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또는 사업주들을 위한 노무가이드북 사업주 편
땅끝
2025-01-04 07:51
200
0
본문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도서명 :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저자/출판사 : 김학진, 갈매나무
쪽수 : 304쪽
출판일 : 2022-01-24
ISBN : 9791191842111
정가 : 17000
개정증보판
프롤로그 인간의 선량함, 그 지속가능성에 대한 뇌과학자의 질문
1부. 칭찬에 중독된 뇌
1장. 우리는 왜 ‘좋아요’에 집착하는가
인정 욕구를 인정한다
우리는 왜 남의 눈치를 보고 선택하는가 선택의 가치를 계산하는 뇌
돈보다 평판이 더 중요한 사람의 심리
2장. 뇌는 어떻게 인정 중독에 빠지는가 뇌는 일차적 보상보다 이차적 보상에 끌린다 분노 조절 장애, 인정 중독의 또 다른 얼굴 1등이 모든 것을 갖는 사회가 부추기는 것
선량한 사람들이 비윤리적인 행위에 동조하는 이유 인정받고 싶은 욕망보다 더 강한 것이 있을까?
2부. 그 사람은 왜 착한 일을 할까?
3장. 선량한 선택의 이면에 대하여 인간의 이타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 이타적인 행동은 직관적이고 충동적이다 더 높은 보상을 얻기 위한 계산된 전략 영웅적인 희생 행동의 숨겨진 이면
타인이 나의 선택을 관찰할 때 고려하는 것들 살아남기 위해 학습된 이타주의 행동
4장. 공정성에 집착하는 인간의 속마음 너그러운 사람이 공공의 적이 되는 순간 이타적 처벌자의 심리 분석
손해를 보더라도 불공평한 제안은 거절한다 복수는 정말 나의 것인가
5장. 이타주의자의 이기적인 뇌
인간은 예측이 틀렸을 때 감정을 느낀다 불공정성을 판단하는 것은 이성인가 감정인가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얻는 방법
6장. 공감의 자기중심성에 대하여 공감은 살아남기 위한 뇌의 전략인가? ‘성공한 사이코패스’의 뇌 구조
공감 능력과 관점 이동 능력은 다르다 자신을 위한 선택인가, 타인을 위한 선택인가 타인이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재능 공감하지 않으면 좋은 평판은 없다
3부. 이타적인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7장. ‘합리적’ 이타주의자의 조건
인정 중독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합리적 이타주의자의 탄생 진보주의자가 도덕성에 더 민감한 이유 ‘선의’에만 의존하는 것은 왜 위험한가
8장. 인간의 뇌는 살아남기 위해 변화한다
뇌는 가장 유리한 가치를 선택한다 “네 심장 소리에 귀를 기울여봐.”
가장 높은 생존 확률을 보장하는 선택
에필로그 새로운 의사결정 방식의 출발점 참고문헌 / 미주
사업주들을 위한 노무가이드북 사업주 편

도서명 : 사업주들을 위한 노무가이드북 사업주 편
저자/출판사 : 이일우, 매일경제신문사
쪽수 : 408쪽
출판일 : 2021-03-10
ISBN : 9791164842179
정가 : 19500
프롤로그 … 4
제1장 사업주가 알아야 할 기본실무
01 동일업무를 하는 여자 직원과의 임금차등은 형사 처벌 대상인가? … 17
▶ 무기계약직도 사회적 신분에 해당한다면 상여금 등을 차등지급하는 경우 처벌되는가? … 20
02 상습적인 욕설을 하는 직원 때문에 사업주도 처벌될 수 있나? … 21
▶ 형법상 폭행과 근로기준법상 폭행의 개념 … 24
03 예비군훈련시간·투표시간에도 임금을 줘야 하나? … 26
▶ 휴일이나 근로시간 이외에 예비군훈련을 받는 경우 사업주에게 임금지급의무가 있는가? … 29
04 조기퇴사 시 연수비를 반환하는 약정도 체결할 수 없나? … 30
▶ 근로자가 발생시킬 손해액과 퇴직금을 상계하는 약정은 유효한가? … 33
05 사업소득세(3.3%)를 내도 근로자로 볼 수 있나? … 34
▶ 사업자등록을 내고 사업소득세를 납부하면 근로자가 아니라고 볼 수 있는가? … 39
제2장 근로계약서와 취업규칙 작성실무
01 근로계약서를 미작성·미교부하면 형사 처벌되나? … 43
▶ 단시간근로자 근로계약서에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을 명시하지 않고 ‘주간근무계획표에 의한다’고 규정한 경우 처벌되는지 여부 … 48
02 단시간근로자와 일반근로계약서로 작성하면 과태료가 부과되나? … 49
▶ 정년이 지난 기간제근로자에게도 근로계약의 갱신기대권이 인정되는가? … 54
03 근로계약서를 작성·교부하지 않는 것이 사업주에게 유리한가? … 56
▶ 근로계약서 미작성 및 최저임금법 위반의 경우 실제로 벌금형이 부과된 사례가 있는가? … 60
04 ‘근로계약서에 없는 사항은 근로기준법에 따른다’는 규정의 의미 … 62
▶ 근로계약기간 만료 후 상당기간 근로를 제공한 경우 근로계약은 갱신되었다고 볼 수 있는가? … 66
05 근로계약서에 결근 시 위약금·임금상계 등의 내용을 넣을 수 있나? … 67
▶ 근로계약기간 만료에 의한 계약해지는 별도의 통지가 없어도 효력이 발생하는가? … 71
| 표준근로계약서 | … 72
| 연소근로자(18세 미만인 자) 표준근로계약서 | … 73
| 건설일용근로자 표준근로계약서 | … 74
| 단시간근로자 표준근로계약서 | … 75
06 취업규칙을 신고하지 않으면 처벌되나? … 76
▶ 근로자가 취업규칙 미게시 및 미주지로 사업주를 고발할 수 있는가? … 81
07 동의 없이 변경한 취업규칙을 신입직원에게는 적용할 수 있나? … 82
▶ 사무실 컴퓨터 파일에 취업규칙을 둔 경우 취업규칙 게시·비치의무 위반인가? … 87
| 취업규칙 신고서(변경신고서) | … 88
제3장 4인 이하 사업주의 필수실무
01 4인 이하 사업장에서는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할 수 있나? … 91
▶ 산재로 상당한 장해가 남은 근로자를 해고할 수 있는가? … 95
02 4인 이하 사업장은 연장근로에 50% 가산을 하지 않아도 되나? … 96
▶ 4인 이하 사업장에서도 ‘직장 내 괴롭힘 금지 규정’이 적용되는가? … 100
03 4인 이하 사업장에서는 주휴수당·휴업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나? … 102
▶ 4인 이하 사업장에서도 해고예고수당은 지급해야 하는가? … 107
04 4인 이하 사업장은 연차휴가가 없다? … 108
▶ 4인 이하 사업장의 사업주도 근로자 명부를 작성해야 하는가? … 113
| 근로자 명부 | … 114
제4장 최저임금과 통상임금, 주휴수당·연차수당
01 장애인에게는 최저임금 미만으로 지급해도 되나? … 117
▶ 사업의 통·폐합으로 사업장명, 사업자등록번호 등이 변경된 경우 장애인에 대한 최저임금 적용제외인가를 다시 받아야 하는가? … 124
| 정신(신체) 장애로 인한 최저임금 적용제외인가신청서 | … 125
| 정신(신체) 장애로 인한 최저임금 적용제외인가서 | … 126
02 통상임금이 최저임금보다 적어도 문제없나? … 127
▶ 임금·퇴직금 체불 시 사업주는 얼마의 지연이자를 지급해야 하는가? … 135
| 소액체당금 지급청구서 | … 137
03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적으면 통상임금으로 퇴직금을 산정하나? … 138
▶ 식대는 통상임금에 해당하는가? … 144
04 주말 아르바이트 직원에게도 주휴수당·연장수당을 지급해야 하나? … 145
▶ 취업규칙에서 휴게시간을 근로시간으로 인정하고 있다면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하는가? … 151
05 경비에게도 야간수당을 지급해야 하나? … 152
▶ 건설공사 현장소장은 관리·감독업무에 종사하는 자에 해당하는가? … 156
06 임금대장을 작성하지 않으면 형사 처벌되나? … 158
▶ 임금대장을 전자문서로 보존하는 것은 법 위반이 아닌가? … 163
| 임금대장 | … 165
제5장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01 법정근로시간으로 주휴일을 주면 되나? … 169
▶ 2주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취업규칙에 선언적 규정만 있으면 도입이 가능한가? … 173
02 연장근로 가산임금과 휴일근로 가산임금은 중복 지급해야 하나? … 174
▶ 강의시간이 1주 10시간인 시간강사의 퇴직금 발생 여부 … 177
03 임산부의 단축된 근로시간은 유급인가? … 179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으로 1일 근로시간이 8시간 미만으로 단축된 경우 휴게시간도 단축할 수 있는가? … 184
04 연소자의 근로시간을 8시간으로 하는 계약도 가능한가? … 186
▶ 연소자를 주유원으로 고용할 수 있는지 여부 … 190
| 15세 미만인 자의 취직인허증 교부(재교부) 신청서 | … 191
05 휴게시간을 동시에 주지 않고 세분화해서 줘도 되나? … 192
▶ 실근로시간이 8시간 미만인 경우 휴게시간을 30분만 줘도 문제없는가? … 196
제6장 휴일과 휴가
01 주휴일은 반드시 일요일에 주지 않아도 되나? … 201
▶ 주중에 결근했어도 주휴일은 유급이 아닌 무급으로 주어야 하는가? … 208
02 산재로 출근하지 못했어도 연차휴가는 발생하나? … 209
▶ 연차휴가기간 중간에 끼어 있는 무급휴일은 연차휴가일수에 포함되는가? … 214
03 연차휴가사용촉진을 하면 연차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나? … 215
▶ 근로계약기간이 1년 미만인 기간제근로자에게도 연차휴가사용촉진이 가능한가? … 221
04 연차휴가의 대체는 근로자의 개별적인 서면동의를 받으면 되나? … 223
▶ 연차휴가대체를 사업주가 일방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가? … 227
05 아르바이트생에게도 주휴일과 연차휴가를 줘야 하나? … 228
▶ 여성인 단시간근로자에게 생리휴가와 산전후휴가도 줘야 하는가? … 235
06 남자도 출산휴가를 갈 수 있나? … 236
▶ 신입 여직원이 산후 45일이 안 되었다면 출산전후휴가를 부여해야 하는가? … 241
07 부부가 동시에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나? … 243
▶ 육아휴직 사용 중에 자녀가 만 8세 이상이 된 경우 육아휴직은 종료되는 것인가? … 249
제7장 산재발생 시 알아둬야 할 필독실무
01 산재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아도 산재처리가 가능하다? … 253
▶ 상시근로자수가 1인 이상이 아닌 경우에도 산재보험에 가입해야 하는가? … 258
02 산업재해조사표는 언제까지 제출해야 하나? … 259
▶ 업무상 질병의 경우에도 산업재해조사표를 제출해야 하는가? … 263
| 산업재해 조사표 | … 265
03 구두닦이 사장님도 산재보험에 가입할 수 있나? … 266
▶ 자영업자(사업주)도 고용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가? … 270
| 자영업자 고용보험 가입신청서 | … 271
04 점심 먹으러 나갔다가 다쳤어도 산재처리가 되나? … 272
▶ 사업주가 주관한 회식에서 과음해 계단에서 추락한 경우 업무상 재해인가? … 279
05 하루만 고용한 ‘일용직’도 산재처리를 해줘야 하나? … 282
▶ 일용직의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적은 경우 통상임금으로 산재보상을 하는가? … 288
06 산재처리하면 반드시 산재보험료가 ‘할증’되나? … 289
▶ 사업주는 산재승인처분에 대해 취소소송으로 이의제기를 할 수 있는가? … 297
| 특별기획 | 중대재해처벌법은 50인 미만 사업장에는 언제부터 적용되나? … 299
제8장 사직과 해고 징계해고, 정리해고
01 사직의사를 철회하면 사직서를 돌려줘야 하나? … 303
▶ 홧김에 “차라리 그만두겠다”라고 한 말은 비진의 의사표시로 무효인가? … 307
02 희망사직일 7일 전에 그만두라고 하면 해고수당을 줘야 하나? … 309
▶ 사업주가 해고수당을 지급한 후, 정당한 해고로 판정을 받으면 해고수당을 반환청구 할 수 있는가? … 314
03 해고를 서면으로 통지하지 않으면 부당해고인가? … 316
▶ 재심절차에서 절차상의 하자를 치유했다면 정당한 해고인가? … 321
04 정리해고할 때에도 해고예고를 해야 하나? … 323
▶ 정리해고의 정당성 및 요건은 사업주가 입증해야 하는가? … 333
|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계획 신고서 | … 335
05 직장 내 성희롱으로 징계해고하는 것은 정당한가? … 336
▶ 성희롱·성추행 피해자가 사업주에게 위자료를 청구할 수 있는가? … 343
06 부당해고 이행명령을 불이행하면 이행강제금이 부과되나? … 345
▶ 부당해고를 한 사업주는 불법행위에 의한 위자료 지급책임이 있는가? … 351
제9장 퇴직절차에서 주의해야 할 실무
01 퇴사일로 14일 이내에 퇴직금 미지급 시 형사 처벌되나? … 355
▶ 소멸시효(3년)가 지났어도 공소시효(5년) 미경과 시 형사 처벌할 수 있는가? … 359
02 일용직과 아르바이트 직원에게도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나? … 361
▶ 개인질병이나 개인사정으로 인한 휴직기간에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는 방법 … 366
03 퇴직일로 3년이 지났으면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나? … 368
▶ 퇴직금 변제기 유예요청은 소멸시효 중단사유인 ‘승인’에 해당하는가? … 373
04 사업주 임의로 한 퇴직금 중간정산은 효력이 있나? … 375
▶ 정년퇴직한 촉탁직의 퇴직금 발생 여부 … 379
05 퇴사직원이 경쟁사에 입사한 경우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나? … 382
▶ 경쟁업체에 입사한 퇴사직원에게 경업금지약정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액(1,200만 원) 을 청구할 수 있는가? … 388
제10장 노사협의회 기본실무
01 노사협의회를 설치·개최하지 않으면 처벌되나? … 393
▶ 노사협의회규정과 함께 노사협의회 회의록도 관할 노동지청에 제출해야 하는가? … 397
| 제정(변경) 협의회 규정 제출서 | … 398
02 고충처리위원을 두지 않으면 처벌되나? … 399
▶ 노사협의회와 고충처리위원회는 별개의 제도인가? … 403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