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궁와집 또는 지역사와 세계사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0
0
본문
역주 궁와집
도서명 : 역주 궁와집
저자/출판사 : 박규문, 다운샘
쪽수 : 528쪽
출판일 : 2023-11-30
ISBN : 9788958175353
정가 : 50000
◆ 축간사 / 3
◆ 발간사 / 4
◆ 일러두기 / 6
◆ 『窮窩集』 해설 / 33
◩ 궁와집(시) ★1-200 [원전 1a-23a (5-49p)
〈1〉 시향역(尸鄕驛)에 걸어 이르러 남면(南面)했던 옛날 일을 말하다 [行至尸鄕驛 說南面故事] 61
〈2〉 혜재(惠齋, 서재 이름)에서 가을밤에 택경(宅卿) 원태규(元泰揆)를 만나 조촐하게 술을 마시다[惠齋秋夜 遇元宅卿(泰揆)小酌] 65
〈3〉 건재(健齋) 심유현(沈惟賢)이 만든 둥근 부채에 그가 쓴 시의 운에 맞추어 시를 지어 보내다[健齋沈友惟賢造團扇 步其韵送呈] 65
〈4〉 도사(都事) 이지윤(李志尹) 만사[挽李都事志尹] 생략 66
〈5〉 이공(李公)의 효행을 표창하는 첩. 서문을 아울러 쓰다[李公旌孝帖 幷序] 67
〈7〉 탄핵을 받고 희롱하여 읊다[被彈戱吟](2) 70
〈8〉 중온(仲蘊) 권형(權瑩)이 시를 지어 실직(失職)을 위로해주어서 장난삼아 차운하여 보답하다[權仲蘊(瑩)以詩唁失職 戱次以報](1) 71
〈9〉 중온(仲蘊) 권형(權瑩)이 시를 지어 실직(失職)을 위로해주어서 장난삼아 차운하여 보답하다[權仲蘊(瑩)以詩唁失職 戱次以報](2) 71
〈10〉 중온(仲蘊) 권형(權瑩)이 시를 지어 실직(失職)을 위로해주어서 장난삼아 차운하여 보답하다[權仲蘊(瑩)以詩唁失職 戱次以報](3) 72
〈11〉 강 상사 만사[挽姜上舍] 생략 73
〈12〉 교외에서 지내는 가을 일[郊居秋事](1) (계묘(癸卯, 1723).) 73
〈13〉 교외에서 지내는 가을 일[郊居秋事](2) 74
〈14〉 제목 없이[無題] 74
〈15〉 자신을 조소하다[自嘲] 75
〈16〉 한자삼(韓子三)의 시운을 차운하다[次韓子三韵] 75
〈17〉 이성서(李聖瑞) 귀령(龜齡)이 찾아온 것에 감사하여 시를 짓다[謝李聖瑞(龜齡)枉顧] 76
〈18〉 두 손녀를 추억하다[憶兩女孫](1) 76
〈19〉 두 손녀를 추억하다[憶兩女孫](2) 76
〈20〉 눈을 읊다[咏雪] 77
〈21〉 동짓달 7일에 한가히 읊다[至月七日漫吟] 78
〈22〉 제목 없이[無題](1) 78
〈23〉 제목 없이[無題](2) 79
〈24〉 섣달그믐에 장난삼아 짓다[歲夕戱題] 80
〈25〉 사촌형 박자후(朴子厚)의 시운에 차운하여 송별하다[次堂兄子厚韵送別](1) 80
〈26〉 사촌형 박자후(朴子厚)의 시운에 차운하여 송별하다[次堂兄子厚韵送別](2) 81
〈27〉 좌랑(佐郞) 유응환(柳應煥)의 만사[挽柳佐郞應煥] 81
〈28〉 좌랑 김수문 만사[挽金佐郞秀文](1) 82
〈29〉 좌랑 김수문 만사[挽金佐郞秀文](2) 83
〈30〉 사국(史局)에서 숙직하면서 자신을 조롱하다[直史局自嘲] 83
〈31〉 이자연(李子淵) 형제를 그리워하다[有懷李子淵兄弟] 84
〈32〉 계양(桂陽)에 올라와 이성서의 시운에 차운하다[登桂陽 次李聖瑞韵] 84
〈33〉 겨우 고해에서 벗어나 바로 고향집으로 내려가다[纔出苦海 卽下鄕舍] 85
〈34〉 서 부원군(徐府院君) 개장(改葬) 만사[徐府院君改葬挽] 생략 85
〈35〉 성(成) 대간(臺諫)이 산음에 부임해 감에 부쳐 보내다[寄送成臺出赴山陰] 86
〈36〉 신복초(申復初)의 만사[挽申復初] 87
〈37〉 황해도 장련현(長連縣)에 부임하여 망일루(望日樓)에 오르다[莅任長連 登望日樓] 88
〈38〉 자신을 조소하다[自嘲] 생략 88
〈39〉 망일루[望日樓] 89
〈40〉 재령(載寧) 제관에 차임되어 말 위에서 즉흥으로 읊다[載寧差祭 馬上口號] 89
〈41〉 흥률(興栗) 원님 형제와 같이 서천에 모여 술을 마시고 이어서 물고기를 구경 하였다[興栗倅兄弟 會飮西川 仍觀魚] 90
〈42〉 대간(臺諫) 정정숙(鄭正叔) 광제(匡濟)가 서울로 올라가는 것을 전송하다[送鄭臺正叔匡濟之京] 91
〈43〉 시관(試官)에 차임 되어 신천(信川)에 부임하다[差試官赴信川] 92
〈44〉 가을날 송정(松亭)에서 벼를 보다[秋日松亭觀稼] 92
〈45〉 현재(縣齋: 고을 관사)에서의 가을 회포[縣齋秋懷] 93
〈46〉 가을날에 안악(安岳)의 이요루(二樂樓)에 오르다[秋日 登安岳二樂樓] 93
〈47〉 봄날에 한광중(韓光仲)과 원정사(圓靜寺)에서 노는데 어느 스님이 시를 지어 주어 바로 붓을 휘둘러 차운하다[春日與韓光仲遊圓靜寺 一僧呈詩 走筆次之] 94
〈48〉 망일루(望日樓)에서 즉시 불러 짓다[望日樓口占] 95
〈49〉 석담(石潭) 96
〈50〉 조격(曺格)에게 주다[贈曺格] 97
〈51〉 정대간(鄭臺諫)이 보살피던 기생 봉(鳳)이 떠나겠다고 고하여 장난삼아절구(絶句) 1수를 지어 주어 정대간의 책상에 두게 하였다[鄭臺所眄鳳妓告行 戱贈一絶 要致鄭臺案] 97
〈52〉 임금의 부름을 받아 부로들을 남겨두고 작별하다[承召留別父老](1) 98
〈53〉 임금의 부름을 받아 부로들을 남겨두고 작별하다[承召留別父老](2) 98
〈54〉 임금의 부름을 받아 부로들을 남겨두고 작별하다[承召留別父老](3) 99
〈55〉 박중명(朴重蓂)을 작별하며 준 시[贈別朴重蓂] 99
〈56〉 율천(栗川) 종인(宗人)들이 종회(宗會)를 베풀고 초대하기에 잔치에 달려가 시를 쓰다[栗川宗人設宗會邀之 赴宴走筆] 99
〈57〉 감사 이집(李潗) 만사[挽李監司潗] (1727년(丁未).) 100
〈58〉 교외에 살며 윤원서(尹元瑞)에게 차운하다[郊居次尹元瑞](1) 101
〈59〉 교외에 살며 윤원서에게 차운하다[郊居次尹元瑞](2) 101
〈60〉 직장 이진좌(李眞佐) 만사[挽李直長眞佐] 생략 102
〈61〉 진사 정운성(鄭震聖) 만사[挽鄭進士震聖] 103
〈62〉 가을날에 홀로 앉아[秋日獨坐] 103
〈63〉 새봄에 중온(仲蘊)의 편지를 받고 시로 답하다[新春得仲蘊書 以詩答之] 104
〈64〉 중온에게 차운하여 올리다[步呈仲蘊] 105
〈65〉 오윤지와 오윤주가 보내온 시에 차운[次吳㣧之㣧周見寄韵] 105
〈66〉 시골에서 멋대로 읊은 율시 5수[郊居謾吟 五律](1) 106
〈67〉 시골에서 멋대로 읊은 율시 5수[郊居謾吟 五律](2) 106
〈68〉 시골에서 멋대로 읊은 율시 5수[郊居謾吟 五律](3) 107
〈69〉 시골에서 멋대로 읊은 율시 5수[郊居謾吟 五律](4) 108
〈70〉 시골에서 멋대로 읊은 율시 5수[郊居謾吟 五律](5) 108
〈71〉 비 온 뒤에 꽃이 시들음을 애석해 하며[雨後惜花衰](1) 109
〈72〉 비 온 뒤에 꽃이 시들음을 애석해 하며[雨後惜花衰](2) 110
〈73〉 조용한 중에 즉시 잎으로 불러 짓다[靜中口號](1) 110
〈74〉 조용한 중에 즉시 잎으로 불러 짓다[靜中口號](2) 110
〈75〉 조용한 중에 즉시 잎으로 불러 짓다[靜中口號](3) 111
〈76〉 절도사 이봉상을 애도하다[哀李節度鳳祥] 생략 111
〈77〉 감사 황선을 애도하다[悼黃監司璿) 112
〈78〉 첩보를 듣고 오윤지의 집에 모여 작은 술자리를 마련하고 기쁨을 기록하다[聞捷報 會吳胤之家 小酌志喜](1) 113
〈79〉 첩보를 듣고 오윤지의 집에 모여 작은 술자리를 마련하고 기쁨을 기록하다[聞捷報 會吳胤之家 小酌志喜](2) 114
〈80〉 개선하는 날에 경하 대열에 참여하여 임금의 거동을 영광스러이 바라보다[獻凱日叅賀列 光瞻御儀] 114
〈81〉 병든 이후에 간략히 술잔을 들다[病後小酌](1) 115
〈82〉 병든 이후에 간략히 술잔을 들다[病後小酌](2) 115
〈83〉 민여필의 방문을 기뻐하며[喜閔汝弼過訪] 116
〈84〉 병든 뒤에 한가히 읊다[病後謾咏](1) 116
〈85〉 병든 뒤에 한가히 읊다[病後謾咏](2) 117
〈86〉 병든 이후에 입으로 불러 시를 지어 이웃 사람 이중겸에게 주어 닭을 선물한 것에 사례하다[病後口號 贈隣人李仲謙 謝惠鷄] 117
〈87〉 비 온 뒤에 소나무 밑에서 더위를 씻으며 조촐하게 술 마시다[雨後滌煩松亭小飮] 118
〈88〉 일신재에서 이상서의 시운을 추후에 차운하여 한용회에게 주고 이어서 소년선비들을 면려하다[日新齋追次李尙書韵 贈韓用晦 仍勉少年諸生](1) 119
〈89〉 일신재에서 이상서의 시운을 추후에 차운하여 한용회에게 주고 이어서 소년선비들을 면려하다[日新齋追次李尙書韵 贈韓用晦 仍勉少年諸生](2) 120
〈90〉 한가하게 읊다[謾吟] 120
〈91〉 큰비가 내려 수재가 있을까 두려워하며[大雨恐有水灾] 121
〈92〉 큰비가 사흘 밤낮으로 내려 앞뒤 너른 들판이 모두 잠기다[大雨三晝夜 前後廣野皆沉](1) 121
〈93〉 큰비가 사흘 밤낮으로 내려 앞뒤 너른 들판이 모두 잠기다[大雨三晝夜 前後廣野皆沉](2) 122
〈94〉 큰비가 사흘 밤낮 와서 앞뒤 너른 들이 모두 잠기다[大雨三晝夜 前後廣野皆沉](3) 122
〈95〉 멀리 구름이 개여 계양산에 휘장을 친 것을 바라보고 매우 기이하여 좋아할 만하여[遙望霽雲羃桂陽 奇絶可愛] 123
〈96〉 꿈을 기록하다[記夢] 생략 123
〈97〉 늙음을 한탄하며[歎老] 124
〈98〉 8월 15일 밤에 이웃 친구가 와서 대화하였는데 달빛이 매우 좋았으나 유감스럽게도 술 한잔을 하지 못하였다[八月十五夜 隣友來話 月色甚佳而恨無一觴] 124
〈99〉 이웃집 노인이 물고기를 보내오다[隣翁送魚] 생략 125
〈100〉 가을 흥취[秋興] 126
〈101〉 정첨지 어른 만사[挽鄭僉知丈](1) 127
〈102〉 정첨지 어른 만사[挽鄭僉知丈](2) 127
〈103〉 정(鄭) 어른 제문[祭鄭丈文] 128
〈104〉 장연 박중렴에게 주다[贈長連朴重廉] 134
〈105〉 설날 병중에 젊을 때 즐겁게 놀던 것을 추억하고 감동하여 읊다[元日病中 憶少年遊樂 感吟] 134
〈106〉 심천 대경의 집을 찾아갔는데, 대경과 중온이 서로 화답한 시들이 벽에 걸려 있어서 붓을 달려 차운(次韻)하였다[過深川大卿家 大卿仲蘊相和之什 揭在壁間 走筆以次] 135
〈107〉 좌랑 맹만석 만사[挽孟佐朗萬錫](1) 136
〈108〉 좌랑 맹만석 만사[挽孟佐朗萬錫](2) 136
〈109〉 국화 핀 가을밤에 병들어 읊다[菊秋夜病吟] 생략 137
〈110〉 한가히 읊다[謾吟] 137
〈111〉 술이 익었어도 병으로 못 마신 채 정회를 읊다[酒熟病不飮述懷] 138
〈112〉 중양절에 병들어 읊다[重陽病吟] 139
〈113〉 농가[田家] 139
〈114〉 늦가을 정회를 읊다[晩秋述懷] 139
〈115〉 밤에 읊다[夜吟] 생략 140
〈116〉 소악루(小岳樓) 주인 이중구를 찾아갔는데 율시(律詩) 시운을 보고 차운(次韻)하여 부쳐주었다[過小岳樓主人李仲久 見有律韵 追步以寄](1) 141
〈117〉 소악루 주인 이중구를 찾아갔는데 율시(律詩) 시운을 보고 차운(次韻)하여 부쳐주었다[過小岳樓主人李仲久 見有律韵 追步以寄](2) 141
〈118〉 또 매(梅) 자 시운으로 시를 지어 소악루 주인에게 부쳐주다[又得梅字韵題 寄小岳樓主人](1) 142
〈119〉 또 매(梅) 자 시운으로 시를 지어 소악루 주인에게 부쳐주다[又得梅字韵題 寄小岳樓主人](2) 143
〈120〉 장연 박우하에게 주다[贈長連朴佑夏] 생략 143
〈121〉 종손녀 둘을 애도하다[哀兩從孫女] 생략 144
〈122〉 이선비에게 주다[贈李生] 생략 145
〈123〉 당질 박후(朴垕)가 배 타고 여강에 가서 그대로 집 지어 살려고 감을 전송하다[送堂侄垕舟行驪江 仍爲卜居] 146
〈124〉 수재 이험동을 애도하다[哀李秀才險童] 생략 146
〈125〉 회포를 적어 아우에게 보이다[書懷示舍弟] 147
〈126〉 윤원서가 방문하여 밤에 대화를 하고 다음날 아침에 비 때문에 머무르자 그의 시운(詩韻)을 차운하여 지어 주었다[尹元瑞來訪夜話 翌朝關雨留連 次其韵以贈](1) 147
〈127〉 윤원서가 방문하여 밤에 대화를 하고 다음날 아침에 비 때문에 머무르자그의 시운(詩韻)을 차운하여 지어 주었다[尹元瑞來訪夜話 翌朝關雨留連 次其韵以贈](2) 148
〈128〉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1) 149
〈129〉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2) 149
〈130〉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3) 150
〈131〉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4) 151
〈132〉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5) 151
〈133〉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6) 152
〈134〉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7) 152
〈135〉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8) 153
〈136〉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9) 153
〈137〉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10) 154
〈138〉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11) 155
〈139〉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12) 156
〈140〉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13) 156
〈141〉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14) 157
〈142〉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15) 158
〈143〉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16) 158
〈144〉 경저에서 이종지 해로의 시운에 화답하다[京邸和李宗之海老韵](17) 159
〈145〉 왕세자(王世子, 진종(眞宗)) 재기일(두번 째 기일)에 감응하여 눈물을 흘리다[王世子再朞日 寓感出涕] 159
〈146〉 회포를 적다[述懷] 160
〈147〉 이전에 화답한 침(侵) 자 시운을 사용하여 이종지에게 주다[用前和侵字韵 贈李宗之] 161
〈148〉 강금산 사함을 애도하다[悼姜錦山士咸] 162
〈149〉 작별에 임하여 이종지가 써준 시에 차운하여 빨리 쓰다[臨別次贈宗之 走筆] 162
〈150〉 이종지의 시운을 차운하다[次宗之韵] 163
〈151〉 완릉군 이현록 만사[挽完陵君顯祿](1) 164
〈152〉 완릉군 이현록 만사[挽完陵君顯祿](2) 164
〈153〉 빨리 써서 민여대가 방문하여 지은 시운에 차운하다[走筆 次閔汝大見訪韵] 165
〈154〉 장연 박준영에게 주다[贈長連朴俊英] 166
〈155〉 장연 박우하에게 주다[贈長連朴佑夏] 166
〈156〉 이회중은 예전에 함께 공부한 사이로 오랫동안 헤어져 있다가 찾아와서 운자를 불러 수창하다[李晦仲舊時同硯也 久別之餘來訪 呼韵酬唱](1) 167
〈157〉 이회중은 예전에 함께 공부한 사이로 오랫동안 헤어져 있다가 찾아와서 운자를 불러 수창하다[李晦仲舊時同硯也 久別之餘來訪 呼韵酬唱](2) 167
〈158〉 종제 진사 한대경 세장 만사[挽從弟韓進士大卿世張](1) 168
〈159〉 종제 진사 한대경 세장 만사[挽從弟韓進士大卿世張](2) 168
〈160〉 팔월 십 오일 밤에 회포를 읊다[八月十五夜 述所懷] 169
〈161〉 서거한 친구 민여필 익로를 꿈에 보다[夢亡友閔汝弼翊魯] 170
〈162〉 대간 이자연을 애도하다[悼李大諫子淵](1) 170
〈163〉 대간 이자연을 애도하다[悼李大諫子淵](2) 171
〈164〉 계춘에 춘천의 사촌형 박자후(朴子厚)가 방문하여 사흘을 머물다가 작별해 갈 때 바쁘게 차운하다[季春春川堂兄子厚來過 留三日 臨別忙次](1) 171
〈165〉 계춘에 춘천의 사촌형 박자후(朴子厚)가 방문하여 사흘을 머물다가 작별해 갈 때 바쁘게 차운하다[季春春川堂兄子厚來過 留三日 臨別忙次](2) 172
〈166〉 동촌의 진사 이장의 집에서 술 마시다[飮東村李進士樟家] 172
〈167〉 장악원(掌樂院)에서 권중온을 만나 밤중에 대화하였는데 함께 공부한 친구들의 존망에 감개하였다[樂院逢權仲蘊夜話 感念同硯友輩存亡] 173
〈168〉 성남에 있는 지평 정여즙의 집에서 조촐하게 술을 들고 함께 시를 읊었다[城南鄭持平汝楫家 小酌同賦](1) 생략 174
〈169〉 성남에 있는 지평 정여즙의 집에서 조촐하게 술을 들고 함께 시를 읊었다[城南鄭持平汝楫家 小酌同賦](2) 175
〈170〉 성남에 있는 지평 정여즙의 집에서 조촐하게 술을 들고 함께 시를 읊었다[城南鄭持平汝楫家 小酌同賦](3) 175
〈171〉 이정중 각의 시운에 답해 주다[寄答李靜仲㲄韵] 176
〈172〉 권중온에게 드리다[寄權仲蘊] 178
〈173〉 파면되어 고향 집에 돌아온 이후에 우연히 읊어 아우에게 보이다[罷歸鄕廬後 偶吟示家弟](1) 179
〈174〉 파면되어 고향 집에 돌아온 이후에 우연히 읊어 아우에게 보이다[罷歸鄕廬後 偶吟示家弟](2) 179
〈175〉 파면되어 고향 집에 돌아온 이후에 우연히 읊어 아우에게 보이다[罷歸鄕廬後 偶吟示家弟](3) 180
〈176〉 정정숙에게 보내 보이다[寄眎鄭正叔](1) 181
〈177〉 정정숙에게 보내 보이다[寄眎鄭正叔](2) 181
〈178〉 회포를 읊어 중온에게 주다[咏懷寄呈仲蘊](1) 182
〈179〉 회포를 읊어 중온에게 주다[咏懷寄呈仲蘊](2) 182
〈180〉 정여즙에게 보여주다[寄眎鄭汝楫](1) 183
〈181〉 정여즙에게 보여주다[寄眎鄭汝楫](2) 184
〈182〉 정숙에게 부쳐 보이다[寄示正叔] 185
〈183〉 여즙 형제가 대추를 주었기에 시를 읊어 감사를 표하다[汝楫兄弟以大棗投贈 拙吟謝呈] 185
〈184〉 회포를 읊다[述懷] 생략 186
〈185〉 섣달 그믐날에 느낌이 있어[除夕有懷] 생략 187
〈186〉 중온이 일을 말씀드렸다가 대정으로 귀양가게 되어 진위에서 작별하면서입으로 불러 지어 주었다[仲蘊言事 竄斥大靜 往別於振威 口號以贈](1) 187
〈187〉 중온이 일을 말씀드렸다가 대정으로 귀양 가게 되어 진위에서 작별하면서입으로 불러 지어 주었다[仲蘊言事 竄斥大靜 往別於振威 口號以贈](2) 188
〈188〉 중온이 해남으로 귀양이 옮겨졌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서 읊어 부치다[聞仲蘊移 配海南之命 喜吟寄之] 189
〈189〉 사돈 이탁여 수가 방문하여 술을 찾았으나 가난하여 살 수 없어 장난으로 읊다[査友李琢如琇來訪 欲得薄酒 貧不能沽 戱吟] 190
〈190〉 제목 없이[無題] 190
〈191〉 정은진 지 만사[挽鄭恩津墀] 생략 191
〈192〉 청명에 선산을 향하여 서글픈 감정을 가누지 못하다[淸明向先山 不勝感愴] 192
〈193〉 한식에 선영에 갔다가 길에서 본 것을 읊다[寒食往松楸道中 賦所見] 192
〈194〉 봄날 일을 농암의 시운으로 차운하다[春日卽事 次農巖韵] 193
〈195〉 고양 도중에 본 것을 기록하다[高陽路中 記所見] 193
〈196〉 영안도위 묘소를 지나다[過永安都尉墓] 생략 194
〈197〉 은지의 종형 이희로 집을 방문하다[過恩池李從兄希老宅] 194
〈198〉 참봉 장해익의 집을 방문하다[過張參奉海翼家] 195
〈199〉 종제 한대경(韓大卿) 묘소에 곡하다[哭從弟韓大卿墓] 195
〈200〉 한대경의 어린 딸을 대해 슬퍼하다[悲對大卿幼女] 196
◩ 궁와집(시) ★201-400 [원전 23a-42b (49-88p)]
〈201〉 사방 이웃에 굶고 병들어 죽는 사람이 줄 잇는 걸 보고 놀란 슬픔을 가누지 못하여[四隣飢癘 死亡相踵 不勝驚慘] 199
〈202〉 늦봄의 회포를 읊다[暮春咏懷](1) 199
〈203〉 늦봄의 회포를 읊다[暮春咏懷](2) 200
〈204〉 봄이 다 간 날에 마음을 노래하다[春盡日咏懷](1) 200
〈205〉 봄이 다 간 날에 마음을 노래하다[春盡日咏懷](2) 201
〈206〉 봄에 흥이 나서[春興] 201
〈207〉 민성중이 진주병사에 임명된 소식을 듣고 부쳐 보이다[聞閔盛仲除晉州兵使 寄眎之] 202
〈208〉 윤수원 섭 만사[挽尹水原涉] 202
〈209〉 한광중이 막 금강산에서 와서 경치를 실컷 말하다[韓光仲新自金剛來 滿說景槩] 203
〈210〉 정여즙 정숙에게 화답하여 보내다[和寄鄭汝楫正叔](1) 203
〈211〉 정여즙 정숙에게 화답하여 보내다[和寄鄭汝楫正叔](2) 204
〈212〉 정여즙 정숙에게 화답하여 보내다[和寄鄭汝楫正叔](3) 205
〈213〉 정여즙 정숙에게 화답하여 보내다[和寄鄭汝楫正叔](4) 205
〈214〉 정여즙이 방문해 지어 준 시에 차운하다[次汝楫枉顧韵] 206
〈215〉 초여름에 한가히 읊다[孟夏漫詠] 206
〈216〉 민원보 도기를 애도하다[悼閔原甫道基] 207
〈217〉 조롱을 해명하다[解嘲] 207
〈218〉 초가을에 느낌이 있어[早秋有懷] 208
〈219〉 제목 없이[無題] 생략 209
〈220〉 중온의 귀양지에 부치다[寄仲蘊謫居](1) 210
〈221〉 중온의 귀양지에 부치다[寄仲蘊謫居](2) 210
〈222〉 감사 홍군거 현보에게 차운하다[次呈洪監司君擧鉉輔] 211
〈223〉 국가 경사에 사면령이 반포되었으나 서용(叙用)하는 명이 내리지 않았다[邦慶頒赦 叙命不下] 211
〈224〉 제목 없이[無題] 생략 212
〈225〉 민원보 만사[挽閔原甫](1) 213
〈226〉 민원보 만사[挽閔原甫](2) 213
〈227〉 민원보 만사[挽閔原甫](3) 214
〈228〉 민원보 만사[挽閔原甫](4) 214
〈229〉 민원보 만사[挽閔原甫](5) 214
〈230〉 민원보 만사[挽閔原甫](6) 215
〈231〉 민원보 만사[挽閔原甫](7) 215
〈232〉 민원보 만사[挽閔原甫](8) 216
〈233〉 민원보 만사[挽閔原甫](9) 216
〈234〉 민원보 만사[挽閔原甫](10) 216
〈235〉 민원보 만사[挽閔原甫](11) 217
〈236〉 민원보 만사[挽閔原甫](12) 217
〈237〉 윤 선비 만사[挽尹生](1) 생략 217
〈238〉 윤 선비 만사[挽尹生](2) 218
〈239〉 가을 교외의 이때 일[秋郊卽事] 218
〈240〉 정정숙 광제가 영광으로 부임함을 전송하다[送鄭正叔匡濟赴任靈光] 219
〈241〉 승선 이병태를 애도하다[哀李承宣秉泰] 219
〈242〉 9월 9일에 아우들 및 이웃 고을 노소들과 원통산에서 노닐다[九日與舍弟輩及隣洞少長 游於圓通山](1) 220
〈243〉 9월 9일에 아우들 및 이웃 고을 노소들과 원통산에서 노닐다[九日與舍弟輩及隣洞少長 游於圓通山](2) 220
〈244〉 박승 조카의 시운에 차운하다[次勝侄韵](1) 221
〈245〉 박승 조카의 시운에 차운하다[次勝侄韵](2) 221
〈246〉 마을 계에서 신의를 강구하다[社契講信] 생략 221
〈247〉 이날 이회중의 시운에 차운하다[是日次李晦仲韵] 222
〈248〉 이정중이 보내준 시운에 화답하다[和李靜仲投示韵](1) 223
〈249〉 이정중이 보내준 시운에 화답하다[和李靜仲投示韵](2) 223
〈250〉 설날에 읊다[元日吟] (이날이 입춘이다.[是日立春.]) 224
〈251〉 봄을 읊다[春吟] 225
〈252〉 새봄에 두 아우가 양형성의 집에 가서 술 마시고 크게 취하여 돌아왔는데 나는 병으로 좋은 일에 빠졌다[新春 兩弟往飮梁衡聖家 大醉而歸 余病闕好事] 225
〈253〉 늦봄에 양형성의 집에서 노인회를 하여 술과 생선을 사 와서 놀고 기쁨을 극진히 하고 돌아왔다[暮春 往衡聖家 作耆艾會 沽酒買魚 盡歡而歸](1) 225
〈254〉 늦봄에 양형성의 집에서 노인회를 하여 술과 생선을 사 와서 놀고 기쁨을극진히 하고 돌아왔다[暮春 往衡聖家 作耆艾會 沽酒買魚 盡歡而歸](2) 226
〈255〉 젊은이들이 계 모임을 늦봄에 하면서 굳이 나를 부르기에 잠시 가서회포를 읊었다[少年輩作稧會於暮春 邀我甚力 乍往述懷] 227
〈256〉 박기(朴基) 조카가 오래 헤어진 뒤에 찾아와서 매우 기뻐서 술을 사 오고대화하였다[基侄來見久別之餘 甚有懽緖 沽酒打話用] 227
〈257〉 이전 시운을 사용하여 자신을 조소하다[用前韵自嘲] 228
〈258〉 회포를 풀어보내다[遣懷](1) 228
〈259〉 회포를 풀어보내다[遣懷](2) 229
〈260〉 제목 없이[無題] 230
〈261〉 친구 조태보가 부모님의 회혼(回婚) 잔치를 차리고 초청장을 보냈는데 나는 마침 병이 들어서 가지 못하였다[趙友台輔設老親重牢筵 送書招之 而予適有病 不能赴] 230
〈262〉 아우 달경(達卿)이 새매를 길러 장차 풀이 마르기를 기다려 사냥에 풀어놓으려 하므로 희롱하여 짓다[家弟達卿養鷹 將待草枯放獵 故戱題] 231
〈263〉 이중유 만사[挽李仲裕] 232
〈264〉 매미를 읊다[咏蟬] 232
〈265〉 족손 박명흠(朴命欽)에게 주다[贈族孫命欽] 233
〈266〉 제목 없이[無題] 234
〈267〉 동짓날 이정중의 시운에 차운하다[至日次李靜仲韵] 234
〈268〉 심명열의 만사를 모작하다[擬挽沈命說] 235
〈269〉 우암집을 보다[覽尤庵集](1) 235
〈270〉 우암집을 보다[覽尤庵集](2) 236
〈271〉 우암집을 보다[覽尤庵集](3) 236
〈272〉 농암집을 보다[覽農巖集] 237
〈273〉 이정중의 시운에 차운하다[次李靜仲韵](1) 238
〈274〉 이정중의 시운에 차운하다[次李靜仲韵](2) 238
〈275〉 이정중의 시운에 차운하다[次李靜仲韵](3) 239
〈276〉 원래의 시운[原韵] 239
〈277〉 이정중의 시운에 차운하다[次靜仲韵] 240
〈278〉 원래의 시운[原韵] 241
〈279〉 이정중에게 주어 보이다[贈示靜仲] 241
〈280〉 차운한 것이다[次韵] 242
〈281〉 이정중의 시운에 차운하다[次靜仲韵] 242
〈282〉 원래의 시운[原韵] (뜻을 주인에게 부쳤다.[意屬主人.]) 243
〈283〉 이정중의 시운에 차운하다[次靜仲韵] 243
〈284〉 원래의 시운[原韵] 244
〈285〉 이정중의 시운에 차운하다[次靜仲韵] 245
〈286〉 원래의 시운[原韵] 245
〈287〉 이정중의 시운에 차운하다[次靜仲韵] 246
〈288〉 원래의 시운[原韵] 246
〈289〉 이정중의 제석 시운에 화운하다[和靜仲除夕韵] 246
〈290〉 원래의 시운[原韵] 247
〈291〉 남궁사직의 시운에 차운하다[次南宮士直韵] 248
〈292〉 원래의 시운[原韵] 249
〈293〉 민백로의 차운[閔伯魯次韵] 249
〈294〉 신정에 파릉 수령이 포와 술을 보내준 은혜에 감사함을 부쳐 보내다[新正寄謝巴陵使君脯酒之惠] 250
〈295〉 원래의 시운[原韵] 250
〈296〉 다시 화답하다[更和](1) 251
〈297〉 다시 화답하다[更和](2) 251
〈298〉 원래의 시운[原韵] 252
〈299〉 병이 깊은 중에 진사 이의일에게 부치다[病篤中 寄李進士依日] 252
〈300〉 정월 초삼일에 민백로 수창이 바닷가에서 찾아와서 며칠 머물며 시를 지어 주고받았다[正月初三日 閔伯魯壽昌自海來訪 留數日唱酬] 253
〈301〉 원래의 시운[原韵] 254
〈302〉 조태보의 부모님 회혼례 때 어른의 시운을 차운하다[次趙台輔兩親回婚禮 時諸君韵](1) 254
〈303〉 조태보의 부모님 회혼례 때 어른의 시운을 차운하다[次趙台輔兩親回婚禮 時諸君韵](2) 255
〈304〉 제목을 잃다[失題] 255
〈305〉 육언 구절로 회포를 부치다[六言寓懷] 256
〈306〉 탄식할 만한 일[可歎] 256
〈307〉 마전 수령 오윤주에게 부쳐 보내다[寄呈吳麻田胤周] 257
〈308〉 영광 수령 정정숙에게 부쳐 답례하다[寄謝靈光倅鄭正叔] 258
〈309〉 감찰 원택경의 추후 만사[追挽元監察宅卿] 259
〈310〉 지평 권중온의 배소에 부치다[寄權持平仲蘊配所](1) 259
〈311〉 지평 권중온의 배소에 부치다[寄權持平仲蘊配所](2) 260
〈312〉 김자화에게 소를 탄 노래에 화답하다[和金子和騎牛歌] 261
〈313〉 원래의 시운[原韵] 262
〈314〉 호랑이 그림 노래를 김자화에게 보이다[畵虎歌 示子和] 262
〈315〉 원래의 시운[原韵] 263
〈316〉 윤원서 형제에게 부쳐 보내다[寄贈尹元瑞兄弟] 263
〈317〉 재차 반복하다[再疊] 266
〈318〉 족손 박군경(朴君敬)의 시운에 화답하다[和族孫君敬韵] 268
〈319〉 또 민백로에게 화답하다[又和閔伯魯] 268
〈320〉 원래의 시운[原韵](1) 269
〈321〉 원래의 시운[原韵](2) 270
〈322〉 먼저 사람 시[前人](1) 270
〈323〉 먼저 사람 시[前人](2) 271
〈324〉 먼저 사람 시[前人](1) 271
〈325〉 먼저 사람 시[前人](2) 272
〈326〉 먼저 사람 시[前人] 273
〈327〉 민백로에게 부치다 여관에서 이전 시운을 사용하다[寄伯魯 旅舍用前韵] 273
〈328〉 원래의 시운[原韵] 274
〈329〉 민백로에게 부치다 여관에서 이전 시운을 사용하다[寄伯魯 旅舍用前韵] 274
〈330〉 원래의 시운[原韵] 275
〈331〉 고양읍에서 〈사촌 아우를〉 남겨두고 떠나오다[高陽邑留別] 276
〈332〉 화석정에 들리다[過花石亭] 277
〈333〉 송도를 들르다[過松都]5 277
〈334〉 옛 금천 역참 주점을 들르다[過古金川驛店] 278
〈335〉 약을 몇 첩 먹고 금천에 이르렀는데 바로 차도가 있는 것을 느꼈다[服藥數貼 到金川 卽覺差愈] 278
〈336〉 금천 역사에서 참봉 윤득중을 만나다[金川驛舍遇尹叅奉得重] 279
〈337〉 총수 주점에 들르다[過䓗秀店] 279
〈338〉 서흥호 가의 정자에 들려서 친구 이중숙 진정을 추억하다[過瑞興湖上亭 憶故友李重叔眞鼎] 279
〈339〉 황주에서 본읍 목사를 기다렸으나 오는 것이 늦어 거문고에 노래하는 이를 불렀는데 모두 못한다고 핑계하여 가증스러웠다[黃州待本牧遲來 招琴歌者 皆托以不能 可憎] 280
〈340〉 연광정(練光亭)에서 입으로 불러 읊다[練光亭口號] 280
〈341〉 연광정(練光亭)에서 배를 타고 부벽루(浮碧樓)를 향하다[自練光亭泛舟 向浮碧樓] 281
〈342〉 부벽루(浮碧樓)에 올라 삼연(三淵)의 시에 차운하여 짓다[登浮碧樓 次三淵韵](1) 281
〈343〉 부벽루(浮碧樓)에 올라 삼연(三淵)의 시에 차운하여 짓다[登浮碧樓 次三淵韵](2) 282
〈344〉 부벽루(浮碧樓)에 올라 삼연(三淵)의 시에 차운하여 짓다[登浮碧樓 次三淵韵](3) 283
〈345〉 평양의 옛날 감회[平壤感舊] 283
〈346〉 기자 궁전[箕宮] 284
〈347〉 애련당(愛蓮堂)에서 물고기회를 차리고 술을 마시다[愛蓮堂設鱠飮酒] 284
〈348〉 안주(安州)에서 한가히 읊다[安州謾吟] 285
〈349〉 백상루(百祥樓)에 오르다[登百祥樓] 286
〈350〉 평양(平壤) 기생 복개(福介)에게 장난삼아 지어주다[戱贈平壤妓福介] 286
〈351〉 박천(博川)에서 영변(寧邊)으로 향하다[自博川向寧邊] 287
〈352〉 약산동대(藥山東臺)에 오르다[登藥山東臺](1) 287
〈353〉 약산동대(藥山東臺)에 오르다[登藥山東臺](2) 288
〈354〉 약산동대(藥山東臺)에 오르다[登藥山東臺](3) 288
〈355〉 약산동대(藥山東臺)에 오르다[登藥山東臺](4) 289
〈356〉 약산동대(藥山東臺)에 오르다[登藥山東臺](5) 289
〈357〉 약산동대에 오르다[登藥山東臺](6) 290
〈358〉 약산동대(藥山東臺)에서 나와 말을 타고 가며 읊다[自東臺出來 馬上漫吟] 290
〈359〉 영변에서 묘향산(妙香山)으로 가다가 중도에서 비에 막혔다[自寧邊欲向香山 中路滯雨](1) 291
〈360〉 영변에서 묘향산(妙香山)으로 향하려고 하는데 중도에서 비에 막혔다[自寧邊欲向香山 中路滯雨](2) 292
〈361〉 성천 유선관에 올랐다[登成川留仙舘](1) 292
〈362〉 성천 유선관에 올랐다[登成川留仙舘](2) 292
〈363〉 성천 유선관에 올랐다[登成川留仙舘](3) 293
〈364〉 명숙 윤봉조(尹鳳朝)의 능파정 시에 차운하다[次尹鳴叔凌波亭韵] 294
〈365〉 은산 담담정에서 민○○의 시를 차운하다[殷山淡淡亭次閔○○韵] 294
〈366〉 돌아오는 길에 중화부(中和府)에 들어가 기생 취류앵(翠柳鸎)에게 시를 지어 주었다[歸路入中和府 贈詩妓翠柳鸎] 295
〈367〉 황주(黃州)를 지나다가 사또 김언히(金彦凞)와 강선루(降仙樓)의 풍경을 이야기하다[過黃州 與金使君彦凞 說降仙樓風景] 295
〈368〉 3년 동안 위태로운 병을 앓고 난 후에 남궁철(南宮㯙)이 율시(律詩) 2수를 지어 보내서 정신을 불러 모아 가다듬어 차운하여 보인다[三年危疾後 南宮㯙投贈二律 收召精神 艱次以示](1) 296
〈369〉 3년 동안 위태로운 병을 앓고 난 후에 남궁철(南宮㯙)이 율시(律詩)2수를 지어 보내서 정신을 불러 모아 간신히 차운하여 보인다[三年危疾後 南宮㯙投贈二律 收召精神 艱次以示](2) 296
〈370〉 3년 동안 위태로운 병을 앓고 난 후에 남궁철(南宮㯙)이 율시(律詩)2수를 지어 보내서 정신을 불러 모아 간신히 차운하여 보인다[三年危疾後 南宮㯙投贈二律 收召精神 艱次以示](3) 297
〈371〉 김자화(金子和)의 비를 읊은 시에 화답하다[和金子和詠雨](1) 298
〈372〉 김자화(金子和)의 비를 읊은 시에 화답하다[和金子和詠雨](2) 298
〈373〉 병중에 매일 밤잠을 설쳤다[病中連夜失睡] 299
〈374〉 9월에 소년들이 술 마시는 자리에서 이 시를 지어 주었다. 이때 나는병으로 여전히 괴로웠다[菊秋 少年輩酒會 作此以贈 時余病尙苦] 299
〈375〉 봉조하(奉朝賀) 민진원(閔鎭遠)을 애도하다[悼閔奉朝賀](1) 300
〈376〉 봉조하(奉朝賀) 민진원(閔鎭遠)을 애도하다[悼閔奉朝賀](2) 300
〈378〉 이정중(李靜仲)의 시를 차운하다[次李靜仲韵] 301
〈379〉 이영동(李永同) 만사[挽李永同] 302
〈380〉 공경히 나재(懶齋)의 시를 차운하여 선비 신광언(申光彦)에게 주다[次敬懶齋韵 贈申生光彦](1) 302
〈381〉 공경히 나재(懶齋)의 시를 차운하여 선비 신광언(申光彦)에게 주다[次敬懶齋韵 贈申生光彦](2) 303
〈382〉 공경히 나재(懶齋)의 시를 차운하여 선비 신광언(申光彦)에게 주다[次敬懶齋韵 贈申生光彦](3) 303
〈384〉 공경히 나재(懶齋)의 시를 차운하여 선비 신광언(申光彦)에게 주다[次敬懶齋韵 贈申生光彦](4) 304
〈385〉 정영(鄭泳) 만사[挽鄭泳](1) 304
〈386〉 정영(鄭泳) 만사[挽鄭泳](2) 304
〈387〉 정영(鄭泳) 만사[挽鄭泳](3) 305
〈388〉 정영(鄭泳) 만사[挽鄭泳](4) 305
〈389〉 정영(鄭泳) 만사[挽鄭泳](5) 305
〈390〉 정영(鄭泳) 만사[挽鄭泳](6) 306
〈391〉 자안 곽진기가 정선군수로 부임하는 데에 시를 지어 주었다[贈郭子安鎭基之任㫌善](1) 306
〈392〉 자안 곽진기가 정선군수로 부임하는 데에 시를 지어 주었다[贈郭子安鎭基之任㫌善](2) 307
〈393〉 류익휘 겸명 만사[挽柳益輝 謙明](1) 308
〈394〉 류익휘 겸명 만사[挽柳益輝 謙明](2) 308
〈395〉 류익휘 겸명 만사[挽柳益輝 謙明](3) 309
〈396〉 류익휘 겸명 만사[挽柳益輝 謙明](4) 309
〈397〉 류익휘 겸명 만사[挽柳益輝 謙明](5) 310
〈398〉 류익휘 겸명 만사[挽柳益輝 謙明](6) 310
〈399〉 류익휘 겸명 만사[挽柳益輝 謙明](7) 311
〈400〉 류익휘 겸명 만사[挽柳益輝 謙明](8) 311
◩ 궁와집(시) ★401-554 [원전 43a-58a (89-119p)]
〈401〉 류익휘 겸명 만사[挽柳益輝 謙明](9) 315
〈402〉 류익휘 겸명 만사[挽柳益輝 謙明](10) 315
〈403〉 류익휘 겸명 만사[挽柳益輝 謙明](11) 315
〈404〉 류익휘 겸명 만사[挽柳益輝 謙明](12) 316
〈405〉 류익휘 겸명 만사[挽柳益輝 謙明](13) 316
〈406〉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화답하다[和李聖瑞韵](1) 317
〈407〉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화답하다[和李聖瑞韵](2) 317
〈408〉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화답하다[和李聖瑞韵](3) 318
〈409〉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화답하다[和李聖瑞韵](4) 318
〈410〉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화답하다[和李聖瑞韵](5) 319
〈411〉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화답하다[和李聖瑞韵](6) 319
〈412〉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화답하다[和李聖瑞韵](7) 320
〈413〉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화답하다[和李聖瑞韵](8) 320
〈414〉 재차 반복하다[再疊](1) 321
〈415〉 재차 반복하다[再疊](2) 322
〈416〉 재차 반복하다[再疊](3) 322
〈417〉 재차 반복하다[再疊](4) 323
〈418〉 재차 반복하다[再疊](5) 323
〈419〉 재차 반복하다[再疊](6) 324
〈420〉 재차 반복하다[再疊](7) 325
〈421〉 재차 반복하다[再疊](8) 326
〈422〉 재차 반복하다[再疊](9) 326
〈423〉 재차 반복하다[再疊](10) 327
〈424〉 재차 반복하다[再疊](11) 327
〈425〉 재차 반복하다[再疊](12) 328
〈426〉 사촌형 박자후(朴子厚)를 애도하며[悼堂兄子厚] 329
〈427〉 조상 기일(忌日)에 병으로 제사를 지내지 못하여 눈물을 떨구면서 회포를 펴다[先忌日病不將事 垂泣敍懷](1) 329
〈428〉 조상 기일(忌日)에 병으로 제사를 지내지 못하여 눈물을 떨구면서 회포를 펴다[先忌日病不將事 垂泣敍懷](2) 330
〈429〉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이어서 화답하다[續和李聖瑞韵](1) 331
〈430〉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이어서 화답하다[續和李聖瑞韵](2) 331
〈431〉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이어서 화답하다[續和李聖瑞韵](3) 332
〈432〉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이어서 화답하다[續和李聖瑞韵](4) 332
〈433〉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이어서 화답하다[續和李聖瑞韵](5) 333
〈434〉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이어서 화답하다[續和李聖瑞韵](6) 334
〈435〉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이어서 화답하다[續和李聖瑞韵](7) 334
〈436〉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이어서 화답하다[續和李聖瑞韵](8) 335
〈437〉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이어서 화답하다[續和李聖瑞韵](9) 335
〈438〉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이어서 화답하다[續和李聖瑞韵](10) 336
〈439〉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이어서 화답하다[續和李聖瑞韵](11) 336
〈440〉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이어서 화답하다[續和李聖瑞韵](12) 337
〈441〉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이어서 화답하다[續和李聖瑞韵](13) 338
〈442〉 세 조카에게 보여주다[示三侄](1) 338
〈443〉 세 조카에게 보여주다[示三侄](2) 339
〈444〉 윤원서(尹元瑞) 만사[挽尹元瑞](1) 339
〈445〉 윤원서(尹元瑞) 만사[挽尹元瑞](2) 340
〈446〉 윤원서(尹元瑞) 만사[挽尹元瑞](3) 341
〈447〉 윤원서(尹元瑞) 만사[挽尹元瑞](4) 341
〈448〉 윤원서(尹元瑞) 만사[挽尹元瑞](5) 342
〈449〉 윤원서(尹元瑞) 만사[挽尹元瑞](6) 342
〈450〉 윤원서(尹元瑞) 만사[挽尹元瑞](7) 343
〈451〉 윤원서(尹元瑞) 만사[挽尹元瑞](8) 344
〈452〉 윤원서(尹元瑞) 만사[挽尹元瑞](9) 344
〈453〉 윤원서(尹元瑞) 만사[挽尹元瑞](10) 345
〈454〉 신승지(申承旨) 만사[挽申承旨](1) 346
〈455〉 신승지(申承旨) 만사[挽申承旨](2) 346
〈456〉 신승지(申承旨) 만사[挽申承旨](3) 347
〈457〉 이성서의 남천록 시운에 화답하여 부치다[和寄李聖瑞南川錄韵](1) 347
〈458〉 이성서의 남천록 시운에 화답하여 부치다[和寄李聖瑞南川錄韵](2) 348
〈459〉 병중에 중양절(重陽節)을 맞아서[病中遇重九](1) 349
〈460〉 병중에 중양절(重陽節)을 맞아서[病中遇重九](2) 349
〈461〉 이성서에게 우연히 읊어 부치다[寓吟寄聖瑞](1) 350
〈462〉 이성서에게 우연히 읊어 부치다[寓吟寄聖瑞](2) 350
〈463〉 계집종이 기러기를 잡다[女奴捉鴈] 351
〈464〉 제멋대로 읊어서 이성서(李聖瑞)에게 부치다[漫詠寄聖瑞](1) 351
〈465〉 제멋대로 읊어서 이성서(李聖瑞)에게 부치다[漫詠寄聖瑞](2) 352
〈466〉 수찬 권중온(權仲蘊)이 왕림한 것에 감사하며[寄謝權修撰仲蘊枉顧] 352
〈467〉 이성서(李聖瑞)에게 우연히 회포를 부치다[寓懷寄聖瑞](1) 353
〈468〉 이성서(李聖瑞)에게 우연히 회포를 부치다[寓懷寄聖瑞](2) 353
〈469〉 이성서(李聖瑞)에게 우연히 회포를 부치다[寓懷寄聖瑞](3) 354
〈470〉 두 번째 차운하다. 이성서(李聖瑞)의 방문에 감사하며[二疊 謝聖瑞來訪](1) 355
〈471〉 두 번째 차운하다. 이성서(李聖瑞)의 방문에 감사하며[二疊 謝聖瑞來訪](2) 355
〈472〉 이성서(李聖瑞)의 시운에 차운하여 부치다. 세 번째 차운하다[寄次聖瑞韵 三疊] 356
〈473〉 네 번째 차운하다[四疊] 356
〈474〉 또 중양절(重陽節)의 앞의 시운을 차운하여 이성서(李聖瑞)에게 보여주다[又次重九前韵 示聖瑞](1) 357
〈475〉 또 중양절(重陽節)의 앞의 시운을 차운하여 이성서(李聖瑞)에게 보여주다[又次重九前韵 示聖瑞](2) 358
〈476〉 또 중양절(重陽節)의 앞의 시운을 차운하여 이성서(李聖瑞)에게 보여주다[又次重九前韵 示聖瑞](3) 358
〈477〉 재차 반복하다[再疊](1) 359
〈478〉 재차 반복하다[再疊](2) 360
〈479〉 납언(納言) 정정숙(鄭正叔)이 휴지를 찾아준 것에 부치다[寄鄭納言正叔索休紙] 360
〈480〉 김몽은(金夢殷)에게 주다[贈金夢殷] 361
〈481〉 또 이성서(李聖瑞)의 앞 시운에 화답하다[又和聖瑞前韵](1) 362
〈482〉 또 이성서(李聖瑞)의 앞 시운에 화답하다[又和聖瑞前韵](2) 362
〈483〉 또 이성서(李聖瑞)의 앞 시운에 화답하다[又和聖瑞前韵](3) 363
〈484〉 감탄할 만하여[可歎] 363
〈485〉 민여윤(閔汝潤)을 애도하며[悼閔汝潤] 364
〈486〉 동지달 초하루에 읊다[至月初有吟](1) 364
〈487〉 동지달 초하루에 읊다[至月初有吟](2) 365
〈488〉 감탄이 있어[有歎] 생략 366
〈489〉 당인(唐人)이 물건을 읊은 시운에 차운하다[次唐人詠物韵](1) 367
〈490〉 당인(唐人)이 물건을 읊은 시운에 차운하다[次唐人詠物韵](2) 367
〈491〉 당인(唐人)이 물건을 읊은 시운에 차운하다[次唐人詠物韵](3) 368
〈492〉 당인(唐人)이 물건을 읊은 시운에 차운하다[次唐人詠物韵](4) 369
〈493〉 당인(唐人)이 물건을 읊은 시운에 차운하다[次唐人詠物韵](5) 369
〈494〉 탄식할 만하여[可歎] 370
〈495〉 제목이 없이[無題] 371
〈496〉 사촌 아우 박대이(朴大而)에게 감회를 부쳐 보여주며[感懷寄示堂弟大而] 371
〈497〉 이성서(李聖瑞)가 복직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시로 이별을 대신하다[聞李聖瑞復職 以詩替別](1) 372
〈498〉 이성서(李聖瑞)가 복직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시로 이별을 대신하다[聞李聖瑞復職 以詩替別](2) 373
〈499〉 이성서(李聖瑞)가 복직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시로 이별을 대신하다[聞李聖瑞復職 以詩替別](3) 373
〈500〉 말이 죽어서[馬斃] 374
〈501〉 이성서(李聖瑞)에게 부치다[柬寄李聖瑞] 375
〈502〉 한나라 역사를 살피다[觀漢史](1) 375
〈503〉 한나라 역사를 살피다[觀漢史](2) 376
〈504〉 한나라 역사를 살피다[觀漢史](3) 377
〈505〉 한나라 역사를 살피다[觀漢史](4) 377
〈506〉 한나라 역사를 살피다[觀漢史](5) 378
〈507〉 한나라 역사를 살피다[觀漢史](6) 378
〈508〉 한나라 역사를 살피다[觀漢史](7) 379
〈509〉 한나라 역사를 살피다[觀漢史](8) 379
〈510〉 한나라 역사를 살피다[觀漢史](9) 380
〈511〉 한나라 역사를 살피다[觀漢史](10) 381
〈512〉 한나라 역사를 살피다[觀漢史](11) 381
〈513〉 나의 초가집[吾廬] 382
〈514〉 정선군수(旌善郡守) 곽진기(郭鎭基)에게 부치다[寄郭旌善鎭基] 382
〈515〉 세모[歲暮](1) 383
〈516〉 세모[歲暮](2) 383
〈517〉 탄식할 만하여[可歎] 384
〈518〉 고을 사또에게 올림[呈本倅] 384
〈519〉 부백에게 올림[呈府伯] 385
〈520〉 한가히 읊다[漫吟](1) 386
〈521〉 한가히 읊다[漫吟](2) 386
〈522〉 한가히 읊다[漫吟](3) 387
〈523〉 한가히 읊다[漫吟](4) 387
〈524〉 한가히 읊다[漫吟](5) 388
〈525〉 참봉 민징명(閔徵命) 만사[挽閔參奉 徵命](1) 388
〈526〉 참봉 민징명(閔徵命) 만사[挽閔參奉 徵命](2) 389
〈527〉 권중온(權仲蘊)에게 답장하여 부치다[謝寄權仲蘊] 389
〈528〉 귀래정(歸來亭)에서 정정숙(鄭正叔)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정여즙(鄭汝楫)이 없어서 탄식하다[歸來亭與鄭正叔討話 歎汝楫不在](1) 390
〈529〉 귀래정(歸來亭)에서 정정숙(鄭正叔)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정여즙(鄭汝楫)이 없어서 탄식하다[歸來亭與鄭正叔討話 歎汝楫不在](2) 390
〈530〉 곽우의 시운에 화답하다[和郭友韵](1) 391
〈531〉 곽우의 시운에 화답하다[和郭友韵](2) 391
〈532〉 곽우의 시운에 화답하다[和郭友韵](3) 392
〈533〉 곽우의 시운에 화답하다[和郭友韵](4) 393
〈534〉 곽우의 시운에 화답하다[和郭友韵](5) 393
〈535〉 곽우의 시운에 화답하다[和郭友韵](6) 394
〈536〉 곽우의 시운에 화답하다[和郭友韵](7) 395
〈537〉 곽우의 시운에 화답하다[和郭友韵](8) 395
〈538〉 곽우의 시운에 화답하다[和郭友韵](9) 396
〈539〉 권중온이 외직 줄온만호(乼溫萬戶)로 보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면(眠)자 시운을 사용하여 짓다[聞權仲蘊補外乼溫萬戶 用眠字韵](1) 396
〈540〉 권중온이 외직 줄온만호(乼溫萬戶)로 보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면(眠)자시운을 사용하여 짓다[聞權仲蘊補外乼溫萬戶 用眠字韵](2) 397
〈541〉 권중온이 외직 줄온만호(乼溫萬戶)로 보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면(眠)자시운을 사용하여 짓다[聞權仲蘊補外乼溫萬戶 用眠字韵](3) 398
〈542〉 권중온이 외직 줄온만호(乼溫萬戶)로 보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면(眠)자시운을 사용하여 짓다[聞權仲蘊補外乼溫萬戶 用眠字韵](4) 398
〈543〉 권중온이 외직 줄온만호(乼溫萬戶)로 보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면(眠)자 시운을 사용하여 짓다[聞權仲蘊補外乼溫萬戶 用眠字韵](5) 399
〈544〉 권중온이 외직 줄온만호(乼溫萬戶)로 보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면(眠)자 시운을 사용하여 짓다[聞權仲蘊補外乼溫萬戶 用眠字韵](6) 400
〈545〉 권중온이 외직 줄온만호(乼溫萬戶)로 보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면(眠)자 시운을 사용하여 짓다[聞權仲蘊補外乼溫萬戶 用眠字韵](7) 400
〈546〉 권중온이 외직 줄온만호(乼溫萬戶)로 보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면(眠)자 시운을 사용하여 짓다[聞權仲蘊補外乼溫萬戶 用眠字韵](8) 401
〈547〉 권중온이 외직 줄온만호(乼溫萬戶)로 보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면(眠)자 시운을 사용하여 짓다[聞權仲蘊補外乼溫萬戶 用眠字韵](9) 401
〈548〉 권중온이 외직 줄온만호(乼溫萬戶)로 보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면(眠)자 시운을 사용하여 짓다[聞權仲蘊補外乼溫萬戶 用眠字韵](10) 402
〈549〉 권중온이 외직 줄온만호(乼溫萬戶)로 보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면(眠)자 시운을 사용하여 짓다[聞權仲蘊補外乼溫萬戶 用眠字韵](11) 403
〈550〉 권중온이 외직 줄온만호(乼溫萬戶)로 보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면(眠)자 시운을 사용하여 짓다[聞權仲蘊補外乼溫萬戶 用眠字韵](12) 403
〈551〉 비 내린 뒤 경치[雨後即景] 404
〈552〉 부백(府伯)을 봉송하며[奉送府伯] 405
〈553〉 이홍제(李弘濟) 만사[挽李弘濟](1) 405
〈554〉 이홍제(李弘濟) 만사[挽李弘濟](2) 406
* 부록 궁와(窮窩) 박규문(朴奎文), 1670~1741) 연보 / 407
◩ 궁와집 원전 (우철) 1-120p
지역사와 세계사
도서명 : 지역사와 세계사
저자/출판사 : 함동주 , 고바야시 소메이 , 김영미 , 김호동 , , 선인
쪽수 : 400쪽
출판일 : 2023-02-13
ISBN : 9791160687835
정가 : 35000
머리말
제1부 지역사와 세계사 연구방법·교육모델
‘변방사’로 세계사 읽기 : 중앙유라시아사를 위한 변명 | 김호동
Ⅰ. 머리말
Ⅱ. 세계사와 중앙유라시아사
Ⅲ. 한국사와 중앙유라시아사
Ⅳ. 맺음말
일본의 ‘동부유라시아’ 연구의 전개와 향방 | 최재영
Ⅰ. 일본의 ‘동부유라시아’에 대한 학계 관심
Ⅱ. 일본의 ‘동부유라시아’ 연구의 함의
Ⅲ. 일본의 ‘동부유라시아’ 연구에 대한 비판과 그 향방
세계사 교육 강화를 위한 세 가지 교수 모델: 세계문명사, 빅히스토리, 문자/이미지 사료학습 | 박혜정
Ⅰ. 머리말
Ⅱ. 세계문명사를 활용한 세계사 교육
Ⅲ. 빅히스토리를 활용한 세계사 교육
Ⅳ. 문자/이미지 사료학습을 활용한 세계사 교육
Ⅴ. 맺음말
제2부 지역사와 세계사 연구 사례 1 : 지(知)의 유통과 교역
밖에서 본 중국: 『의심방(醫心方)』의 서적 인용과 부인과(婦人科) 논술 | 리전더(李貞德)
Ⅰ. 『의심방(醫心方)』의 편찬과 전사(傳寫)
Ⅱ. 『의심방』의 부인병(婦人病)에 대한 인식: 임신과 출산을 병의 원인으로
Ⅲ. 『의심방』의 『산경(產經)』 인용 및 「임부월금맥도(任婦月禁脈圖)」
Ⅳ. 중국 의학의 일본화 : 임신과 출산에 편중된 부인방(婦人方)의 전통
동아시아 전통 검시 지식의 계보: 검시 참고서의 편찬·전파·변용을 중심으로 | 최해별
Ⅰ. 머리말
Ⅱ. 서명과 체례 : ‘세원(洗冤)’에서 ‘무원(無冤)’으로 그리고 다시 ‘세원’으로
Ⅲ. 검시 전 사체처리와 사체 관찰 방법의 전승
Ⅳ. 살상(殺傷) 검시 지식의 전승과 보충
Ⅴ. 뼈의 검시 지식의 단절과 계승
Ⅵ. 맺음말
11세기 후반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의 동아시아 유통과 영향 | 김영미
Ⅰ. 머리말
Ⅱ. 『석마하연론』과 주석서의 유통
Ⅲ. 『석마하연론』 유통의 배경
Ⅳ. 『석마하연론』 유통의 영향
Ⅴ. 맺음말
몽골 평화 시대 아시아에서 유럽 상인들의 상업 활동 | 남종국
Ⅰ. 머리말
Ⅱ.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교역로
Ⅲ. 기록 속의 상인들
Ⅳ. 상업 활동
Ⅴ. 맺음말
제3부 지역사와 세계사 연구 사례 2 : 인적 교류와 경험
고려 - 몽골 간 사신(使臣)들, 확장된 공간에서 정치를 매개하다 | 이명미
Ⅰ. 머리말
Ⅱ. 고려에 온 몽골 사신들의 활동
Ⅲ. 고려 측 사행(使行) 양상의 변화
Ⅳ. 고려-몽골 간 사행 양상 변화의 배경
Ⅴ. 맺음말
1900년대 초 재조일본인 사회의 변화와 명사록 출판 | 함동주
Ⅰ. 머리말
Ⅱ. 러일전쟁과 재조일본인 사회의 변화
Ⅲ. 입신출세와 재조일본인 명사록의 출간
Ⅳ. 재조일본인 명사록의 ‘성공’ 내러티브
Ⅴ. 맺음말
M.L.오즈본의 포로 교육 경험과 ‘관전사(貫戰史, Trans-War History)’로서의 심리전 | 고바야시 소메이(小林 聰明)
Ⅰ. 머리말
Ⅱ. 중국에서의 대일(對日)심리전 경험
Ⅲ. 일본·한국에서의 포로교육 경험
Ⅳ. 류큐·베트남에서의 홍보/심리전 경험
Ⅴ. 맺음말
1950년대 재미한인 『독립』 그룹의 비미(非美)활동조사위원회(HUAC) 청문회 소환과 추방 | 정병준
Ⅰ. 머리말
Ⅱ. 비미활동조사위원회 청문회에 소환된 재미한인들
Ⅲ. 비미활동조사위원회 청문회의 주요 쟁점
Ⅳ. 미국에서 추방된 재미한인들
Ⅴ. 맺음말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