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의 뿌리 또는 2023 윤승현 교육학 Eye to Eye
땅끝
2024-12-25 10:41
159
0
본문
보수의 뿌리

도서명 : 보수의 뿌리
저자/출판사 : 프랑크 메이어, 돌밭
쪽수 : 386쪽
출판일 : 2022-02-03
ISBN : 9791197667602
정가 : 25000
1 자유, 전통, 보수주의 Freedom, Tradition, Conservatism
프랑크 S. 메이어
2 규범, 권위, 질서 있는 자유 Prescription, Authority, and Ordered Freedom
러셀 커크
3 권리장전과 미국의 자유 The Bill of Rights and American Freedom
윌무어 켄달
4 보수주의자의 자유 A Conservative Case for Freedom
M. 스탠톤 에반스
5 경제적 자유가 관건이다 Education in Economic Liberty
빌헬름 뢰프케
6 왜 나는 보수주의자가 아닌가? Why I Am Not a Conservative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7 이성의 한계와 전통의 회복 Reason and the Restoration of Tradition
스탠리 패리, C.S.C.
8 보수주의자의 정체성을 찾아 The Conservative Search for Identity
스티븐 J. 톤소
9. 편의로 탄생한 국가 The Convenient State
개리 윌스
10 자유기업의 도덕성 The Morality of Free Enterprise
존 체임벌레인
11. 보수주의의 실증적 정의 Notes towards an Empirical Definition of Conservatism
윌리엄 F. 버클리 Jr.
12. 합의와 차이 Consensus and Divergence
프랑크 S. 메이어
부록
1. 우리 시대의 독단 The Dogma of Our Times
프랑크 초도로프
2. 보수주의란 무엇인가? What is Conservatism?
오피르 하이브리, 요람 하조니
2023 윤승현 교육학 Eye to Eye

도서명 : 2023 윤승현 교육학 Eye to Eye
저자/출판사 : 윤승현, 메가스터디교육
쪽수 : 764쪽
출판일 : 2022-06-15
ISBN : 9791167220653
정가 : 44000
PART Ⅰ 교육의 이해
01 영역별 출제 내용 및 핵심체크
02 교육의 기초
03 교육의 목적
04 교육의 유형
05 4차 산업혁명과 미래교육
06 교사론
PART Ⅱ 한국교육사
01 영역별 출제 내용 및 핵심체크
02 관학/사학, 시대별 교육의 특징
03 조선시대 이전의 교육
04 조선시대의 교육
05 근대교육 1 : 개화기의 교육
06 근대교육 2 : 일제 강점기의 교육
07 현대교육 : 해방 이후의 교육
PART Ⅲ 서양교육사
01 영역별 출제 내용 및 핵심체크
02 고대의 교육
03 중세의 교육
04 15~16세기 르네상스(인문주의) 교육
05 16세기 종교개혁기 교육
06 17세기 실학주의 교육
07 18세기 계몽주의 교육
08 18세기 루소의 자연주의
09 19세기 신인문주의 교육, 공교육제도
10 20세기 교육
PART Ⅳ 교육철학
01 영역별 출제 내용 및 핵심체크
02 교육철학 개괄
03 통합적 방법론적 다원주의(켄 윌버)
04 현대의 교육철학
PART Ⅴ 교육과정
01 영역별 출제 내용 및 핵심체크
02 교육과정의 정의와 역사
03 교육과정의 분류 1 : 개괄
04 교육과정의 분류 2 : 공식성의 정도에 따라
05 교육과정의 분류 3 : 통합성의 정도에 따라(다학문적, 간학문적, 초학문적 접근)
06 20세기 미국의 대표적 교육과정(교과중심, 경험중심, 학문중심, 인간중심, 사회개조)
07 교육과정 이해 패러다임 : 재개념주의자(파이너, 애플, 아이즈너)
08 교육과정 개발모형과 역사적 전개
09 교육과정 개발모형 1 : 목표중심 모형(타일러, 타바, 성취기준 중심)
10 교육과정 개발모형 2 : 역동적 모형(슈왑, 워커)
11 교육과정 개발모형 3 : 학교중심 모형(스킬백, 구성주의, 교육과정 재구성)
12 교육과정 개발모형 4 : 아이즈너(E. Eisner)의 예술적 개발 모형
13 교육과정 개발모형 5 : 위긴스와 맥타이의 역방향 설계 모형
14 교육과정 개발모형 6 :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 모형
15 교육과정 개발(설계)절차
16 교육과정 실행(운영) : 스나이더(J. Snyder)의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
17 교육과정 - 2015 개정교육과정 - 주요내용
18 교육과정 - 2022 개정교육과정 - 주요내용
PART Ⅵ 교육심리학
01 영역별 출제 내용 및 핵심체크
02 교육연구
03 교육심리학 기초이론
04 발달이론
05 인지발달 1 : 발달이론 비교
06 인지발달 2 : 피아제(발생적 인식론, 인지적 구성주의)
07 인지발달 3 : 비고츠키(사회문화적 발달이론, 사회적 구성주의)
08 성격발달 : 프로이드, 에릭슨, 마샤 & 성격검사
09 도덕성 발달 : 콜버그, 길리건, 래쓰, 아리스토텔레스, 리코나
10 사회성 발달 : 셀만의 조망수용능력 발달
11 뢰빙거(J. Loevinger)의 자아발달이론
12 엘킨드(D. Elkind)의 청소년기 자아중심성(Adolescent Egocentrism)
13 브론펜브래너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ecological system theory)
14 개인차 1 : 지능
15 개인차 2 : 창의성
16 개인차 3 : 인지양식(cognitive style)
17 개인차 4 : 정의적 특성
18 개인차 5 : 능력별 집단편성
19 개인차 6 : 학습동기
20 학습이론 : 개괄
21 학습이론 1 : 행동주의 학습이론
22 학습이론 2 : 반두라의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
23 학습이론 3 : 인지주의(형태심리학, 정보처리이론)
24 학습이론 4 : 인본주의 학습이론
25 학습이론 5 : 구성주의 학습이론
26 학습이론 6 : 전이(transfer)
PART Ⅶ 생활지도
01 영역별 출제 내용 및 핵심체크
02 생활지도
03 청소년 비행이론
04 진로교육과 진로이론
05 상담 : 원리와 기법
06 상담의 종류
07 적응과 부적응
PART Ⅷ 교수 · 학습(교육공학)
01 영역별 출제 내용 및 핵심체크
02 교수 · 학습의 기초
03 교수설계
04 교수체제설계/개발(ISD)
05 ADDIE 모형
06 딕(Dick)과 케리(Carey)의 교수설계모형
07 라이겔루스의 정교화이론(Elaboration Theory)
08 가네(Gagne)의 목표별 수업(학습조건)이론
09 메릴의 내용요소 제시이론/스미스와 라간의 교수설계모형
10 유의미수용학습(오수벨) vs 발견학습(브루너)
11 완전학습이론 - 캐롤, 블룸, 스키너
12 개별화수업
13 플랜더스, 란다, 스캔두라
14 교수 · 학습집단의 조직
15 교육공학 1 : 영역, 발달과정
16 데일의 시청각 교육이론(경험의 원추)
17 교육공학 2 : 통신이론(커뮤니케이션 이론)
18 교수매체
19 에듀테크
20 소프트웨어 교육
21 객관주의 vs 구성주의
22 객관주의 교수이론 : 지시적 수업
23 과정-산출모형 : 던컨과 비들의 수업연구 모형
24 구성주의 수업이론
25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 모형(CLEs :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26 자기주도적 학습, 자기조절학습
27 자원기반학습(Big6 Skills)
28 구성주의 수업모형
29 교수 · 학습 이론 비교
30 협동학습
31 보편적 학습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32 기타 교수방법 : 강의법, 문답법, 토의법, 역할극
PART Ⅸ 교육평가
01 영역별 출제 내용 및 핵심체크
02 교육평가의 기초
03 교육평가의 모형
04 교육평가의 유형
05 평가도구의 양호도 :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 실용도
06 평가자의 평정 오류(객관도와 관련)
07 문항분석 - 문항의 양호도(고전검사이론, 문항반응이론)
08 수행평가/포트폴리오/구성주의 평가
09 정의적 능력 평가
10 교육통계
PART Ⅹ 교육평가
01 영역별 출제 내용 및 핵심체크
02 교육사회학의 패러다임 1 : 기능론(구조기능주의)
03 교육사회학의 패러다임 2 : 갈등론
04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패러다임 3 : 해석학적 관점(신교육사회학)
05 학력상승(학교팽창)
06 교육과 사회평등 : 능력주의
07 교육 평등관
08 교육격차에 대한 논쟁
09 학업성취도 격차의 원인
10 교육선발과 시험
11 다문화교육
12 공교육의 위기와 교육개혁
PART ? 교육행정학
01 영역별 출제 내용 및 핵심체크
02 교육행정의 기초
03 교육행정이론의 발달과정
04 동기이론
05 지도성이론
06 교육조직론
07 조직풍토론
08 조직문화론
09 조직갈등론 : 토마스의 갈등처리모형 5가지
10 의사소통론
11 교육기획과 교육정책
12 교육제도 및 행정조직
13 장학
14 교육인사행정
15 교육재정론
16 학교-학급경영론
17 교육법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