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학의 기초 또는 창조도시의 시대
땅끝
2024-12-25 10:41
119
0
본문
윤리학의 기초

도서명 : 윤리학의 기초
저자/출판사 :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종문화사
쪽수 : 296쪽
출판일 : 2022-02-28
ISBN : 9791187141730
정가 : 18000
1장 현대 세속문화의 도덕과 윤리
1. 근대 사회의 인간학적 토대 그리고 교의학에 대한 윤리학의 우선성
2. 도덕적 규범의식의 해체
도덕적 정의주의(情意主義)
니체의 도덕 비판
기독교의 윤리적 시대와 그 종결
3. 도덕의 공적인 기능이 상실되었는가?
사회의 탈도덕화 현상
탈도덕적 사회에서도 여전히 요구되는 도덕성
법질서와 도덕
4. 삶의 영위에 있어서 도덕적 동기화와 윤리적 지향
삶의 영위와 윤리
상호 간의 승인
1장
2장
2장 윤리의 발생과 윤리적 정당화의 주요 방법들
1. 관습, 법률, 윤리
관습과 법률
윤리학의 발생
2. 선론적 윤리학
소크라테스의 선론
자연주의적 오류
주지주의적 왜곡?
행복주의
쾌락주의
선과 쾌락의 상관성
가치윤리학
선에 대한 추구의 왜곡과 아리스토텔레스
3. 선(善)에 대한 플라톤적 물음의 기독교적 변형
아우구스티누스의 선론
하나님과 최고선
초월적 지복의 현재적 선취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 체계와 계명
아퀴나스의 덕론
4. 의무론적 윤리학
신학적 계명윤리
스토아와 키케로의 의무론
암브로시우스의 의무론
5.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학
선의지
정언명령(定言命令)
칸트 의무윤리와 스토아 의무윤리
장
3장 윤리의 토대 - 주요 시도들에 대한 비판적 평가
공리주의
1. 칸트 윤리학의 형식주의
야코비와 슐라이어마허의 비판
헤겔의 비판
내용을 담고 있는 도덕적 원칙
2. 자연법과 기독교의 계명윤리
자연법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상호호혜성의 원리
결의론(決疑論)의 문제
십계명과 공동적 삶
공동적 삶의 규칙과 개인적 삶에서의 수용
3. 선론과 윤리학의 신학적 토대
개인의 선과 공동체의 선
슐라이어마허의 선론적 윤리
칸트와 슐라이어마허에게서 최고선의 이해
칸트와 슐라이어마허의 하나님 나라 이해
트뢸치의 하나님 나라 이해
렌토르프의 하나님 나라 이해
하나님 통치의 미래성과 윤리학
4장 하나님 나라와 윤리
1. 종말론적 메시지의 귀결로서 예수의 율법 해석
하나님의 통치의 미래성과 현재성
하나님의 사랑과 인간의 행위
사랑의 이중계명 -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 9
2. 사랑과 호의
라이프니츠의 호의
칸트의 비판
은혜와 사랑
성서적 이웃사랑과 보편적 호의
3. 인간의 피조성과 사랑의 계명
인간의 주어진 삶
렌트로프 윤리의 첫 번째 근본 요소 - 삶의 수용성
렌토르프 윤리의 두 번째 근본 요소 - 삶의 능동성
렌토르프 윤리의 세 번째 근본 요소 - 삶의 반성
기독교 윤리적 논증의 인간학적 기초와 종말론적 전망
새로운 인간 정체성과 타인에 대한 호의
4. 사랑과 법률
우정에서의 호의
지속적인 인간관계에서의 호의
계약적, 법률적 관계에서의 호의
법률과 사랑의 관계
5. 하나님의 사랑과 인간 공동체의 구축
하나님의 사랑의 대상으로서의 공동체
하나님의 계명과 인간 공동체의 형성
공동체의 토대로서의 신앙
5장 기독교 윤리와 인간 보편적 윤리성
1. ‘특별하게 기독교적인’ 윤리가 존재하는가?
기독교 윤리와 철학적 윤리의 내용적 일치
종교개혁적 윤리학
슐라이어마허 윤리학
슐라이어마허에 대한 평가
바르트의 그리스도론적 윤리학
트뢸치의 기독교 사회윤리학
사회윤리의 기독교적 뿌리
기독교 윤리의 인도주의적 보편타당성
2. 신학적 분과로서 윤리학이 교의학과 가지는 관계성
교의학의 기반 위에 있는 윤리학
인간학적 · 창조신학적 근거
교의학에 대한 윤리학의 상대적 자립성
3. 기독교 윤리의 인간학적 전제
하나님과의 공동체성과 인간의 개인적 차원
하나님과의 공동체성과 인간의 사회적 차원
인간의 죄성
6장 세속화된 사회적 상황에서의 기독교 윤리의 원칙
기독교 윤리의 대조성
그리스도인의 개인적 삶과 공동적 삶의 윤리적 근본 관점들
1. 자기실현과 봉사
인격권과 자유권
자유권의 제약
보편적 봉사와 특정 직무의 봉사
루터의 소명론
봉사의 차별성과 우선성
2. 자기 통제
현대적 인간 이해와 기독교적 인간 이해
이기적인 욕구의 제어
자기 절제와 그 목적
죄에 대한 지배와 덕론
공동체적 삶의 형태
3. 부부와 가족
가족결속과 가족관계
가족과 사회화
부부의 우선성과 해체불가성
인간의 사회성과 부부
부부관계에 대한 윤리적 고찰
부부와 성(性)
부부관계와 하나님과의 공동체성
부부와 가족
4. 세속적 국가에서의 기독교적 행위
국가 질서와 인간의 본성
창조질서 혹은 보존질서
국가와 종교
국가와 교회
근대의 세속적 국가와 기독교
민주주의와 자유사상
민주주의와 인간존엄성
국민 주권
국민 선거
민주주의 입헌제에서 기독교의 역할
국가 질서의 종교적 기반 혹은 이데올로기적 기반
국가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역할
현대적 인간 이해와 기독교적 인간 이해
이기적인 욕구의 제어
자기 절제와 그 목적
죄에 대한 지배와 덕론
공동체적 삶의 형태
색인
창조도시의 시대

도서명 : 창조도시의 시대
저자/출판사 : 이두현, 지식과감성
쪽수 : 236쪽
출판일 : 2022-10-20
ISBN : 9791139206951
정가 : 16000
서론
1장 창조성의 이론적 배경
창의성과 상상력
창조성이란?
창조적 사고의 과정과 한계
창조성에도 규모가 있다
2장 창조산업의 이해
창조산업의 등장과 정의
창조산업의 분류 유형
문화, 그리고 문화산업이란?
창조산업과 문화산업의 관계
창조산업과 산업클러스터
창조산업의 지수 측정
3장 창조경제의 이해
존 호킨스의 창조경제
영국의 창조경제
UNCTAD의 창조경제
한국의 창조경제
4장 창조계급과 창조사회
창조계급이란?
플로리다의 창조계급 분류
플로리다의 창조계급과 3T
우리나라의 창조계층
창조생태계와 창조사회
5장 문화도시와 창조도시론
문화도시란?
문화도시의 유형
문화도시와 유럽문화수도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문화도시와 창조도시의 차별성
6장 도시재생과 창조도시론
도시재생의 정의와 유형
도시재생 이론의 탐구
우리나라의 도시재생
젠트리피케이션(둥지 내몰림)
도시재생 전략과 창조도시 전략
7장 창조도시의 발전과 창조도시론
창조도시의 발달
창조도시의 패러다임
창조도시이론의 발달과 제인 제이콥스
문화와 산업, 그리고 창조적 융합을 강조한 피터 홀
창조환경에 주목한 찰스 랜드리
창조계급론을 주창한 리처드 플로리다
문화와 경제에 주목한 사사키 마사유키
국내 창조도시 연구
창조도시론의 정립
8장 창조도시의 유형
창조도시론가의 유형 분류
창조도시의 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창조정책 추진 유형에 따른 분류
창조성 유형에 따른 분류
창조도시의 사례 유형에 따른 분류
통합적 유형 분류
9장 도시의 창조성 지수
복잡계 속 도시와 평가
창조도시론자의 창조성 지수
글로벌 창조성 지수(GCI: Global Creativity Index)
유로 창조성 지수(Euro Creativity Index)
유럽 창조성 지수(ECI: European Creativity Index)
홍콩 창조성 지수(HKI: Hong Kong Creativity Index)
글로벌 혁신 지수(GII: Global Innovation Index)
STEPI 창의성 지수(STEPI-Creativity Index)
국내의 도시 창조성 지수
창조성 지수 비교 분석
창조성 지표의 함정
10장 세계 주요 도시의 창조성 역량
공간적 위치와 도시 성장 기반
프로젝트의 실천과 협력적 커뮤니티
도시유산의 보존과 도시재생
창조 인재와 창조적 교육 시스템
창조산업의 환경 조성과 지역 대학 연구 협력
관용 도시와 안전한 도시
창조관광의 육성과 국제 네트워크 구축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