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인류 또는 텃밭농사 흙 만들기 비료 사용법 교과서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재난 인류 또는 텃밭농사 흙 만들기 비료 사용법 교과서

땅끝
2024-12-25 10:41 115 0

본문




재난 인류
9791168122321.jpg


도서명 : 재난 인류
저자/출판사 : 송병건, 위즈덤하우스
쪽수 : 484쪽
출판일 : 2022-02-25
ISBN : 9791168122321
정가 : 22000

프롤로그: 재난에 대처하고 도전해온 인류의 노력

본문을 읽기 전에: 재난을 이해하는 우리의 자세
통제하기 힘든 역사적 대재앙들 | 재난을 구분하는 세 가지 기준 | 오늘날에도 피할 수 없는 재난 | 재해, 재난, 재앙 | 무엇이 재난 관념을 만드는가 | 실제 재난과 재난 관념의 괴리 | 미디어에 등장하는 재난 | 재난이 촉발한 인류의 진화 | 고대 및 중세시대의 재난 | 근대의 재난 | 산업사회의 출현과 새로운 재해의 탄생 | 공업화사회 이후 재해의 확산 | 우리의 안전을 확보하는 방법

1부 거역할 수 없는 자연의 힘: 자연재난의 시대

1 도시를 멸망시킨 거대한 불: 화산 폭발
불을 쏟고 유독가스를 내뿜는 화산의 공포| 화산 폭발을 일으키는 지각판의 이동 | 베수비오 화산 폭발과 폼페이의 멸망 | 폼페이를 기억하는 방법 | 신의 형벌인가, 지구의 변동인가 | 백두산의 과거와 미래

2 중세를 휩쓴 최악의 팬데믹: 흑사병
교역로를 따라온 대역병의 그림자 | 흑사병의 정체 | 감염에 대한 공포가 유럽을 지배하다 | 희생양 찾기에 급급한 대응책 | 흑사병이 변화시킨 세계

3 대항해시대의 끔찍한 교환: 감염병
지구가 하나로 통합되다 | 콜럼버스의 교환 | 인디오를 향한 수탈과 정복의 흑역사 | 유럽 대륙을 건너온 감염병 | 조선시대에 창궐한 천연두의 공포 | 홍역의 소멸과 부활 | 세계화의 과정에서 나타난 재난

4 유럽에 불어 닥친 추위와 공포: 소빙하기의 저온 현상
2도 낮은 평균기온이 가져온 추위 | 소빙하기와 태양흑점의 관계성 | 오히려 추위를 반긴 사람들 | 냉해의 피해와 대기근 | 저온 현상과 마녀 사냥

5 계몽의 시대를 앞당기다: 리스본 지진
종교적 사회에서 세속적 사회로 | 거대한 정신혁명의 시기 | 가공할 만한 지진의 파괴력 | 유럽에서 기록된 가장 강력한 지진 | 전통적 해석과 계몽주의의 충돌 | 자연재난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 지진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

2부 인간이 스스로 만든 참사: 인공재난의 시대

6 검게 물든 죽음의 그림자: 석탄 산업 재해
도시화와 석탄의 등장 | 아이들을 굴뚝 청소부로 고용하다 | 굴뚝 청소 노동의 개혁 | 산업혁명을 불러온 탄광의 증가 | 갱도에서 벌어진 끔찍한 재해 | 위험한 탄광 노동의 개혁 | 런던 하늘을 뒤덮은 ‘콩수프 안개’

7 교통의 진보가 가져온 비극: 운송수단 사고
혁신과 발명의 전성시대 | 교통 발달로 인한 재난의 변화 | 대중의 관심을 끈 철도 사고 | 철도 사고를 막기 위한 노력 | 최초의 자동차 사고 | 타이타닉호의 비극 | 아직 끝나지 않은 해난 사고

8 가난과 굶주림의 공포가 엄습하다: 대분기와 감자 기근
대분기와 세계화의 이면 | 저소득층의 식량이 된 악마의 식물 | 감자 역병의 창궐 | 자유방임주의 정책에 희생된 사람들 | 새로운 기회를 찾아 떠난 사람들 | 세계화된 동식물 감염병의 위험 | 바나나로 보는 유전자 단일화의 경고

9 본격적인 팬데믹의 서막을 열다: 콜레라
상호의존 관계를 만드는 세계화의 과정 | 다섯 차례나 확산된 대규모 전파 | 비위생적 환경과 물의 중요성 | 아프기도 하고, 창피하기도 하고 | 옛사람들이 인식한 콜레라의 개념 | 조선시대를 휩쓴 콜레라 | 수도시설의 위생 강화 | 콜레라의 독특한 기원 | 공중 위생만이 해결책이다

10 기술의 진보로 건강이 위협받다: 화학 물질 사고
‘라듐 걸’에게 닥친 비극 | 카라바조도 피할 수 없었던 황 중독 | ‘침묵의 봄’ 을 강요한 DDT의 등장 | 우리만의 재해, 가습기 살균제 사건 | 바다로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 | 점차 늘어나는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3부 정책과 통제라는 거대한 위험: 시스템재난의 시대

11 잘못된 정책이 불러온 생태계 파괴: 대약진운동과 토끼 사냥
중국의 서툴렀던 경제 발전 정책 | 참새 잡기를 장려하다 | ‘뒤뜰 용광로’와 황폐화된 산 | 문화대혁명으로 태세를 전환하다 | 사냥용 토끼를 강제로 번식시키다 | 인류의 공적, 모기를 퇴치하려는 노력 | 생태계 교란종의 위협

12 인간의 개입으로 급변하는 지구: 이상기후와 생태계 파괴
인류세와 기후 변화 | 점점 상승하는 지구 온도의 추세 | 기후 문제를 해결하려는 국제적인 노력 | 아메리카 대륙에 불어닥친 더스트볼 | 온실효과로 생성된 북극한파 | 탄소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노력 | 식생활 변화가 지구를 바꾼다 | 탄소를 줄일 재생 에너지의 시대 | 생물의 다양성을 지키는 방법

13 한순간 마비되는 초연결성 사회: 디지털 사고
2003년 뉴욕을 멈춘 정전 사태 | 시스템재난의 전형적인 사례, 정전 | 연결 매체의 원활한 작동 조건 |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방사능 유출 | 컴퓨터와 인터넷이 바꿔놓은 세계 | 컴퓨터 오작동이 가져온 혼란 | 노동자를 위험에 빠뜨리는 경제구조 | 해결책 없는 ‘위험의 외주화’ | 세계화시대에 확산되는 재해 | 초연결성 사회의 시스템재난

14 새로운 갈림길에 선 세계화: 코로나19
빠르게 확산된 코로나19의 공포 |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정부의 선택 | 왜 동서양의 감염률에 차이가 있을까? | 아프리카의 백신 접종률이 낮은 이유 | 여전히 계속되는 희생양 몰이 | 가짜 정보의 함정에서 벗어나기 | 공공 의료체계에 거는 기대 | 세계화에서 탈세계화로 | 코로나19와 자국 우선주의

에필로그: 역사 속 재난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

참고문헌




텃밭농사 흙 만들기 비료 사용법 교과서
9788964945414.jpg


도서명 : 텃밭농사 흙 만들기 비료 사용법 교과서
저자/출판사 : 이에노히카리협회, 보누스
쪽수 : 160쪽
출판일 : 2022-04-05
ISBN : 9788964945414
정가 : 16800

머리말 맛있는 채소와 예쁜 꽃을 기르려면 먼저 흙 만들기부터

제1장 흙이란 무엇인가

1-1 소중한 자원, 흙
흙은 지구의 피부
사람의 마음을 치유하는 흙
흙은 어디서 생겼을까
한국의 흙은 나이가 많다
한국에 분포하는 흙의 종류
일본의 흙은 비옥하지 않다
일본에 분포하는 흙의 종류

1-2 흙의 성질과 구조
입자 크기로 달라지는 성질
흙의 구조 알기
유기물이 흙 속에 떼알을 만든다

1-3 흙과 식물의 관계
식물의 생장 구조와 흙의 역할

1-4 식물이 좋아하는 흙
알아두어야 할 흙의 세 가지 조건
흙의 물리성 : 배수와 흡수
흙의 화학성 : pH와 보비력

1-5 다양한 토양 미생물
식물과 동물과 미생물의 순환
다양한 미생물의 역할
종류에 따라 먹이도 다르다
공기를 좋아하는가 싫어하는가

1-6 흙 속 미생물의 활동
식물 뿌리와 미생물
식물이 몸을 지키는 방법
미생물의 공존과 적대
이어짓기로 생기는 토양 전염성 병해

column 흙 속 작은 동물들

제2장 흙의 건강 진단

2-1 흙 관찰하기(물리성 체크)
건강 진단은 사람도 흙도 마찬가지
흙 직접 보고 만져보기
흙 파보기

2-2 흙의 pH 측정하기(화학성 체크 ①)
pH 시험액과 리트머스 시험지

2-3 흙의 양분 알아보기(화학성 체크 ②)
집에서 할 수 있는?간단한 양분 조사법

2-4 살아 있는 흙인지 알아보기(생물성 체크)
미생물이나 작은 곤충의 활동 보기
흙의 생물성을 보는 방법
흙의 생물성을 개선하는 방법

2-5 토양 검정을 의뢰하는 방법
토양 검정이란 무엇인가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과 검정 의뢰

column 흙 건강 진단법 총정리

제3장 흙 만들기와 재배의 기본

3-1 흙 만들기
땅을 가는 목적
자재를 투입하는 순서

3-2 퇴비 주기
퇴비의 역할과 사용법

3-3 석회 자재 주기
석회 자재의 역할
석회 자재 주는 법
과다 투입에 주의

3-4 알칼리성 토양 개량하기
산성 토양보다 개량하기 어렵다

3-5 비료 주기
비료로 양분 조절 마무리하기

3-6 밭 토양의 염류 제거와 소독
연작 장해를 막아준다
과다한 양분을 흡수해주는 작물
태양열로 하는 토양 소독

column 토양 소독 족집게 레슨

제4장 화분과 텃밭 상자의 흙 만들기

4-1 상자 재배의 특징
뿌리를 뻗을 공간이 좁다
재배용 흙은 배수가 중요하다
비료는 자주 넣어준다

4-2 주요 재배용 흙의 특징
배합이 기본
기초가 되는 기본 재배용 흙
기본 재배용 흙을 보완하는 흙
작물마다 흙 종류가 다르다
라이프 스타일에 맞춘 재배용 흙 배합

4-3 화분과 텃밭 상자 고르기
상자의 재질
상자 바닥이 중요하다
식물의 성장에 맞춰 화분을 교체한다
식물과 화분 크기의 관계

4-4 시판 배양토 잘 고르는 법
편리한 시판 배양토

4-5 재배용 흙 배합의 기본
기본 재배용 흙의 차이에 따른 조절
양분이 풍부한 재배용 흙을 만드는 법

4-6 흙 소독
태양열로 소독하기

column 재생토 사용하기

제5장 비료의 기본과 고르는 법

5-1 흙과 비료의 관계
왜 비료가 필요한가
채소와 꽃을 만들기 위함이다

5-2 식물이 필요로 하는 원소의 종류
17가지 필수 원소
비료의 3요소

5-3 양분은 과부족이 없도록
부족한 양분 보충하기
부족하면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
양분이 지나쳐도 문제다
양분의 균형이 중요하다

5-4 비료의 분류 1(원료에 따른 분류)
세 가지 비료 분류법
무기질 비료와 유기질 비료
유기질 비료는 효과가 천천히 나타나며 오래간다
복합 비료와 단비

5-5 비료의 분류 2(형태에 따른 분류)
고형 비료와 액체 비료
형태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

5-6 비료의 분류 3(효과에 따른 분류)
속효성 비료 사용법
완효성 비료 사용법
지효성 비료 사용법
비료 성분에 따라 달라지는 비효 속도

5-7 비료 한눈에 보기

5-8 비료 잘 고르기
편견에서 벗어나 골고루
단비 잘 활용하기

column 비료 구입법과 보존법

제6장 비료 사용법

6-1 기본적인 사용법
적정 비료 사용량을 지키자
비료 사용의 기본

6-2 작물에 따른 비료량의 차이
맛있는 채소는 ‘질소를 야금야금’
비료 효과 보는 법
비료량 정하기
생육 시기별 필요 성분

6-3 계절에 따른 비료량의 차이
봄과 가을에는 넉넉하게

6-4 밑거름 주기
전면 시비와 이랑 시비

6-5 웃거름 주기
웃거름의 기본
구멍 뚫기, 홈 파기, 흩뿌리기
웃거름은 어디다 줘야 효과적일까
이럴 때 웃거름은 금물

6-6 액체 비료 주기
물 대신 주는 액비
액비는 질소와 칼륨이 중심

6-7 발효 비료 사용법
가정 원예도 웃거름으로 편리하게
발효 비료의 기본

6-8 발효 비료 만드는 법
친숙한 재료를 사용해서 발효 비료 만들기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