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업 창업자를 위한 종이책과 이북 전차책에 대한 시장 분석과 가이드 또는 다시, K를 보다
땅끝
2025-01-04 07:51
136
0
본문
출판업 창업자를 위한 종이책과 이북 전차책에 대한 시장 분석과 가이드

도서명 : 출판업 창업자를 위한 종이책과 이북 전차책에 대한 시장 분석과 가이드
저자/출판사 : 비피기술거래, 비피기술거래
쪽수 : 118쪽
출판일 : 2021-08-27
ISBN : 9791161825229
정가 : 19500
머리말 1
I. 들어가기 5
1. 컨텐츠 산업은 어디로 가는가? 6
2. 소관부서 7
3. 체크의 방향성 8
4. 영국 사람들의 한국과 영국 비교 8
5. 산업의 변화에의 양보와 토대기반 8
6. 심리의 중심화 10
II. 웹소설에 대한 사람들의 심리와 동향 제시 11
1. 치열하다 12
2. 아이들의 장래희망 12
III. 종이책에 대한 심리 15
1. 들어가기 16
2. 종이책의 기본수요 16
3. 과거 출판의 황금기에는 이랬었다 17
IV. 전자책 이북에 대한 심리와 동향 21
1. 병행출판사의 증가 22
2. 전자책 매출이 종이책 대비 차지하는 비중 23
3. 판매의 동향 24
4. 태블릿 소장자들의 심리와 경향 분석 25
5. 아마존 등 미국과의 비교 26
6. 이북 전자책 소비자의 증가로 예상되는 모습 27
V. 세대별 종이책과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심리 29
1. 20대의 심리 30
2. 30대의 심리 32
3. 40대의 심리 33
VI. 타 산업과의 접근 37
1. 성인컨텐츠 트렌드 38
2. 케이블 종편, 게임 40
3. 유통업 배달업의 현재 상황과 미래 42
VII. 창업과 신사업적 검토 45
1. 들어가기 46
2. 플랫폼에 대한 창업 46
3. 전자책전문 출판사에 대한 창업 47
4. 이판사판 전략=벼랑끝 전략 49
VIII. 다른 산업과의 융합 가능성 51
1. 융합(화) 52
2. 업종이 풍부하지 않다 52
3. 구체 사례 53
IX. 전략 55
1. 병행 출판을 진행하라 56
2. 정부 정책과 지원에 관심을 가져라 57
3. 캐릭터 사업체로 전환하거나 만들어라 62
4. B급 전략 64
X. 트렌드 69
1. 들어가기 70
2. 컨텐츠 산업 관련 요소 70
3. 기술트렌드 82
XI. 출판의 미래 85
1. 가까운 미래 86
2. 다소 먼 미래 86
XII. 단상 89
XIII. 모토와 레슨 재정리 95
XIV. 출판 컨텐츠 전략 키워드 105
XV. 부록 115
다시, K를 보다

도서명 : 다시, K를 보다
저자/출판사 : 정호재, 메디치미디어
쪽수 : 280쪽
출판일 : 2021-12-01
ISBN : 9791157068920
정가 : 17000
프롤로그: 국경을 넘어야 문명이 된다 -4
1장: 한류, 아시아 문명의 철학이 될 수 있을까 -15
ㆍ 아시아 혁명의 최전선 케이팝 걸그룹 댄스
ㆍ ‘브리티시 인베이전’에 비견될 케이팝 인베이전
ㆍ 한국어의 가능성과 구글 자동번역 시대의 케이팝
ㆍ BTS도 일종의 명품일까
ㆍ 한국 4대 엔터기업 CEO의 철학적 기반
ㆍ 카라, 걸그룹의 위상과 역사를 바꾼 개척자
ㆍ 케이팝 1~3세대가 마주한 시대적 과제
ㆍ 한류에게 아시아는 벽인가 기회인가
2장: 제이팝, 제이 모델은 왜 세계화에 실패했나 -77
ㆍ 문명은 어떻게 쇠퇴하나
ㆍ 저작권이 막아선 일본의 현대
ㆍ 제이팝과 케이팝의 분기점 윙크와 강수지
ㆍ 정부와 시장의 조화, 일본 모델을 넘어설 수 있나
ㆍ 케이팝 외국인 멤버의 득과 실
ㆍ 걸그룹 센터 인사 조직, 민주주의와 엘리티즘 가로지르기
ㆍ 장인 정신이 현실 세계에서 위험한 이유
3장: 국경을 넘어 케이팝에 기여한 음악 -121
ㆍ 만주국이 키운 아시아 낭만가요
ㆍ 글로벌 시대에도 유효한 국민가수 계보
ㆍ 아시아 도시 문명의 대변인 무라카미 하루키와 왕가위
ㆍ 영국, 동남아 귀족 사회의 지향
ㆍ 개인주의 공맹(孔孟)에게 국적이 의미가 있을까
ㆍ 포르노 에로티시즘도 문명인가, 미옌링 논쟁
ㆍ 현대의 발레 갈라쇼 케이팝 군무
4장: 너무나도 정치적인 한류와 케이 모델 -165
ㆍ 동북아 빠링허우 세대의 탄생
ㆍ 스타와 사회의 불화, 최초의 소셜 인플루언서 신해철
ㆍ 라디오는 정치적인가, 마지막 라디오 스타 정은임
ㆍ 한국과 미얀마의 접점, 토착신과 음악
ㆍ 최우방에서 ‘쯔위국’이 된 대만의 숨은 정체성
ㆍ 보통 사람들의 꿈과 좌절에 관하여
ㆍ 아시아적 가치와 보수주의 걸그룹 소녀시대
5장: 자주인가, 세계화인가 -215
ㆍ 한국 극우와 일제의 적대적 공생
ㆍ 내셔널리즘과 제국주의의 유기적 관계, 유승준과 BTS
ㆍ 순수한 주권에 관하여, 서태지와 이문열의 갈림길
ㆍ 식민지를 피한 조선의 미래는 어떠했을까
ㆍ 태국의 10월 혁명과 국가폭력 그리고 동학농민운동
ㆍ 동남아의 식민지 근대화론, 아세안 사람은 게으른가
ㆍ 한류의 적은 식민지 근대화론인가, 국뽕인가
ㆍ 아시아에서 차별은 언제까지 계속될까
ㆍ 자주권의 21세기적 의미
에필로그: 〈오징어 게임〉과 아시아 대표로서의 K -275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