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나가는 모차르트 개런티는 얼마일까 또는 사서삼경 선해
땅끝
2024-12-25 10:41
142
0
본문
잘 나가는 모차르트 개런티는 얼마일까

도서명 : 잘 나가는 모차르트 개런티는 얼마일까
저자/출판사 : 야마네 고로, 시그마북스
쪽수 : 200쪽
출판일 : 2022-05-06
ISBN : 9791168620223
정가 : 16000
지은이의 말
작곡가 관계도
간이 연표
QR코드 사용법
작곡가 평가 기준
제1장 바로크 시대 마지막을 장식한 두 거장
독일의 음악 장인 바흐 | 영국의 성공한 음악가 헨델
제2장 초기 고전파를 대표하는 궁정음악가
헝가리 귀족을 모신 하이든 | 스페인 왕자를 모신 보케리니
제3장 빈 고전파의 전성기
천재 프리랜서 작곡가 모차르트 | 빈 음악계를 이끈 살리에리
제4장 고전파에서 낭만파로
베토벤과 음악가를 지원하는 기업
제5장 낭만파의 발아
요절한 비운의 가곡왕 슈베르트 | 조기 은퇴한 오페라의 왕 로시니
제6장 낭만파의 초석을 다진 음악가
뛰어난 문필가 겸 작곡가 슈만 | 유능한 지휘자 겸 작곡가 멘델스존
제7장 세기의 천재 피아니스트들
살롱의 최고 인기 피아니스트 쇼팽 | 극장의 슈퍼스타 리스트
제8장 오페라를 완성시킨 두 명의 거장
독일 악극의 왕 바그너 | 이탈리아 가극의 왕 베르디
제9장 무르익은 낭만파의 음악
독일 음악의 계승자 브람스 | 전 세계 왈츠의 왕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제10장 프랑스의 낭만파
오페라 성공을 꿈꿨던 비제 | 파리 악단의 장로 생상스
제11장 체코 음악가의 활약
조국의 발전에 이바지한 스메타나 | 국제적 명성을 얻은 드보르자크
제12장 러시아의 새로운 물결
관대한 후원자의 도움을 받은 차이콥스키 | 겸업작곡가 집단 러시아 5인조
제13장 북유럽 국가와 음악가
안정을 선호한 노르웨이의 거장 그리그 | 핀란드 구국의 빚쟁이 시벨리우스
제14장 후기 낭만파의 명지휘자
지휘로 생계를 유지한 말러 | 지휘와 작곡으로 성공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제15장 인상파, 프랑스의 새로운 물결
파격적인 음향예술가 드뷔시 | 꼼꼼한 음색 장인 라벨
제16장 부흥하는 영국 음악
영국 음악계의 중진 엘가 | 인텔리 민요 수집가 본 윌리엄스
제17장 근대 러시아의 피아노 음악
러시아 혁명 전에 요절한 스크랴빈 | 미국으로 망명하여 성공한 라흐마니노프
제18장 현대 음악으로의 서장
민요를 작곡의 원천으로 삼은 버르토크 | 새로운 음악론을 추구한 쇤베르크
제19장 동과 서의 20세기 음악
조국에 돌아가 활동한 프로코피예프 | 외국에서 대성공한 스트라빈스키
Column
주요 참고문헌
사서삼경 선해

도서명 : 사서삼경 선해
저자/출판사 : 청원 무이, 좋은땅
쪽수 : 328쪽
출판일 : 2022-03-03
ISBN : 9791138807081
정가 : 18000
프롤로그
제1부 대학(禪解)
제1장 대학의 3대 강령
1. 대학지도(大學之道)
2. 명명덕(明明德)
3. 친민(親民)
4. 지어지선(止於至善)
제2장 대학의 6단계 수행
1. 지지이후유정(知止而后有定)
2. 정이후능정(定而后能靜)
3. 정이후능안(靜而后能安)
4. 능려(能慮) 능득(能得)
제3장 일상에서의 도(道)
1. 본말(本末), 종시(終始), 선후(先後)
2. 주역의 중정무구 음양화평
제4장 대학의 8조목
1. 8조목
2. 8조목과 3대 강령
3. 대학과 상원갑자
제2부 중용(中庸)
1. 성(性), 도(道), 교(敎)
2. 도(道)와 신독(愼獨)
3. 중(中) 그리고 화(和)
4. 군자(君子)와 중용(中庸)
5. 중용(中庸)의 지극함
6. 도(道)가 행해지지 않는 까닭
7. 처한 곳에서 행할 뿐
8. 자신을 바르게 할 뿐
9. 군자와 활쏘기
10.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11. 귀신의 덕
제3부 논어(論語)
제1장 논어의 대의
1. 극기복례(克己復禮)
2. 군자의 삶
3. 군자의 어짐
제2장 공자님의 법향(法香)
1. 배우는 기쁨
2. 벗이 찾아오면
3. 화를 내지 않으면
4. 가난하되 즐겨야
5. 내 눈의 들보
6. 시란 사특함이 없는 것
7. 지천명 그리고 이순
8. 옛것과 새것
9. 군자불기
10. 앎과 모름
11. 낙이불음
12. 아침에 도를 들으면
13. 눈 뜬 장님
14. 걸림 없는 삶
15. 의와 이득
16. 어진 이를 닮으라
17. 말과 행동
18. 말은 어눌하게
19. 덕은 외롭지 않다
20. 안빈낙도의 삶
21. 미리 한계 짓지 말라
22. 본바탕과 무늬
23. 좋아하고 즐겨라
24. 모가 나야 할 땐 모나야
25. 배움에 대한 최소한의 예
26.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27. 괴력과 난신
28. 세 사람이 길을 갈 때
29. 이것이 공구다
30. 사치와 검소함
31. 소인배의 근심 걱정
32. 나라에 도가 있다면
33. 공자님에게 없는 네 가지
34. 시작과 끝
35. 군자의 뜻
36. 소나무와 잣나무의 지조
37. 사람을 섬기는 일
38. 과유불급
39. 극기복례
40. 역지사지
41. 군군 신신 부부 자자
42. 친구 사이의 우정
43. 삼백 편의 시를 외우면
44. 바른 몸
45. 화이부동 동이불화
46. 착한 사람들이 좋아해야
47. 태연하나 교만하지 않다
48. 소인배에게 인자함은 없다
49. 속이지 말고 직언하라
50. 군자는 위로, 소인은 아래로
51. 남의 다리 긁는 일
52.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53. 하나로써 모든 것을 꿰뚫는다
54. 말할 때와 하지 말아야 할 때
55. 군자는 자신에게서 구한다
56. 말로써 천거하지 않는다
57. 종신토록 행할 한마디
58. 지공무사하게 대할 뿐
59. 사람이 도를 넓힌다
60. 잘못을 바로잡지 않는 잘못 2
61. 말은 뜻을 전달할 뿐
62. 성품은 같고 습관이 다르다
63. 지혜로운 자와 어리석은 자
64. 향원은 덕의 적
제4부 맹자(孟子)
제1장 맹자의 대의
1. 병의 진단 및 치료
2. 호연지기와 인의예지
제2장 맹자님의 법향(法香)
1. 어찌 이득을 말하는가?
2. 오십 보, 백 보
3. 때를 알면
4. 무항산 무항심
5. 마음, 기(氣), 말
6. 뜻과 기(氣)
7. 호연지기
8. 하되 함이 없이
9. 말을 안다는 것
10. 공자님의 무애자재
11. 인의예지 사단
12. 모든 것은 나의 문제
13. 모든 것은 나로부터
14. 나를 해치고 버리는 짓
15. 눈은 마음의 창
16. 그친 후 행하라
17. 구기방심
18-1. 존야기(存夜氣)
18-2. 존야기(存夜氣)
18-3. 존야기(存夜氣)
19. 마음을 보존하고 성을 기르는 것
20. 구하면 얻고 버려두면 잃는다
21. 부끄러운 줄 알아야
22. 이름을 드러내기 좋아하는 사람
23. 양지, 양능
24. 시작과 끝, 나아감과 물러남
25. 욕심과 욕망은 적게
에필로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