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장 또는 한국의 과학기술과 시민사회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시화장 또는 한국의 과학기술과 시민사회

땅끝
2024-12-25 10:41 152 0

본문




시화장
9791168364387.jpg


도서명 : 시화장
저자/출판사 : 장은주, 북랩
쪽수 : 132쪽
출판일 : 2022-08-05
ISBN : 9791168364387
정가 : 12000

그들만의 족자
추억
결의
팔레스타인 땅의 울림
불면증
발걸음
이른 비
The black arts.DUENDE
melancholia
꽃받침에 그린 시
merry go round
꽃마름
축제
가면은 j에게 눈물을 허락하다.
Tropical citrus
남쪽 바다(에메랄드빛 계단을 타고 달리다)
아날로그 모드 1
아날로그 모드 2
최연소 연쇄 감각 수집가
10년의 밤
사랑이 흐르고 난 후
추억 감기
키스 … 대화 속의 감각
혼자
심연
응급실
연옥
청춘
눈물
달리기
호수의 여왕
LOVE SICK
빈방
손끝의 핏자국
눈꺼풀의 입맞춤
2월의 시
시절의 꽃
사색적 솔로
이별 후에
동백꽃이 질 무렵
간택
명절의 족자
타락의 선물
별의 하늘
결혼식
따스한 손 마침
벽 한 꺼풀 스며들기
블랙 러브
네 박자
뒤돌아 뛰는 아이
꺼내어 놓은 사진
커버린 자동차 장난감
거렁뱅이 찬가
정좌의 미완성
체리는 살아있다
라일락 빛 노을
푸른 달과 마주하기
감기. 낫지 않는 청춘
가을에 걷는 걸음
미술관 속의 액자
향단이의 애잔가
담글
경사를 지우는 그림자
두 사람
숨 쉬는 뿌리
다리 씻기
계곡 연가
회사원의 회고록
천하를 사로잡다
물듦
물아 일색
갑자 동맹
공주의 전성시대
마음을 들이다
소쩍새의 해돋이
지평선의 태
서곡의 쉼표
기억의 한 자락
달도 진단다
두 번째 별곡
권력의 4가지 맛을 아는 자, 퀸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남자와 키를 재다
진상의 조건
어둠의 그늘
양 떼들의 반란
달 너머 가라앉은 이에게
숫사자의 갈기는 젊다
늙어지면
햇살이 아프다. 밤이 눈부셔서
여섯 개의 오로라

노인의 안경 속 세상
적막한 어색한 세상에 대하여
감성 생산직 근로자
가난한 심령과 어린 이성
일그러진 청춘
템포를 적시는 빗줄기
거두어진 햇살
아군
거짓을 부리는 공기
건설된 블랙마크
새 송이의 반란
상행선 하행선 1
상행선 하행선 2
이어폰 속의 이야기
스스로 쓰여진 시
감정이 타는 버스
시대를 차는 새
솔로 파국
사랑 결격 사유
격자 속의 시선들
사랑하는 대용량 세상
갑자골의 전쟁
들썩이는 회당 20억 원
욕망의 유모차 바퀴 아래
동종 업계인과의 식사는 서글프다
발초롬히 응시하다




한국의 과학기술과 시민사회
9791159257124.jpg


도서명 : 한국의 과학기술과 시민사회
저자/출판사 : 이은경, 들녘
쪽수 : 363쪽
출판일 : 2022-01-27
ISBN : 9791159257124
정가 : 32000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들어가는 말

1. 과학기술 국가주의와 기술관료주의 형성
2. 한국 시민사회의 성장과 특징
3. 시민운동으로서 과학기술 민주화
4. 구성

1장 과학기술 국가주의 형성

1절 과학조선 건설에서 과학입국까지
1. 과학기술 국가주의의 기원
2. “과학조선 건설” 담론의 부활
3. 과학기술 국가주의의 내재화

2절 과학기술 국가주의와 과학기술자사회
1. 과학기술자의 조직화
2. 조직화된 과학기술 지원 요구
3. 과총의 과학정치
4. 전국민 과학화와 새마을기술봉사단의 유산

3절 과학기술자 계층화와 과학기술 국가주의의 한계
1. ‘이공계 기피 현상’의 등장과 의미 변화
2. 다양한 ‘이공계 기피 현상들’과 과학기술 국가주의
3. 달라진 것과 달라지지 않은 것

2장 시민사회의 도전

4절 민중운동에서 시민운동으로: 환경운동
1. 공해문제에 대한 두 대응: 주민보상운동과 자연보호운동
2. 민중운동으로서 환경운동: 반공해운동단체의 등장
3. 민주화 시기의 반공해운동: 온산병 사례
4. 시민운동으로의 전환

5절 과학기술운동의 성장과 분화
1. 여러 갈래의 과학기술운동 등장
2. 노동운동과 과학기술의 접점: 전국과학기술노동조합
3. 시민사회에 봉사하는 과학기술 실험: 과학상점
4. 과학기술 시민단체

6절 생명공학에 대한 시민사회의 규제
1. 생명공학의 도약과 유전자 재조합 기술
2. 모르고 먹은 수입 유전자 조작 콩
3. 실질적 동등성 vs. 소비자의 알 권리
4. 뜻하지 않은 조력자: 두부 파동
5. GMO 표시제 도입의 의의

3장 참여의 제도화

7절 과학기술정책 시민 참여의 제도화
1. 임시방편으로서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특별법〉
2. 〈과학기술기본법〉의 제정
3. 과학기술 시민 참여에서 〈과학기술기본법〉의 함의

8절 생명공학에 대한 규제 확대
1. 유전공학 산업화를 위한 〈유전공학육성법〉과 실험지침
2. 인간 복제와 생명윤리 이슈의 폭발
3. 〈생명윤리법〉 입법 과정
4. 〈생명윤리법〉의 함의

9절 과학기술에서 여성의 참여 확대
1. 과학기술 젠더정치 요구와 여성 과학기술자들의 조직화
2. 젠더정치의 제도화와 새로운 주체의 부상
3. 과학기술 젠더정치의 외연 확대
4. 새로운 의제 발굴과 구현 전략: 젠더혁신

10절 기술위험의 수용과 관리: 〈중ㆍ저준위 방폐장 특별법〉과 그 후
1. 위험 감소, 확실한 보상 그리고 민주적 절차
2. 경주-군산 유치 경쟁
3. 경주 방폐장 입지 선정 과정의 정책 쟁점
4. 에필로그: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맺음말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