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 위기,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또는 하룻밤에 읽는 동양 철학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한일 관계 위기,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또는 하룻밤에 읽는 동양 철학

땅끝
2024-12-25 10:41 125 0

본문




한일 관계 위기,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9788942300020.jpg


도서명 : 한일 관계 위기,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저자/출판사 : 도츠카 에츠로, 지식산업사
쪽수 : 172쪽
출판일 : 2022-07-20
ISBN : 9788942300020
정가 : 12000

일러두기 ● 4
한국어판 서문 ● 5
머리말 ● 8
추천사 ● 15

제1장 한일관계 위기의 진정한 원인 ● 29
원래는 민간의 민사사건 30/ 아베 수상의 진의 33/ 이해할 수 없는 수수께끼 36/ 국회에서 일어난 일 42

제2장 식민지지배 책임이란? ● 45
대법원 판결의 핵심 47/ 일본 정부의 입장 52/ 한일 교섭기록 원본 확인 65

제3장 언어의 마법? ● 77
‘불법적 식민지배’ 판단의 중요성 78/ 논점 바꿔치기 85

제4장 식민지지배가 ‘불법’인 이유는? ● 89
1905년 11월 17일 〈한일협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92/ 이 연구의 파생 효과 99

제5장 기록(기억)이 사라져 간다 ● 101
역대 정권의 역사인식의 심화 102/ 아베 정권의 식민지지배에 대한 침묵 103/ 간 나오토 수상 담화(2010년)는 어디에? 104/ 역사 망각의 시대와 스가 요시히데 정권 105/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110

제6장 과거를 미래에 이어 가기 위해서는 ● 111
‘기억·책임·미래’ 기금 114/ 과거를 미래에 이어 가는 사상의 공유 119/ 일본의 잠재력에 대한 기대 120/ 새로운 접근 124/ 안중근 대한의군 참모중장의 유묵과의 만남 126/ 석비가 묻고 있는 것 133/ 아베 신조 수상의 전후 70주년 담화(2015년) 135/ 응답책임을 다한다는 것 142/ 가져야 할 마음가짐은? 143

맺음말 ● 149
자료 ● 152
역주 ● 163
저·역자 소개 ● 169




하룻밤에 읽는 동양 철학
9791192376011.jpg


도서명 : 하룻밤에 읽는 동양 철학
저자/출판사 : 양승권, 페이퍼로드
쪽수 : 448쪽
출판일 : 2022-04-14
ISBN : 9791192376011
정가 : 18000

머리말 009

1장 개개인의 도덕의식을 사회 정의로 꽃피우자, 유가

동아시아 철학의 아버지, 공자 - 015
공자 철학의 알파이자 오메가, 인 - 024
상반된 가치의 소통 - 032
인간의 본성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맹자와 순자 - 040
* 동아시아의 바이블, 『논어』 - 052

2장 자연과 하나가 되기를 추구하다, 도가
지식과 도덕은 권력의 앞잡이다 - 057
너는 자연 그대로 아름답다 - 067
모름을 지키자, 모름지기 - 075
꿈이냐! 현실이냐! - 083
만물과 하나 되는 나 - 091
* 장자의 ‘천인합일’ 사유와 자연 생태계 복원 - 100

3장 평화주의의 극한, 묵가
노동자로 구성된 철학 공동체의 탄생 - 105
서로서로 사랑하고, 서로서로 이롭게 하라 - 114
죽음으로 도의를 실천하다 - 122
* 묵자에 대한 평가 - 130

4장 법에 따른 통치로 세상 바로 세우기, 법가
현실과 미래를 중시한 철학 - 135
천하 통일의 시금석이 되다, 한비자 - 145
황제 지배 질서의 기틀을 세우다 - 157
* 해충 다섯 마리와 잘못 열 가지 - 164

5장 유교와 도가 사이의 한판 대결, 중국 철학
사상 통합의 선구자, 황로 도가 - 169
유교의 국교화를 이루어내다, 동중서 - 177
유가와 도가의 하이브리드 철학, 위진 현학 - 187
* 왕조 교체는 천명에 따른 것이다 - 196

6장 우주와 자아의 합일을 꿈꾸다, 인도 철학과 불교
윤회를 너머서 해탈로, 베다 사상 - 201
인간은 왜 번뇌에 시달리는 것일까, 석가모니 - 211
중국 불교의 특이성, 분파불교 - 220
중국적인 너무나 중국적인, 선종 - 228
* 자이나교 - 240

7장 ‘존재’와 ‘의식’의 관계를 탐색하다, 신유교
유불도의 하이브리드 철학, 성리학 - 245
성리학의 집대성자, 주희 - 253
마음 철학의 탄생, 심학 - 263
완전한 해방을 꿈꾸다, 양명 좌파 - 272
* 신유교는 유불도의 통합 사상이다 - 284

8장 중국 근현대 철학과 서양의 근대성
명말청초의 철학 사조 근대를 예비하다 - 289
서구 제국주의와 중국 근대 - 302
중국 전통 철학과 서양 철학의 만남 - 313
현대 중국의 딜레마 계몽이냐! 구국이냐! - 323
* 태평천국운동과 비밀결사의 역사적 역할 - 334

9장 전통적 ‘심정’과 근대적 ‘형식’의 기묘한 만남, 일본 철학
일본 근대 철학의 맹아 - 339
복고와 혁신의 이중주 - 348
국가 종교로서의 신도와 천황의 역할 - 357
‘인간 본능의 국유화’로서 ‘국체’ - 367
* 「교육칙어」 - 376

10장 유불도의 융합, 한국 철학
한국 전통 철학과 종교의 원형, 무교 - 381
통섭을 위한 길, 원효의 화쟁 사상 - 392
조선 유학의 3걸, 서경덕, 이황, 이이 - 402
동서양 철학의 통섭, 정약용 - 413
동아시아 민주주의 이념의 실마리 - 425
* 정약용의 과거제도 비판 - 436

동서양철학사 연표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