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나는 청와대 또는 2023 장승일 범죄학 2.0
땅끝
2024-12-25 10:41
136
0
본문
처음 만나는 청와대

도서명 : 처음 만나는 청와대
저자/출판사 : 안충기, 위즈덤하우스
쪽수 : 288쪽
출판일 : 2022-11-03
ISBN : 9791168125018
정가 : 19000
들어가며
1장_전면 개방까지 83년
어느 날 갑자기 | 청와대 터 내력 | 청와대라는 이름 | 전면 개방까지 83년 | 경무대가 고향인 김경숙 씨 | 백악산 넘어온 무장공비들 | 바리케이드 철거하던 날 | 8000번 버스, 01번 버스
2장_걸어서 경내 한 바퀴
본관 귀마루에 앉은 잡상 11개 | 게양대에 봉황기가 걸리면 | 말도 탈도 많은 본관 위치 | 2022년 5월에 멈춘 달력 | 대통령 6명이 거쳐 간 자리 | 200살 넘은 소나무로 지었다 | 세상에 이런 풍경 | D등급 받은 비서진 공간 | 춘추관을 휘젓고 다니는 의문의 존재 | 서별관과 연풍문에 드리운 그늘 | 익산에서 가져온 13미터짜리 화강암 기둥 | 왕비가 되지 못한 왕의 어머니들 | 전두환 골프연습장, 박정희 기마로 | 정문 양식을 둘러싼 논란 | 마지막에 열린 경복궁 북문
3장_나무와 풀의 천국
모가지를 떼러 왔수다 | 철통 경계가 낳은 아이러니 | 관저를 둘러싼 낙우송 | 나무를 보면 대통령이 보인다
4장_베일 벗은 문화유산
호기심 많은 엉뚱한 사람들 | 천하제일복지 바위의 비밀 | 드넓은 터에 한옥은 세 채 | 경내 한옥 두 채가 왜 전남 영광에 | 상춘재 천록은 쌍둥이였을까 | 고향이 경주인 부처가 청와대에 온 사연
5장_사연 많은 예술품
사들인 그림, 상납한 그림 | 공간 따로 작품 따로 | 비서실 따로 경호처 따로 | 대통령을 그린 화가들
6장_0.725초의 승부, 경호처
어마어마한 물을 쓰는 곳 | 경복궁 안에 숨은 탱크 | 두 번의 쿠데타 | 권총 유효사거리 52미터가 경계선 | 당하면서 메운 빈틈 | 0.725초의 승부 | 낱낱이 공개하는 업무비
7장_동네 한 바퀴 - 청와대 서쪽
등산복 입은 아줌마 아저씨 부대 | 고갯마루에 종로경찰서장 동상, 청운동 | 하루아침에 사라진 시위대, 신교동 | 부역자들의 흔적, 옥인동 | 포개 놓은 바위 둘, 그가 죽은 자리 궁정동 | 강제로 빼앗아간 효자동이발소 | 공부하다 말고 꽃 들고 뛰어나갔다, 창성동 | 노블레스 오블리주 통인동 128번지 | 3층 건물인데 지하가 16미터, 통의동 | 중국 자본은 왜 서촌 성결교회를 탐냈을까 | 사직단 향나무는 담장 안에 있었다, 사직동 | 수모당한 인왕산 치마바위
8장_동네 한 바퀴 - 청와대 동쪽
한국 마라톤의 숨겨진 성지, 삼청동 | 10분이면 걸어서 동네 네 곳을 지난다 | 10명 중 6명을 서울대 보낸 학교가 있던 화동 | 대하소설 써도 될 국립현대미술관 자리, 소격동 | 20년 넘게 비어 있던 땅 3만 4200제곱미터, 송현동
9장_길 아래 물길이 있다
청계천이 시작하는 샘 | 물길이 20개가 넘었다 | 길 가운데 사각철판 | 청와대 동쪽 - 삼청동천 | 청와대 서쪽 - 백운동천 | 청와대 남쪽 - 대은암천 | 맨홀 뚜껑 박물관
10장_백악산 가는 길
움푹한 확으로 흘러내리는 물 | 18.8킬로미터 한양도성의 원점 | 8부 능선에 튀어나온 거북머리 | 갑자기 화제가 된 절터 | 북쪽으로 난 두 개의 문
11장_청와대서 용산까지
한양천도의 정치학 | 짜고 친 고스톱 | 수도를 옮기는 몇 가지 이유 | 서울 한복판에 대일본이라니 | 땅의 팔자 또는 운명 | 용산, 변두리서 중심으로 | 일직선 위의 비밀 아닌 비밀
나가며
참고문헌
주석
2023 장승일 범죄학 2.0

도서명 : 2023 장승일 범죄학 2.0
저자/출판사 : 장승일, 좋은책
쪽수 : 309쪽
출판일 : 2022-08-19
ISBN : 9791163484714
정가 : 24000
제1편 범죄학 일반론
제1장 범죄 / 4
01 범죄 4
02 비범죄화 7
제2장 범죄학 / 10
01 범죄학의 개념과 범위 10
02 범죄학 연구방법 13
03 암수범죄 22
04 범죄인 분류 26
제2편 범죄원인론
제1장 고전주의 / 32
01 일반론 32
02 주요 학자 34
03 신고전주의 범죄학 39
제2장 실증주의 / 41
01 서론 41
02 이탈리아 범죄인류학파 43
03 프랑스 환경학파 47
04 독일과 오스트리아학파 51
제3장 생물학적 원인론 / 54
01 골상학과 우생학 54
02 체형이론 55
03 유전적 결함과 범죄 58
04 현대의 사회생물학(범죄생물학) 63
제4장 심리학적 원인론 / 67
01 일반론 67
02 프로이드의 정신분석과 범죄 68
03 정신적 결함과 범죄 72
04 성격(인성)이론 78
05 인지발달이론 82
06 행동학습이론(behavioral theory) 87
07 기타 이론 90
제5장 사회구조이론(거시적 환경론) / 92
01 사회구조이론과 사회과정이론 92
02 사회해체이론(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93
03 긴장이론 (Strain Theory) 99
04 긴장이론의 발전 103
05 하위문화이론(Subculture Theory) 106
제6장 사회과정이론(미시환경론) / 115
01 사회 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 115
02 통제이론(Social Control Theory) 121
03 중화이론(Neutralization) 127
제7장 낙인이론과 비판범죄학 / 130
01 낙인이론 130
02 갈등이론 개요 139
03 보수적 갈등이론 140
04 급진적 갈등이론(비판범죄학) 143
제8장 범죄학이론의 발전 / 151
01 통합이론 151
02 발달이론 154
제3편 범죄유형론
제1장 범죄유형 일반론 / 160
제2장 전통적 범죄 / 161
01 살인 161
02 강도 165
03 폭력 167
04 절도 176
05 사기 177
제3장 특수한 범죄유형 / 178
01 화이트칼라범죄 178
02 사이버 범죄 181
03 약물범죄 183
04 혐오범죄(증오범죄) 185
05 스토킹 186
06 환경범죄 187
07 정치범죄 188
08 조직범죄 189
09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범죄 191
제4편 범죄대책론
제1장 범죄예방론 / 198
01 일반론 198
02 범죄예방론 201
03 범죄예측론 207
제2장 형사사법절차론 / 212
01 다이버전 (형사사법의 탈제도화) 212
02 기소유예 213
03 선고유예 215
04 집행유예 217
05 가석방 219
06 양형의 합리화 223
제3장 형벌론 / 226
01 형벌이론 226
02 사형제도 229
03 자유형제도 232
04 재산형제도 235
05 명예형(자격형)제도 240
제4장 보안처분론 / 242
01 일반론 242
02 보안처분의 입법례 245
03 보호관찰 249
04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 251
05 치료감호 등에 관한 법률 255
06 전자장치 부착 등에 관한 법률 260
07 성폭력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 266
제5장 소년범죄대책론 / 270
01 서론 270
02 소년사건의 처리 절차 277
제6장 피해자와 피해자학 / 287
01 피해자 287
02 범죄피해 이론 292
03 피해자의 권리 및 보호제도의 발전 296
04 회복적 사법 301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