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학 사전 또는 전국 방방곡곡 페스티발
땅끝
2024-12-25 10:41
95
0
본문
노화학 사전

도서명 : 노화학 사전
저자/출판사 : 최현석, 서해문집
쪽수 : 480쪽
출판일 : 2022-09-15
ISBN : 9791192085647
정가 : 28000
머리말
제Ⅰ부 늙는다는 것-뇌에서 근골격까지
01 노인증후군
노화 _ 노화는 되돌릴 수 없다
질병 _ 노화와 질병은 구별 불가능하다
노인증후군 _ 마지막 공통 경로
다약제 _ 노인이 복용하는 약은 노인에게 연구된 바 없다
항상성협착 _ 내적 환경 유지의 실패
노쇠 _ 노인의 8%는 노쇠에 있다
보행장애 _ 누워 있는 노인 환자는 3일 만에 근육이 10% 감소한다
낙상 _ 여자가 2배 더 많지만 사망은 남자가 많다
노인비만 _ 근육이 감소하는 비만은 위험하다
소모증후군 _ 악액질 단계에서 영양공급은 해롭다
02 유해환경
자외선 _ 자외선은 광(光)생성물을 만든다
방사선 _ 피폭량의 50%는 의료행위에서 발생
흡연 _ 노인의 흡연율이 낮은 것은 흡연자가 사망하기 때문이다
음주 _ 조기치매의 10%가 과도한 음주와 관련 있다
03 신경
뉴런 _ 뇌졸중이 회복되는 것은 뇌세포의 재편성 때문
대뇌 _ 겉은 회색, 안쪽은 백색
뇌 노화 _ 뇌의 부피는 40세 이후 10년마다 5%씩 감소
말초신경 _ 두께에 따라 6종류가 있다
신경전달물질 _ 100개 이상의 신경전달물질이 있다
아세틸콜린 _ 감소가 심할수록 치매가 심하다
글루타메이트 _ 나이가 들면 글루타메이트 흥분독성으로 뉴런이 죽는다
가바 _ 신경안정제가 작용하는 경로
모노아민 _ 우울증과 파킨슨병의 원인
주의력 _ 전두엽과 바닥핵의 기능
지능 _ 유동성지능은 60대 중반부터 감소한다
지혜 _ 나이는 지혜의 필수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창조성 _ 40대에 최고치
언어 _ 노인은 문장이 짧아진다
기억 _ 정상적인 노화의 기억력 감소와 치매의 감별은 어렵다
수면 _ 노인은 수면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우울증 _ 노인우울증은 가성치매를 유발한다
섬망 _ 섬망은 아세틸콜린의 이상 때문
04 감각
후각 _ 55세 이후 급격히 감소한다
시각 _ 노안은 45세부터 나타난다
미각 _ 노인의 미각은 4.7배의 자극을 필요로 한다
청각 _ 청력감소는 30대부터 시작된다
평형감각 _ 노인의 30%는 어지럼을 느낀다
피부감각 _ 노인은 냉감은 유지되고 열감은 떨어진다
통증 _ 노인의 50%는 만성통증이 있다
가려움 _ 만성가려움증은 외부자극과 무관하다
05 피부
표피 _ 동양인은 백인보다 피부주름이 10년 늦게 생긴다
외인성 노화 _ 얼굴 피부노화의 80%는 자외선 때문
주름 _ 피부 콜라겐은 40세 이후 급감한다
욕창 _ 움직이지 못하면 욕창은 필연적이다
06 순환
혈관 _ 혈관의 판막은 정맥에만 있다
림프관 _ 노화된 림프관은 펌프기능이 감소한다
내피 _ 내피세포의 노화는 산화질소 생산의 감소를 초래한다
혈압 _ 70대의 70%가 고혈압
동맥경화 _ 동맥경화증은 혈관노화의 결과다
죽상경화 _ 죽상경화증은 국소적으로 발생한다
이상지혈증 _ 혈중 콜레스테롤은 20대부터 증가한다
심장 _ 노인은 운동할 때 심박출량이 제대로 증가하지 못한다
07 호흡
호흡근 _ 70대의 횡격막 강도는 25% 감소한다
폐기능 _ 폐활량은 30세 이후 감소한다
기도 _ 남성 노인의 46%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있다
폐포 _ 노인 폐포의 20%는 파괴된다
감기 _ 노인 감기의 합병증은 만성질환의 악화
독감 _ 독감 사망의 90%가 노인
음성 _ 노인의 20~30%는 노인음성을 가진다
08 구강
타액 _ 타액은 25세부터 감소한다
치주조직 _ 노인은 치근이 노출된다
치아결손 _ 노인의 39~61%는 치아가 20개 미만이다
입냄새 _ 혀의 상태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09 소화
인두 _ 노화에 따른 연하장애는 45세부터 나타난다
식도 _ 노인성식도는 수축과 이완이 불완전해진다
위 _ 노인은 위배출시간은 길어지고 복부팽만감은 줄어든다
소장 _ 노화에 따른 변화가 경미한 기관
대장 _ 대장은 소장과 달리 노화의 영향이 크다
항문 _ 변실금과 분변매복은 동시에 나타나기도 한다
간 _ 노인은 간이 20~40% 줄어든다
담도 _ 담석증은 나이에 비례해서 증가한다
췌장 _ 외분비췌장은 노화의 영향이 거의 없다
10 혈액
조혈모세포 _노화된 조혈모세포는 쉽게 암세포로 전환된다
빈혈 _ 나이가 들수록 원인불명의 빈혈이 많아진다
혈전 _ 노인은 혈전 성향과 출혈 성향이 동시에 증가한다
11 면역
림프기관 _ 노인의 흉선은 지방조직으로 대체된다
백혈구 _ 면역노화의 큰 특징은 T세포의 퇴화
항체 _ 노인은 병원균에 대한 항체는 감소하고 자가항체는 증가한다
보체 _ 노화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다
사이토카인 _ IL-6와 TNF-α는 노화로 증가한다
염증 _ 노화 관련 만성질환에는 무균성 염증이 많다
마이크로바이옴 _ 장내세균의 다양성 감소는 노쇠와 관련 있다
감염병 _ 노인은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3~4배 높다
백신 _ 노인에게는 백신 효과가 감소한다
12 내분비
시상하부 _ 신경계와 내분비계를 통합한다
뇌하수체 _ 노인은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피드백시스템이 와해된다
성장호르몬 _ 노인의 성장호르몬 치료는 유해하다
갑상선 _ 갑상선호르몬 농도가 낮을수록 수명이 길다
부신피질 _ 40세 이후 부신멈춤이 나타난다
부신수질 _ 노인은 혈중 에피네프린은 증가하지만 교감신경계 활성은 감소한다
장내분비세포 _ 위장관과 췌장에서 내분비기능을 하는 세포
인슐린 _ 혈당은 나이에 따라 증가한다
13 생식
난소 _ 노화의 기점은 35세
고환 _ 노화의 기점은 40세
음경 _ 음경은 나이 든다고 짧아지지 않는다
전립선 _ 전립선비대증은 40세에 시작된다
골반바닥 _ 노인은 골반바닥의 해먹 역할이 와해된다
14 비뇨
신장 _ 신장기능은 30대 이후 감퇴한다
수분대사 _ 노인은 수분조절 능력이 떨어진다
나트륨 균형 _ 노인의 8%는 저나트륨혈증이다
칼륨 균형 _ 노인은 과일과 야채 섭취가 부족하면 저칼륨혈증이 잘 발생한다
배뇨 _ 노인의 배뇨조절장애는 뇌기능 저하가 주요 원인이다
15 근골격
뼈 _ 골량은 30세 이후 감소한다
연골 _ 혈관이 없기 때문에 재생되지 않는다
관절 _ 75세 이상 노인의 80%는 골관절염이 있다
골격근 _ 근육은 40세부터 감소한다
제Ⅱ부 보이지 않는 세계-늙어감의 화학방정식
16 모델생물
효모 _ 유전자의 23%가 인간과 상동유전자
초파리 _ 유전자의 60%가 인간과 상동유전자
꼬마선충 _ 유전자의 60~80%가 인간과 상동유전자
생쥐 _ 유전자의 99%가 인간과 상동유전자
표준인간 _ 인간을 구성하는 주요 분자는 핵산, 단백질, 당, 인지질
17 원자
수소 _ 노인은 수소이온을 잘 배출하지 못한다
탄소 _ 생명체의 기초가 되는 원소
질소 _ 단백질을 많이 먹는다고 근육이 커지는 것은 아니다
산소 _ 강한 에너지의 원천이자 노화의 주범
인 _ 단백질의 비정상적 인산화는 노화를 유발한다
황 _ 노화 관련 질환을 유발하는 산화형 글루타티온
칼슘 _ 노화로 뼈 이외의 여러 조직에 침착된다
철 _ 철이 부족하면 인지기능 저하가 빈혈보다 먼저 나타난다
18 분자
생체분자 _ 노화에 따른 변화는 고분자에서 나타난다
화학결합 _ 유기물은 공유결합으로 만들어진다
탄화수소 _ 지질은 석유와 동일한 탄화수소다
작용기 _ 생체분자의 화학반응을 결정
유기산 _ 인체 유기산의 대부분은 카복실산
화학반응 _ 라디칼반응과 산화반응은 노화를 유발한다
19 단백질
단백질 구조 _ 분자기계 역할을 하도록 진화했다
분자샤프롱 _ 분자샤프롱의 노화는 단백질 질 관리를 와해시킨다
섬유 _ 나이 들수록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산이 감소한다
세포골격단백질 _ 세포의 형태는 필라멘트에 의해 유지된다
막수송단백질 _ 운반체 펌프단백질의 ATP 소비는 체온 유지의 근원
헴 _ 헴은 철과 빌리루빈으로 대사된다
효소 _ 효소는 5,000종 이상의 생화학반응을 촉매한다
단백질항상성 _ 단백질 분자의 평균수명은 3개월이다
20 탄수화물
당질체 _ 이당류는 인체 내부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당화 _ 음식의 풍미를 유발하는 마이야르 반응은 단백질의 노화를 유발한다
21 지질
지방산 _ 노화된 세포막은 불포화지방산이 감소한다
글리세리드 _ 인체에 있는 대부분의 지방은 불활성 상태로 존재한다
인지질 _ 죽어가는 세포는 세포막 이중층의 비대칭성을 잃는다
콜레스테롤 _ 콜레스테롤이 낮으면 심부전과 뇌졸중이 줄어든다
담즙산 _ 장과 간을 하루 5~10회 순환
22 에너지대사
에너지전환 _ 전자의 이동
산화적 인산화 _ ATP는 양성자의 이동으로 합성된다
에너지소비 _ 기초대사율은 나이가 들수록 감소한다
탄수화물대사 _ 세포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연료는 포도당
지방대사 _ 지방산과 석유의 산화로 생산되는 에너지의 양은 동일하다
아미노산대사 _ 근육조직의 분해로 에너지를 얻으면 생존이 어렵다
케톤체대사 _ 지방산의 40%는 케톤체로 전환되어 에너지원이 된다
젖산대사 _ 암세포는 젖산발효를 한다
23 신호전달
신호전달경로 _ 인체에서 신호는 한 방향으로만 전달된다
영양소 감지 _ TOR가 억제되면 수명이 연장된다
AMPK _ AMPK의 이상은 노화를 유발한다
FOXO _ FOXO의 활성화는 수명을 연장시킨다
인슐린/IGF-1 _ 인슐린/IGF-1의 적절한 감소는 수명을 연장시킨다
식욕 _ 나이가 들수록 식욕부진이 많다
식이제한 _ 동물실험에서는 수명을 연장시키지만, 인간에게는 불확실하다
24 유전자
유전체 _ 인간게놈프로젝트는 2005년에 완료되었다
후성조절 _ 용불용설이 틀린 것이 아니었다
텔로미어 _ 텔로미어의 길이는 노인 사망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
돌연변이 _ 유전자 불안정성은 암과 노화의 원인
조로증후군 _ 어린 나이에 진행되는 노화는 유전자 돌연변이 때문이다
암 _ 암이 진단되는 평균 나이는 68~74세
시르투인 _ 시르투인의 활성화는 수명을 연장시킨다
25 세포
세포소기관 _ 자가포식의 와해는 노화를 유발한다
미토콘드리아 _ 미토콘드리아의 DNA 손상은 노화를 유발한다
세포 종류 _ 세포의 수명은 평균 7~10년
복제노화 _ 세포는 50회 분열하면 죽는다
줄기세포 _ 나이가 들수록 고갈된다
세포사멸 _ 나이가 들수록 세포사멸의 효율이 떨어진다
26 조직
상피조직 _ 표피 각질세포의 수명은 20일
신경조직 _ 신경세포는 재생되지 않는다
결합조직 _ 결합조직은 식물의 세포벽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지방조직 _ 렙틴은 지방세포가 분비하는 아디포카인이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전국 방방곡곡 페스티발

도서명 : 전국 방방곡곡 페스티발
저자/출판사 : 박종부, 매직하우스
쪽수 : 452쪽
출판일 : 2022-06-17
ISBN : 9791190822244
정가 : 30000
프롤로그 4
제1장 축제의 시대적 흐름
축제의 정의와 축제 현장 이야기 14
대한민국 축제 현장의 현실적인 분석 21
제2장 박종부 총감독이 연출한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축제
의령 홍의장군축제 30
무주반딧불축제 (전 대표축제) 36
문경 전통찻사발축제 (전 대표축제) 39
보령 머드축제 (전 대표축제) 44
충주 세계무술축제 (전 우수축제) 46
순창 장류축제 (전 우수축제) 49
하동 야생차 문화축제 (전 최우수축제) 51
영동 난계국악축제 (전 우수축제) 53
함양 산삼축제 (전 유망축제) 55
김해 분청도자기축제 (전 육성 축제) 57
서천 한산모시문화제 (전 우수축제) 59
괴산 청결고추축제 (전 유망축제) 61
강경젓갈축제 (전 최우수축제) 63
풍기인삼축제 (전 우수축제) 65
양양 송이축제 (전 최우수축제) 67
청송사과축제 (전 유망축제) 69
태백산눈축제 (전 유망축제) 71
대관령눈꽃축제 (전 예비축제) 74
무안 연꽃축제 (전 예비축제) 76
아산 성웅 이순신 축제 (전 예비축제) 78
홍성 역사인물축제 (전 홍성 내포 문화축제) 80
제3장 박종부가 총감독한 일반축제
신촌 문화축제 84
칠곡 낙동강 세계평화문화축전 88
성주 생명 문화축제 91
남한산성 문화제 93
허준 축제 95
양양 연어축제 97
증평 인삼골축제 99
정읍사 문화제 101
보현사 별빛축제 102
의령 토요애 농특산물축제 104
문경사과축제 105
문경 오미자축제 106
문경 약돌한우축제 107
제4장 대한민국 관광축제 사례분석
화천산천어축제 (전 대표축제) 110
김제 지평선축제 (전 대표축제) 113
안동 국제탈춤축제 (전 대표축제) 115
진주 남강유등축제 (전 대표축제) 118
강진 청자축제 (전 대표축제) 120
산천 한방약초축제 (전 대표축제) 122
함평 나비축제 (전 최우수축제) 124
천안 흥타령춤축제 (전 최우수축제) 126
추억의 충장축제 (전 최우수축제) 128
담양대나무축제 (전 최우수축제) 130
안성맞춤 남사당바우덕이 축제 (전 최우수축제) 132
원주 다이내믹댄싱축제 (전 최우수축제) 134
평창 효석문화제 (전 최우수축제) 136
제주 들불축제 (전 최우수축제) 138
광안리 어방축제 (관광축제) 140
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 (관광축제) 142
대구 치맥페스티벌 (관광축제) 144
인천 펜타포트 음악축제 (전 우수축제) 146
울산 옹기축제 (관광축제) 147
연천 구석기축제 (관광축제) 148
시흥 갯골축제 (관광축제) 150
수원 화성문화제 (전 우수축제) 151
여주 오곡나루축제 (관광축제) 153
평창 송어축제 (관광축제) 155
춘천 마임축제 (전 우수축제) 157
강릉 커피축제 (관광축제) 159
정선아리랑제 (관광축제) 160
횡성한우축제 (관광축제) 162
음성 품바축제 (관광축제) 164
서산 해미읍성 역사체험축제 (관광축제) 166
임실 N치즈축제 (전 우수축제) 168
진안홍삼축제 (관광축제) 169
영암 왕인문화축제 (관광축제) 170
보성다향대축제 (전 우수축제) 171
정남진 장흥물축제 (전 우수축제) 173
포항국제불빛축제 (전 우수축제) 175
봉화은어축제 (전 우수축제) 177
밀양아리랑대축제 (관광축제) 178
통영한산대첩축제 (전 우수축제) 180
한성백제문화제 (관광축제) 181
동래읍성역사축제 (관광축제) 183
광주 세계김치축제 (전 우수축제) 184
대전 효문화뿌리축제 (관광축제) 185
고령 대가야축제 (전 우수축제) 186
목포항구축제 (관광축제) 187
소래포구축제 (관광축제) 188
제5장 2020~2021년 예비 문화관광축제
사례분석
관악 강감찬 축제 192
영도다리 축제 193
금호강 바람 소리 길 축제 194
수성못 페스티벌 195
부평 풍물대축제 196
영산강 서창들녘억새축제 197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198
울산 쇠부리축제 199
세종축제 200
부천국제만화축제 201
화성 뱃놀이축제 202
원주 한지문화제 203
지용제 204
석장리 세계 구석기축제 205
부안 마실축제 206
군산 시간여행축제 207
곡성 세계장미축제 208
알프스 하동 섬진강문화재첩축제 209
탐라입춘굿 210
탐라문화제 211
제6장 글로벌 관광축제 여행기
2018년 첫 유럽 배낭여행 체험기 214
2019년 유럽축제 방문 스케치 235
유럽 크리스마스 마켓 현장 스케치 256
두바이 엑스포, 유럽축제 탐방 현장 스케치 271
제19회 하얼빈 빙설 대세계(빙등제) 스케치 295
하얼빈 제30회 태양도 국제눈조각예술 전시회(빙설제) 297
청도 국제맥주축제 스케치 299
하얼빈 국제맥주축제 303
일본 삿포로 맥주 축제 스케치 304
상해 엑스포 스케치 306
쓰촨성 등축제와 타이중 등불축제 307
태국 송끄란 축제 309
몽골 나담축제 현장 스케치 312
일본을 대표하는 하카타 기온 야마카사 전통 마쯔리 314
일본 오사카 벚꽃축제 스케치 315
일본 제71회 신슈타츠 반딧불축제 스케치 316
일본 오사카 스케치 319
해외의 축제와 대한민국 축제의 비교 분석 321
제7장 경쟁력 있는 글로벌 관광축제
개발을 위한 제안
박종부 감독이 제안하는 계절별 대한민국 대표 축제의 개발 324
코리아 전통 세시풍속축제 325
코리아 키즈 국제 드림 페스티벌 327
코리아 국제맥주축제 329
코리아 국제 풍물 페스티벌 332
코리아 크리스마스 마켓 333
전세계 한인회를 찾아가는 코리아 문화 페스티벌 (Korea Culture Festiva) 개최 334
대한민국 전역을 연계한 글러벌 관광 상품 및 남한산성의 국제 관광 상품 개발 335
제8장. 문화체육관광부 축제 육성 전략
문화관광축제 정책 운영에 대한 분석 및 소견 342
문화관광부 21년도 축제경쟁력 강화 지원사업 계획안 347
2022 문화관광축제 정책 351
제9장 대한민국 축제의 분석을 통한 멘토링
대한민국 축제의 사례를 통한 축제의 분석 360
대한민국 축제도 시대에 맞는 변화와 운영시스템을 바꿀 때가 되었다 362
이벤트사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다 364
총감독체제에 대한 분석 368
축제 전문 총감독과 축제재단과의 상생 법칙 375
경쟁력 있는 축제를 만들기 위한 전략은 무엇일까? 378
성공한 축제를 만들고 싶다면 이렇게 시도하라 381
축제의 성공은 갑질이 아니라 WIN WIN 전략에서 부터 시작된다 382
가성비의 효과가 전혀 없는 온라인 축제는 미친 짓이다 384
대한민국 기념식도 변해야 한다 386
미스트롯, 미스터트롯에 대한 거품과 가치 387
축제 방문객 수 391
축제 자격증에 대한 논란 392
난립한 축제 포럼과 축제학교가 축제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397
성공적인 축제를 위해 조직 인원 4명이면 가성비 높은 축제를 만들 수 있다 399
문화재청의 공모사업에 대한 비현실적 입찰체제 401
박종부 총감독의 축제에 대한 생각 402
이벤트 대행사 선정 입찰의 평가위원에 대한 진실 404
박종부 총감독의 멘토링 406
재미로 보는 축제 담당의 성과에 대한 예상 진단 416
제10장 2022년 대한민국 지역축제 개최 현황
2022년 대한민국 지역축제 개최 계획 420
저자소개 446
참고문헌 452
댓글목록0