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NFT 교과서 또는 바흐는 바흐다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나의 첫 NFT 교과서 또는 바흐는 바흐다

땅끝
2024-12-25 10:41 98 0

본문




나의 첫 NFT 교과서
9791190977654.jpg


도서명 : 나의 첫 NFT 교과서
저자/출판사 : 황성배 , 전래훈, 페이지2북스
쪽수 : 256쪽
출판일 : 2022-05-27
ISBN : 9791190977654
정가 : 17000

추천사
저자의 말
왕초보를 위한 NFT 최다 질문 10

1부 블록체인 세계의 핫이슈, NFT가 뭐길래
01 NFT로 만들기만 하면 수억 원이 되는 건가요?
02 NFT에도 ‘인싸’가 있었다? 크립토펑크 프로젝트
03 게임이 된 NFT, 대중화가 시작된다
04 돈이 너무 많아 사는 게 지루해진 원숭이들의 모임

2부 NFT 세계를 탐험하기 전 필요한 가이드라인
05 갑자기 나타난 NFT, 대체 그게 뭔가요?
ㆍ ‘대체 불가능’의 의미
ㆍ ‘코인’과 ‘토큰’은 다르다
ㆍ NFT 세계에서 하나의 플랫폼으로 자리잡은 국내산 블록체인
ㆍ NFT를 통해 거래이력과 소유권을 투명하게 기록한다
06 NFT를 이해하기 위한 블록체인 핵심 용어 12
ㆍ ERC20과 ERC721은 인터넷 도로명 주소인가요?
ㆍ 디앱(Dapp)과 앱(App)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ㆍ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우리 이제 똑똑하게 블록체인으로 계약서 씁시다
ㆍ 암호화폐를 사지 않고 얻는 방법이 있나요?: 작업증명(PoW), 지분증명(PoS), 위임지분증명(DPoS)
ㆍ 디파이(DeFi), 와이파이랑 다른 건가요?
ㆍ 다오(DAO)란 회사에 꼰대들이 없다는 뜻인가요?
ㆍ ICO? 공모주 참여하느라 IPO는 들어봤습니다만
ㆍ 하드포크와 소프트포크, 내가 알던 포크와 같은 것?
ㆍ 테스트넷과 메인넷, 테스트해 보고 메인으로 가는 건가요?
ㆍ 에어드랍은 아이폰에서 서로 사진 주고받을 때 쓰는 말 아닌가요?
ㆍ 그림을 민팅한다는 말이 무슨 말이에요?
ㆍ 제 증명사진도 NFT가 되나요?
07 그래서 왜 NFT인가? NFT가 가치 있는 이유 세 가지
ㆍ ‘내가 가진 것이 진품이다’라는 소유권에 대한 유일한 증명
ㆍ 예술 작품 시장에서 유동성 공급자의 역할
ㆍ 사회적 지위와 새로운 부의 상징이 된 디지털 자산 NFT

3부 NFT를 직접 만들고 판매하는 방법
08 누구나 나만의 작품을 NFT로 만들 수 있다
ㆍ 1단계: 블록체인 지갑 만들기
ㆍ 2단계: 원화로 이더리움 매수하여 지갑으로 가져오기
ㆍ 3단계: 오픈씨에 가입하고 NFT를 판매할 수 있는 페이지 만들기
ㆍ 4단계: 작품을 NFT로 민팅하기
ㆍ 5단계: NFT 직접 판매하기
ㆍ 트래블룰 시행 이후에 달라지는 점
09 다른 창작자의 NFT를 구매하는 방법
10 “제품보증서를 잃어버리셨다고요? NFT로 보여주시면 됩니다. 고객님”

4부 NFT와 메타버스에 간접적으로 투자하자
11 미래 산업을 주도할 NFT 해외 상장기업
ㆍ 코인베이스(COIN:US)
ㆍ 블록(SQ:US)
ㆍ 로블록스(RBLX:US)
ㆍ 나이키(NKE:US)
12 미래 산업을 주도할 NFT 국내 상장기업
ㆍ 카카오(035720)
ㆍ 하이브(352820)
ㆍ 에스엠(041510)
ㆍ 컴투스홀딩스(063080)
ㆍ 위메이드(112040)
13 NFT, 블록체인, 메타버스 관련 글로벌 ETF
14 주목해야 할 비상장 NFT 마켓플레이스
ㆍ 오픈씨
ㆍ 스카이마비스
ㆍ 라리블
ㆍ 니프티 게이트웨이
ㆍ 두나무

5부 NFT, 앞으로의 전망과 해결 과제
15 NFT, 어디까지 진화할까?
16 메타버스와 NFT의 결합이 만들어 나갈 미래
17 앞으로 NFT가 해결해야 할 과제들
에필로그 “인생에 한 번쯤은 얼리어답터말고 이노베이터가 되자!”




바흐는 바흐다
9788991952676.jpg


도서명 : 바흐는 바흐다
저자/출판사 : 나주리, 모노폴리
쪽수 : 264쪽
출판일 : 2022-04-18
ISBN : 9788991952676
정가 : 18000

1. 바흐 사후 반세기, 18세기 후반기의 바흐
2. 포르켈의 바흐, ‘시대와 역사를 초월하는 최고의 고전주의자’
3. 멘델스존의 〈마태수난곡〉 바흐 사후 초연의 배경, 실제, 그리고 결과
4. 베토벤 후기 현악4중주의 대위법적 언어, 그리고 바흐
5. 로베르트 슈만의 ‘바흐에 대한 경의’: 〈BACH에 의한 6개의 푸가〉 op. 60
6.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의 전수와 수용
7. 힌데미트의 〈음의 유희〉와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8. 20세기의 바흐 수용과 바흐상
9. 20세기 회화의 ‘바흐 르네상스’
10. 20세기 음악과 회화의 푸가
11. 21세기 대중음악가의 바흐 수용: 스팅의 경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