 떠 있다
염색장 · 113
향기 나는 집 · 114
계엄령 내린 날 · 116
오래된 빨래 · 118
십자가와 거미줄 · 120
종점 · 122
돌아가는 길 · 125
단풍 · 126
길 · 128
의도하지 않읔 오류 · 130
일출의 그늘 · 132
꽃산적 · 134
어쩌자고 · 135
발문 “하하하 성수야! 우리 막걸리 한잔하자” / 김정수 · 136
아이는 언제나 옳다

도서명 : 아이는 언제나 옳다
저자/출판사 : 천근아, 위즈덤하우스
쪽수 : 272쪽
출판일 : 2022-02-16
ISBN : 9791168122307
정가 : 15000
저자의 말 : 아이들이 간절하게 보내는 신호
Part 1. 아이가 바라는 것, 부모가 바라는 것
부모의 반응이 아이의 가치관을 바꾼다
정신이 건강한 아이들의 특징
타고난 기질에 따른 양육이 중요하다
아이의 기질을 파악하는 방법
그릇이 큰 아이로 키우려면
아이에게 무한한 신뢰를 보인다는 것
아이의 사랑 배터리를 충전하는 법
아이의 세상을 그대로 인정하기
아이를 속박하지 않으려는 노력
사소한 차이를 감지했을 때
아이는 대단한 것을 바라지 않는다
엄마가 바라는 것은 오직 네 행복뿐이야
따뜻함과 엄격함을 함께 갖춘 부모
아빠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양육의 세 가지 기본 원칙
부모가 해야 할 일 vs 하지 말아야 할 일
Part 2. 긍정 육아의 첫 번째 원칙 : 반응성
“아이의 신호에 민감하게 공감하는 법”
아이만의 발달 시간표를 따를 것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인정하기
아이의 성장을 위한 최고의 방법
어린이집에는 언제부터 보내야 할까?
아이가 보내는 신호에 민감해지기
엄마한테는 네가 1번이야
아이의 관계 욕구를 채워줄 것
아이가 웃으면 같이 웃기
어떤 고민도 한심하지 않다
속상한 마음부터 이해해주기
기다리는 훈련을 시킬 때
당황하지 않고 차분하게
기다릴 줄 아는 아이로 키워야 하는 이유
‘너를 이해한다’는 메시지
훈육과 학대의 차이
소통의 첫걸음
기분 좋은 대화 상대가 되는 방법
서툰 표현도 진지하게 받아주기
독이 되는 칭찬과 약이 되는 칭찬
아이가 변한다는 신호
감정 표현을 잘하는 아이가 건강하다
Part 3. 긍정 육아의 두 번째 원칙 : 민감성
“아이의 모든 행동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아이의 행동에 ‘어느 날 갑자기’는 없다
숨어 있는 욕구를 발견하기
생떼와 불안을 구분할 것
아이의 약한 신호를 놓치지 않으려면
아이의 표정이 어두운 날에는
밥을 먹으면서 아이의 ‘이야기 배’까지 채워줄 것
자기 실수를 스스로 돌아보도록
사랑받고 싶다는 반어적 표현
화가 나서 방문을 열지 않는 아이에게는?
고집 센 아이의 속마음
큰아이가 동생을 괴롭히면
외출만 하면 아이에게 자꾸 연락한다고요?
아이는 정말로 스마트폰이 가지고 싶은 걸까?
아이가 게임에 빠지는 이유는 따로 있다
행동과 옷차림을 훈육할 때
왜 거짓말하는지부터 파악할 것
내 아이가 학교 폭력 가해자라면
집중력이 떨어지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일까?
또래와 어울리지 못하고 사차원이라면
아이가 자해를 반복한다면
Part 4. 긍정 육아의 세 번째 원칙 : 일관성
“사랑받는다고 깨닫는 순간, 아이는 달라집니다.”
부모가 항상 화낸다고 말하는 아이
아이를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면
충분히 사랑받은 아이가 잘 독립한다
아이를 스스로 움직이게 하는 힘
아이와 협상할 때는 생각해볼 시간을 줄 것
아이는 이미 다 알고 있다
아이와 현명하게 협상하는 기술
“안 돼”를 잘 가르치는 법
진심을 전달하는 사소한 방법
부모가 먼저 불안해져서는 안 된다
자신의 진짜 모습을 알아야 변할 수 있다
마음속으로도 아이를 한심하게 여기지 말 것
잘못은 직접적인 지적 대신 간접적으로
잔소리하기 전에 딱 세 번만 믿어줄 것
아이를 혼내야 할 때 지켜야 할 철칙
체벌은 아이의 뇌에 흉터를 남긴다
아동기 트라우마는 평생 악영향을 끼친다
아이의 회복력부터 튼튼하게 다질 것
사랑받는다고 깨닫는 순간 달라진다
아이를 강하게 키우고 싶다면
공부를 좋아하는 아이로 키우는 법
공부 발동이 안 걸리는 아이 vs 공부 의욕이 없는 아이
“엄마, 아빠가 바라는 꿈 말고 네 진짜 꿈은 뭐니?”
아이의 꿈을 응원해주기
Part 5. 당신은 충분히 좋은 부모입니다
완벽한 부모도, 완벽한 아이도 없다
엄마 되기는 이토록 어렵다
있는 그대로 아이를 받아들이기
아이들은 스스로 변하고 진화합니다
부모는 아이의 약점을 받아들여주는 사람
도움은 서서히 줄이되 관찰은 지속할 것
우리는 이미 충분히 좋은 부모다
부모도 위로받아야 한다
일하는 부모에게 필요한 ‘문자 육아’
부모이기에 먼저 행복해야 한다
누군가의 거울이 된다는 것
아이와 함께 부모도 성장해야 한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