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루에서 세상을 보다 또는 아렌트와 논술하기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망루에서 세상을 보다 또는 아렌트와 논술하기

땅끝
2024-12-25 10:41 108 0

본문




망루에서 세상을 보다
9791192486161.jpg


도서명 : 망루에서 세상을 보다
저자/출판사 : 남궁랑, 행복에너지
쪽수 : 284쪽
출판일 : 2022-08-15
ISBN : 9791192486161
정가 : 20000

책 머리에·4

축사·8

[1부] 세상을 보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14
위기 속 K, 그래도 나아간다·18
우크라이나 전쟁, 승자는 있을까?·23
경기북도論·26
수축사회·31
두 마리 회색코뿔소가 다가온다·35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matio)·40
한국인, 누구인가?·45
트랜스 휴머니즘(Trans Humanism)·49
코로나 디바이드(Corona Divide) 이후·54
편 가르지 않는 사회·59
통일한국의 2050년·63
코로나19, 위기 속의 기회다·67
집값, 삶의 질과 비례하나?·70
주류의 교체, 기회가 되기를…!·73
‘노아의 방주’가 필요한가?·77
4.15총선과 여론조사·81
한국경제, 더 이상 ‘탄광 속의 카나리아’가 아니어야!·84
부모보다 못사는 첫 세대·88
일본 경제보복, 역전의 계기로!·91
세금운용, 이대로 좋은가?·96
일본이라는 나라·100
G2 사이, 선택의 기로에서·104
선진국 진입을 위한 국가역량·108
세금중독 정부·112
미군부대, 명과 암을 딛고…·116
본유관념(本有觀念)·120
‘자유’ 없는 민주적 질서?·124
비혼(非婚), 문화인가?·127
채무 제로(Zero) 시대·130
개미와 베짱이 3.0·133
대선과 세금정책·136
청렴시민감사관·140
한국인의 DNA·143
‘인구지진’과 정유새해·147
봉건사회와 대한민국의 현주소·151
브렉시트(Brexit), 신고립주의인가?·155
국민소득 3만 달러의 벽·159
다문화 사회·163
한국경제, 괜찮은가?·167
인류사회, 그 현실과 미래·171
그리스 사태의 교훈·174
서울시 의정부구(區)!?·178
‘성공기준 3.0’·182
내부고발, 선(善)이어야 한다·186
뉴 거버넌스(New governance)·190
해방 70년, 국교정상화 50년·194
‘전환(轉換)’의 계곡·198
청문회 유감… 고위 공직자와 도덕성·202
‘지방선거, 신중한 한 표가 지역발전 초석된다’·205
『노벨상이 최고선은 아니지만…!』·210
사회비용, 이제는 한 번쯤 생각을…·214
일본 국수주의(國粹主義)·217
톨레랑스(Tolerance)·221
‘문화권력’의 힘·224
환경문제, ‘끓는 물 속의 개구리’로 둘 것인가?·227

[2부] 망루에 올라서
“신들의 산, 킬리만자로!!”·231




아렌트와 논술하기
9791190178938.jpg


도서명 : 아렌트와 논술하기
저자/출판사 : 리강, 한티재
쪽수 : 308쪽
출판일 : 2022-05-16
ISBN : 9791190178938
정가 : 16000

머리말

프롤로그 _ 논술 여행을 함께 떠날 벗들에게
대한민국 ‘논술’의 역사
대학 입시를 넘어, 갈수록 중요해지는 논술 능력
왜 한나 아렌트인가?

1장 아렌트가 나온 논술 문제들
숙명여대(2008) / 한국외대(2009) / 건국대(2010) / 홍익대(2011) / 중앙대(2011) / 이화여대(2012) / 연세대(2014) / 광운대(2015) / 서울시립대(2017) / 경희대(2017) / 단국대(2018) / 이화여대(2019) / 부산대(2020) / 중앙대(2020) / 숭실대(2022)

2장 도대체 아렌트와 논술은 무슨 상관일까?
2-1 의식적, 자발적 파리아
2-2 ‘난간 없는 사유’란 무엇인가?
2-3 아렌트와 논술이 만나면

3장 전체주의는 어떻게 작동하나?
3-1 전체주의를 깨운 것은 대중이다
3-2 엘리트는 왜 전체주의를 지지했나?
3-3 전체주의 선전은 얼마나 ‘오묘하게’ 작동하는가?
3-4 전체주의 운동은 어떻게 조직되고 움직이나?
3-5 총체적 지배란 무엇인가?
3-6 논술 속 아렌트 : 상상해 봐, 전체주의가 없는 세상을!

4장 왜 인간의 ‘본질’이 아니라 ‘조건’인가?
4-1 왜 인간의 ‘조건’인가?
4-2 아렌트는 노동을 부정하는가?
4-3 작업 혹은 제작은 세계를 건설할 수 있나?
4-4 행위하고 말하는 인간의 ‘아모르 문디’
4-5 세계 소외, 그리고 지구 소외
4-6 논술 속 아렌트 : 인간은 노동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

5장 아이히만이 보여 준 ‘악의 평범성’
5-1 정의를 실현할 듯한 집
5-2 아이히만은 악마인가?
5-3 최종 해결책, 학살
5-4 조금의 ‘희망’, 그리고 아이히만의 마지막 변명
5-5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세계시민적 문제들
5-6 논술 속 아렌트 : 우리는 서로 공감할 수 있을까?

6장 과거와 미래의 틈새에서 끊임없이 혁명이 일어난다
6-1 혁명에 절대자는 있어야 하나?
6-2 해방과 자유는 어떻게 다른가?
6-3 행위의 재앙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6-4 진정한 정치 윤리를 찾아서
6-5 논술 속 아렌트 : 과연 혁명은 성공할 수 있을까?

에필로그 _ 혁명적인 논술의 시작을 위하여

한나 아렌트, 짧은 연대기
이 책에서 다룬 아렌트의 책들
이 책을 쓰며 참고한 책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