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고교학점제를 말한다 또는 바디사운드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팩트체크, 고교학점제를 말한다 또는 바디사운드

땅끝
2024-12-25 10:41 92 0

본문




팩트체크, 고교학점제를 말한다
9791189404741.jpg


도서명 : 팩트체크, 고교학점제를 말한다
저자/출판사 : 정미라 , 김성천 , 김호진 , 박시영 , 백승진, 맘에드림
쪽수 : 198쪽
출판일 : 2022-10-13
ISBN : 9791189404741
정가 : 13500

저자의 글_ 입시 너머 우리가 주목해야 할 고교학점제의 오해와 진실

오해와 진실 01 개념적 이해 _학점제라면 이제 고등학교도 대학교처럼 가르치고 배운다는 뜻인가?
대학의 전공별 교육과정 vs 고등학교의 맞춤형 선택 교육과정 / 대학교의 F학점 vs 고교학점제의 최소 성취수준 / 고교학점제에서 단순히 ‘과목 선택’만 강조되면 안 되는 이유

오해와 진실 02 고과목 선택과 진로_고교학점제의 과목 선택은 섣부른 진로 결정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진로 고민보다 일단 대학 합격이 목표였던 과거의 고등학교 교육 / 진로를 정하면 무조건 전공 관련 과목만 골라 들어야 할까?/ 앞으로 학생들은 한번 결정한 진로를 바꿀 수 없게 되나? / 고등학교 교육이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가 되지 않도록

오해와 진실 03 수월성 교육_고교학점제도 뛰어난 학생만 주목하고 그들에게만 더욱 유리한 제도 아닌가?
상위권 학생을 위한 심화형 과목들만 많아지지 않을까? / 고교학점제는 ‘모든 학생’을 위한 책임교육을 지향한다 / 책임교육 구현을 위해 노력하는 학교들을 만나다 / 책임교육은 왜 중요하고,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할까?

오해와 진실 04 입시와의 부조화_우선 대학입시부터 혁신하고 고교학점제를 도입해야지 지금은 시기상조 아닐까?
왜 입시 주요 과목 대신 선택과목을 개설해야 하냐고?/ 어차피 분위기가 정시 확대인데, 고교학점제가 제대로 운영되겠어?/ 과목 선택권 확대, 입시를 넘어 진로교육의 내실화로!/ 언제까지 대학입시 탓만 하며 혁신을 머뭇거릴 것인가?

오해와 진실 05 일반화 문제_연구학교니까 가능했던 거지 일반고에서 고교학점제가 제대로 될 수 있겠어?
세상에는 이름만 연구학교도 있고, 멋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일반고도 있다 / “그땐 그랬지…” 화려했던 연구학교 시절이 끝나고 학교는 어떻게 됐을까?/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해 단위학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제언

오해와 진실 06 교원업무 과중_지금도 할 일이 태산인데, 다과목 개설로 인한 부담까지 우리만 감당하라고?
‘교육과정’을 넘어 포괄적 관점에서 고교학점제를 바라보다 / 교육과정부는 왜 고교학점제 전담부서처럼 여겨지게 되었나?/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은 과목 편제표 이상의 것들을 포괄한다 / 고교학점제는 소통과 협력이 원활한 민주적 학교 문화를 기반으로 꽃피운다 / 고교학점제를 지렛대로 교육과정을 넘어 총체적 교육 혁신을 위하여

오해와 진실 07 학교 공간혁신_우리 학교는 오래된 건물에 교실도 부족한데, 고교학점제 운영이 가능할까?
이런 구닥다리 공간에서 고교학점제를 하라고요? / 많은 교실과 선진화된 공간 확보가 고교학점제의 필수 조건일까? / 과목 개설은 학교의 운영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교과교실제는 무조건 선진화된 공간혁신이 이루어져야 가능할까? / 학교는 어떤 공간이어야 하는가?

오해와 진실 08 제도적 이질감_교육 혁신은 지금도 하고 있는데, 왜 굳이 생소한 고교학점제를 도입해야 하지?
우리나라에서 고교학점제는 정말 뜬금없는 제도일까? / 이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을 강조하였다 / 혁신교육으로 이미 지역사회와의 협력체제가 구축되고 있다 / 책임교육은 학교 본연의 책무이다 / 고등학교 교육은 학생들이 꿈을 탐색하고 준비하는 과정이다 /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은 교육 3주체가 함께하는 과정이다 / 교육지원청의 학교 지원 역할이 강화되었다

오해와 진실 09 현장의 저항감_고교학점제도 난제 속을 표류하다 결국 흐지부지되지 않을까?
완벽에 가까운 총론과 저항하는 현장, 무엇이 문제인가? / 교육과정의 불편한 관행, 학교알리미는 이미 알고 있다? / 고교학점제의 ‘찬반’ 쟁점은 무엇인가? / 난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실천 전략은 무엇인가?

참고자료




바디사운드
9791168320062.jpg


도서명 : 바디사운드
저자/출판사 : 이윤석 , 김병전, 플랜비디자인
쪽수 : 268쪽
출판일 : 2022-02-03
ISBN : 9791168320062
정가 : 16000

프롤로그 99%가 아닌 100% 효과적인 발성법 - 이윤석 006
바디사운드는 단순한 발성을 넘어선 삶의 양식 - 김병전 012
추천사 017

1장 마인드풀 바디사운드의 기본, 온전한 발성
1 발성의 원리 031
2 온전한 발성을 위한 4가지 마인드셋 035
3 내면의 태양을 깨우는 발성 051
4 마음챙김과 함께하는 올바른 발성 055
5 온전한 자기 발견을 향한 발성 연습 060
6 건강한 발성 훈련 과정 068
7 발성과 운동의 공통점 071

2장 마인드풀 바디사운드의 4가지 핵심 요소
1 주의력 079
2 몸 올바로 준비하기 092
3 호흡 100
4 이완 113

3장 마인드풀 바디사운드 훈련하기
1 노래하듯 말하기 121
2 웃으면서 발성 원리 깨치기(허밍 & 개방) 123
3 목 힘 빼기Ⅰ - 모음 순화 133
4 노래하듯 말하기 실전 훈련 145
5 T.B.U(True But Useless) 157
6 말하듯 노래하기 164
7 목 힘 빼기Ⅱ - 두성밸런스 167
8 말하듯 노래하기 위한 허밍 프로그램 3단계 178
9 허밍 프로그램 3단계 보충 훈련 189
10 말하듯이 노래하기 위한 발성 훈련 193
11 말하듯이 노래하기 위한 최종 가창 적용 훈련 202

4장 발성장애의 이해와 발성 개선 훈련
1 주요 발성장애 이해 217
2 발성 개선 훈련 225
3 발성 개선 훈련 - 마음 개선 230
4 발성 개선 훈련 - 몸 개선 235
5 발성 개선 훈련 - 발성 개선 242
6 두성밸런스와 허밍 프로그램을 통한 성대결절 교정 사례 247
7 발성에 관해 가장 많이 받는 질문 BEST 10 253

에필로그 262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